시민들도 "민주주의는 국가 권력 아닌 시민 것"
![](http://www.mdilbo.com/lib/thumb.html?type=file&src=202412/04/20241204135156313576.png&w=700)
"죽은 전두환의 망령인가."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했던 비상계엄령에 광주지역 사회가 44년 전 5·18민주화운동의 상흔을 떠올렸다.
5·18유공자들은 "군홧발 소리가 떠오른다"며 치를 떨었고, 시민들도 국정 정상화를 염원하며 광장으로 모여들었다.
4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전날 오후 10시23분께 긴급 대국민담화를 열어 야권의 정부 각료 탄핵 시도와 단독 입법, 예산안 감액을 이유로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비상계엄 선포는 1987년 헌법 개정 이후로는 처음이다.
이후 계엄사령부 명의의 계엄포고령도 내려지자 국회는 '비상계엄 해제요구 결의안'을 상정, 이날 오전 1시2분 재석 190인 중 찬성 190인으로 통과시켰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4시26분께 추가 담화를 통해 계엄 해제를 선언했다.
비상계엄령이 선포되고 해제되는 과정에서 5·18 당사자와 관련자들은 44년 전 트라우마에 몸서리를 쳤다.
김공휴 5·18부상자회 총무국장은 "어렵게 일궈낸 민주주의가 군홧발에 또다시 짓밟히는 무서운 상상을 했다. 1980년 5월21일 옛 전남도청에서 총을 든 계엄군과 우리 시민들이 대치했던 상황이 스치면서 소름이 돋았다"며 "계엄군을 동원한 국회 동원 시도는 흡사 돌아온 전두환의 망령을 보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http://www.mdilbo.com/lib/thumb.html?type=file&src=202412/04/20241204135221593746.png&w=700)
허연식 전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2과장은 "더 이상 군부와 독재자가 국민의 인권을 유린하는 상황이 재현되지 않도록 만들어 둔 헌법이 하루아침에 무너지고 말았다. 44년 전을 겪은 사람들은 당시 상황을 똑같이 떠올렸을 것"이라며 "비상계엄령이라는 다섯 글자가 주는 충격과 후유증이 광주 지역사회에 여전하다"고 토로했다.
5·18 당시 현장을 취재했던 전직 기자 출신인 나의갑 전 5·18기록관장도 "5·18 하루 전날인 1980년 5월 17일 계엄사가 운동권 사람들을 모조리 잡아간다는 소문이 돌았다. 5·17 비상계엄령이 내려진 직후의 일"이라며 "모든 불행은 비상계엄으로부터 시작된다. 44년 전 공포감이 여전하다"고 이야기했다.
이날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열린 '헌정 유린, 내란 수괴 윤석열 체포·구속 촉구 광주시민비상시국대회'에 참여한 시민들도 불안감을 호소하며 국정 정상화에 힘을 보탤 것을 약속했다.
손어진(38·여)씨는 "한 사람이 권력을 장악하는 사건이 되풀이되는 것이 아닌가 우려스럽다. 시민들은 항상 권력이 한 곳에 집중되는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해왔는데 또 뇌관이 됐다"며 "민주주의는 국가권력이 아닌 시민들의 것이다. 끝까지 시민들과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학생 이상미(26·여)씨도 "계엄령이 오래 이어질까봐 두려웠던 밤이었다. 다시는 없을 줄 알았던 상황이 벌어지면서 공포를 느꼈다"며 "광주는 수많은 열사들이 잠든 뜻깊은 곳이다. 광주 열사들의 뜻을 이어받아 대학생들이 모여 반드시 정권 타도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
강기정 시장 "시민들, 공직자 헌신과 따듯한 행정에 박수"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15일 오후 북구 영락공원을 찾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장례 지원에 총력을 다한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광주시 제공 강기정 광주시장이 올해 첫 간부회의에서 공직자들의 헌신과 시민을 위한 따뜻한 행정에 대해 격려와 감사를 표했다.강 시장은 16일 간부회의에서 최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수습에 앞장선 공직자들을 격려했다. 강 시장은 "유가족과 시민들이 우리 공직자에 대한 칭찬을 참 많이 해주셨다"며 "이런 칭찬은 우리 시민이 공직자의 헌신에 바탕을 둔 따뜻한 행정을 느꼈음을 표현해 준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연가를 취소하고 사무실로 복귀한 공직자, 참사 소식을 듣고 곧장 시청으로 달려온 공직자, 현장으로 빠르게 달려가고도 트라우마를 겪는 119 소방대원들, 무안공항에서 상황을 수습했던 공직자들이 있었기에 (시민의 신뢰가) 가능했다"고 강조했다.또 장기 교육을 위해 대기 중이었음에도 바로 현장으로 달려간 간부들이나 유가족과 1대 1로 연결해 수습을 지원한 공직자들의 헌신 등을 언급하며 이들의 헌신이 시민들에게 따뜻한 행정을 체감하게 했다고 평가했다.이어 강 시장은 공직자들의 신속한 결정과 결단력 또한 시민 신뢰를 얻은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광주시는 무안공항 여객기 사고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명칭을 정확히 규정하고, 신속히 분향소를 설치하며 애도 기간을 선포한 사례를 그 예로 들었다.특히 강 시장은 "지난 계엄에서도 광주는 다른 시·도와 달리 시청을 개방해 시민과 함께 싸우는 행정을 만들어 갔다"며 "마치 80년 5월의 항쟁지도부가 계엄군에 대항하는 진지를 구축한 것과 같이 우리 시는 신속한 결단으로 헌법을 수호했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공직자의 헌신에 기초한 따뜻한 행정과 신속한 결정, 결단의 경험을 축적해 왔고 이제는 그것들로 인해서 행정이 시민들 속에 박수받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힘을 바탕으로 올해 어려워진 민생 경제를 살리고, 미래산업과 문화산업을 양 축으로 든든한 광주의 내일을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공직자들이 앞으로도 시민을 제1의 우선순위에 두고 시민들의 기댈 언덕이 돼달라고도 당부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GGM 노조, 설립 목적 훼손···시민이 지켜달라"
- · 광주시장·전남지사 "이제는 尹 파면·구속만 남아"
- · 광주시 "자동차세 1월에 내고 세금 부담 덜어요"
- · '특혜'냐 '약속이냐'···민주노총 사무실 지원 '불씨'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