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자가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합계출산율이라 한다. 한국 합계출산율은 2022년 기준 0.778명이다. 여성 한 명이 낳는 아이가 1명이 채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합계출산율 하락세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 1.24명이었던 합계출산율은 2016년 1.17명, 2017년 1.05명, 2018년 0.98명,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 2021년 0.81명, 2022년 0.778명으로 그야말로 인구소멸을 향해 전력 질주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나라가 없어지는 일도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당연히 국가 차원의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따라붙었다.
실제로 정부는 수십 년간 출산 장려 정책을 펼쳤다. 문제는 이런 노력이 효과를 얻지 못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정책의 방향은 크게 바뀌지 않고 있다.
새해가 되자마자 정부는 물론 인구소멸 위기에 놓인 지자체가 앞다퉈 출산 장려 정책을 쏟아냈다.
정부가 출산율 반등을 위해 꺼내든 카드는 출산지원금과 성장주기별 양육지원금 지원이다. 광주시도 올해부터 만 2세 미만 아동 보육을 위한 부모급여 지원금을 인상했다.
전국 모든 출산·양육 가정에서 수백에서 수천만원에 달하는 지원금을 받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현금성 지원책의 효과는 미미하다. 브레이크 없이 하락 중인 합계출산율이 이를 증명하고 있는 셈이다.
아이를 낳고 키울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는 이상 현금성 지원책은 깨진 항아리에 물을 붓듯 언젠가는 바닥을 드러낼 것이다.
사회가 양육 부담을 함께 짊어지고 돌봄 시스템이 확립돼야만 현금성 지원책의 효과도 더 커지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부모들 역시 다양한 출산·양육 수당과 더불어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아이를 낳고도 직장에서 소외·배제되지 않고 업무를 이어갈 수 있는 환경, 일과 아이를 키우는 일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 일 때문에 아이를 키우는데 소홀함이 생기지 않는 환경 등이 지금이라도 차근차근 만들어져야 하지 않을까. 여성의 한 사람으로 마음 놓고 출산의 기쁨과 양육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나라가 되길 바란다.
김현주 사회에디터 5151khj@mdilbo.com
- 광주글로벌모터스 노조의 '사다리 걷어차기' 지난 10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시청 앞에서 금속노조 광주글로벌모터스(GGM)지회가 '파업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뉴시스 사다리 걷어차기란 자신이 이미 선점한 뒤에 뒷사람이 따라 오는 걸 막아버리는 행동이다.흔히 기득권이 그렇지 않은 이들을 희생해 그들의 이익을 높이려는 행위를 비판할 때 쓰인다. 법적인 문제는 없더라도 도의상 큰 비난을 피할 수 없다. 그렇기에 기득권은 갖가지 명분을 갖다 붙인다.예컨대, 미국이나 영국 등 서구권 선진국들은 온실가스를 무수히 배출하며 경제적 기득권과 기술 패권을 이뤘다. 이들이 기후위기에 대응하자며 갖가지 환경 규제를 걸고 있다. 그러나 맥락과 결과를 살펴보면, 정작 희생은 하지 않고 기득권 국가가 아닌 개발도상국에만 강요하는 행태다. 전형적인 '사다리 걷어차기'다. 이들이 명분을 얻으려면 먼저 희생하는 한편 후발 주자에게 그에 상응하는 기회나 대가를 줘야 한다.마찬가지로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민주노총 산하 노조의 파업은 사다리 걷어차기의 전형이다.민주노총 노조는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삼권을 정당하게 사용하는 것이라며 파업할 권리가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이를 막는 건 노조 탄압이라고 항변하고, 파업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언론에게는 '노조 혐오' 딱지를 붙였다. 35만대 생산까지는 GGM 상생협의회에서 모든 걸 협의하고 결정하겠다고 한 '노사상생협약서'는 무노조·무파업이란 의미도 아니며, 그렇다고 한들 반헌법적이라고 말한다.누가 감히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권을 행사한다는 데 반동적인 행태를 보일 수 있을까. 그것도 민주·인권·평화의 도시 광주에서. 누가 '노조 혐오'라는 돌멩이를 맞아가면서, 헌법에 반해 노동자를 탄압한다는 소리를 들어가며 노조에 적극 맞설 수 있을까.GGM 노조의 말이 다 맞다. 이들이 외치는 '노동삼권'은 당연히 보장돼야 한다. 그렇다면 적어도 노조는 GGM 안이 아닌 밖에서 외쳐야 한다.이미 GGM 안에 들어가서 새로 만들려는 청년 일자리를 막아서며 자신들의 권리만 찾는 모습을 보이지 말아야 한다. 상생협약서를 준수하겠다고 서약까지 하고서 애초에 반헌법적인 약속 따위는 지킬 필요도 없다며 뻔뻔하게 나오지 말아야 한다.GGM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건 노동삼권을 적어도 사업이 안정적 궤도에 올라설 때까지 대승적 목표를 위해 양보하겠다는 '약속'에 기반했기 때문이다.GGM은 기존 완성차 업계가 노·사의 극단적 대립과 기득권 노조의 관행적 파업으로 투자자와 노동자, 국민의 피로감이 극에 달했다는 점을 파고들어 만들 수 있었던 일자리다. 노동자와 사측이 서로 양보하고 여기에 지자체가 '사회적 지원'을 하기로 했기 때문에 현대차의 투자를 끌어낼 수 있었던 사업이다.그 목적은 단 하나, 지역에서 최대한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다.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도, 노동자의 이익을 최대로 높이기 위해서도 아니다. 오로지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자는 취지다. 어느 대기업도 투자하지 않는 '일자리 불모지'에서 그나마 지역이 살아갈 방법이라고….GGM은 지역민들이 염원을 담아 만들어 낸 일자리다. 자신들이 낸 세금으로 GGM 노동자들에 특별하게 현금성 지원을 해줘도 결국 우리 가족들이 취업한 거나 마찬가지라고 기쁜 마음으로 용인해 주고 있잖나.그걸 알고도, 약속까지 하고도 채용이 된 뒤에 내 권리만 찾겠다는 몰염치를 지역민이 납득하지 않는 이유다.'노조 혐오'를 말하기 전에 자신의 일자리를 만들어 준 지역민에 '죄송하다'고 사과해야 한다. 결국 신뢰를 깨뜨려 GGM과 나아가 지역에 대한 잠재적 투자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점에 백번이고 고개를 숙여야 한다. 그러고 나서 그래도 헌법이 보장한 권리는 불가침한 영역이라고 말하라. 그 정도는 해야 지역민이 조금이나마 이해하려는 여지가 있지 않을까?이삼섭 취재1본부 차장대우 seobi@mdilbo.com
- · (약수터) 광주, 보통명사와 보통도시의 사이에서
- · (약수터) 표현의 자유
- · (약수터) 광주 전통시장은 왜 그럴까
- · (약수터) 광주 행정사무감사가 남긴 상처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