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신문 1668호 제작 중단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논란의 중심에 전대신문 편집위원인 내가 있다. 편집위원이 학생 기자단에게 '제작소 6시 마감'을 강요했고, 이를 준수하지 못한 1668호 제작을 중단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왜 편집위원은 이 같은 사태의 장본인이 되었나?"에 대해 설명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신문방송사 주간교수에게 마감 원칙을 최초로 제안한 사람이 바로 편집위원이었기 때문이다.
전대신문은 체계적인 제작 시스템이 부재한 상태였다. 그 결과 외주를 준 제작소에 별다른 조건 없이 지속적인 연장근로를 요구해 왔다. 부끄럽지만 그동안 이에 대해 경각심이 없었다. 이런 관행은 공공기관인 국립대가 민간 업체 디자이너 노동자를 상대로 한 '갑질'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하다. 디자이너 선생님들의 고충을 묵인하면서 더 이상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립대에서 원칙도, 기준도 없이 추가 노동을 요구하는 것은 명백히 비윤리적인 행위다.
이러한 비윤리적인 제작 방식을 알고도 방치하는 것은 학생 기자단에게 비교육적인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싣고 싶은 기사를 이유로 누군가에게 피해를 줘도 되는가. 신문 제작 과정에서 누군가의 노동권을 침해할 수 있음에도 언론의 자유만 외칠 수 있는가. 편집권은 어떠한 제한 없이 무한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율하고 협의한 원칙을 기초로 끊임없는 판단과 결정을 내려가는 과정 속에서 행사되어야 한다. '그냥' 주어지는 권리는 없다.
국내의 모 학보사가 자신들의 신문 제작 과정을 설명한 기사의 한 대목을 읽으며, 더욱 깊은 생각에 잠긴다.
'편집을 저희가 하지 않고 조판소를 가서 하는데 그것도 편집자분들과의 약속이기 때문에 기사를 꼭 제시간에 마감해야 해요. 시간에 맞춰 와줘야 남들이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니까 시간 약속이 저희도 되게 중요한 것 같아요.'
전대신문이 이 당연한 상식을 배우고, 건강한 언론관을 확립할 기회를 스스로 박탈하고 있지는 않은가? 전대신문 정상화를 원하는 우리 모두에게 던져진 질문이다. 전대신문 편집위원 김우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