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인형극 ‘연희도깨비’ 무대
'흥부와 놀부' 등 동화 엮어 구성
남사당놀이·애니메이션 등 다채
'옛날 옛적, 욕심쟁이 형 '놀새'와 마음씨 착한 동생 '흥덕이'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형 놀새의 심부름으로 산에 나무를 하러간 흥덕이는 갑자기 내린 소나기에 몸을 숨겼고, 그때 어디선가 무서운 소리와 함께 나타난 도깨비들. 이들이 신명나게 놀고 음식을 먹으려는 순간 마침 배가 고팠던 흥덕이가 개암나무 열매를 깨물었다. 이때 난 소리에 깜짝 놀란 도깨비들이 음식과 요술빗자루도 두고 도망갔다. 이로 인해 부자가 된 흥덕이. 하지만 질투심이 강한 놀새도 부자가 되기 위해 숲속으로 들어가는데….'
흥많은 도깨비와 흥겨운 전통연희가 만났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ACC재단)이 오는 7일과 8일 ACC 어린이문화원 어린이극장에서 2024 ACC 공동기획 렛츠플레이 마지막 작품인 '국악 인형극 연희도깨비'를 관객들에게 선보인다.
이번 작품은 '흥부와 놀부'와 '도깨비와 개암나무' 등 익숙한 전래동화를 엮어 내용을 새롭게 구성했다. 욕심 많은 형 놀새와 마음씨 착한 동생 흥덕이가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갑작스럽게 도깨비와 마주치며 벌어지는 이야기로 풀어진다.
이번 연극은 국악 무형 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덜미를 기반으로 한 창작 인형극으로, 애니메이션과 아이들의 시각에 맞춘 조명을 더해 극의 사실감을 더함과 동시에 한국 전통 도깨비와 일본 도깨비가 다르다는 가르침도 줄 수 있는 유익한 시간도 준비했다. 도깨비에게 소원을 빌어 이뤄 질수 있도록 해 아이들이 꿈을 가질수 있는 희망의 메시지도 함께 전달한다.
여기에 흥미진진한 이야기와 함께 전통연희 등 다양한 장치가 더해지며 관객들의 흥을 돋운다. 무대에서는 막대를 조정해 움직이는 우리나라 유일의 전통 인형극인 '덜미'와 대접 돌리기 '버나', 탈놀음 '덧뵈기' 등 신명나는 남사당놀이가 펼쳐진다.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덜미'는 '꼭두각시놀음'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또 이번 공연에서는 이야기꾼 박첨지의 만담을 통해 권선징악이라는 동화 속 교훈과 흥 많은 우리나라 도깨비만의 재미난 유희도 선보인다.
'연희도깨비'는 오는 7일 오전 11시와 오후 3시, 8일 오후 2시 등 총 3회 공연되며, 관람료는 1만 5천원이다. 4세 이상이면 누구나 관람 가능하며, ACC재단 누리집에서 예매하면 된다.
한편 ACC 렛츠 플레이는 국내 및 지역 예술단체와의 상생을 통해 극장과 어린이공연을 활성화하기 위한 공연 프로그램 공모사업이다. 올해는 종로 아이들극장과 협력, 총 5편의 공연을 선정해 무대에 올렸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설날을 즐기자 지난해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열린 설 명절 캘리그라피 체험 행사.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제공 2025년 을사년 새해가 밝았다. 푸른 뱀의 해는 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됨에 따라 설 명절이 한층 길어졌다. 올해 설날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부터 다양한 장르의 영화가 상영되는 광주극장 나들이, 유튜브로 만나는 ACC 창·제작 공연까지 지역민들의 니즈를 충족할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역민들을 기다리고 있다.지난해 열린 고싸움놀이. 광주시 제공◆'가족 모두 온 몸으로' 세시풍속 체험 행사 가득남녀노소 모두가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행사들이 지역민들을 기다리고 있다.우선 국립광주박물관은 오는 28일 나전칠기 열쇠고리(키링) 만들기, 30일 다식 만들기 체험 등 지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또 기획전시전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과 연계해 연날리기 체험, 복주머니 미션 행사 등을 마련했다.ACC재단은 소원나무 적기 행사를 진행한다. ACC재단 제공국립광주과학관은 설맞이 특별과학문화행사를 개최한다. 설 당일인 29일을 제외한 28일과 30일 제기차기·투호·딱지치기·윷놀이·씨름 등 전통놀이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동심을 자극하는 관람객 참여형 비눗방울 공연과 모래마술쇼 등 눈이 즐거운 공연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또 국립광주과학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새해 소망을 댓글로 남기면 선물을 주는 '새해소망한마디' 이벤트를 30일까지 진행한다.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ACC재단)도 오는 28일과 29일 어린이문화원 일대에서 온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2025년 다복다복 설날맞이' 행사를 연다. 아시아 각국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아시아 전통놀이마당'이 어린이문화원에서 열리며, '동심놀이 반달정원' 공연을 어린이극장에서 선보인다.ACC재단은 으라차차 윷놀이 행사를 진행한다. ACC재단 제공광주역사민속박물관은 29~30일 '2025 설맞이 한마당' 체험 행사를 진행한다. 전시실에서 숨은 푸른 뱀 인형을 찾고 선물을 받는 '청사를 찾아라' 프로그램을 비롯해 한복 망토 등 전통 복식 만들기, 캘리그라피(손글씨) 가훈쓰기, 연하장 꾸미기 등 다양한 체험행사가 준비됐다.정월대보름을 맞아 정월대보름의 풍속을 알아보고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도 광주 곳곳에서 열린다.다음달 7일부터 9일까지 광주의 대표 지역축제인 정월대보름 고싸움놀이축제가 고싸움놀이 전수교육관에서 열린다. 2월 8일 용봉동 새봄어린이공원에서는 풍물공연과 세시풍속체험 등을 즐길 수 있고, 2월 12일 임곡동 용진교에서는 달집태우기, 지신밟기 등을 체험할 수 있다.ACC은 오는 25~30일까지 ACC 유튜브 채널에서 '설날은 ACC와 함께'를 운영한다. 사진은 '마디와 매듭' 공연 모습. ACC 제공◆ 역주행작 보러 가는 '광주극장'오는 30일 '그들은 피아노 연주자를 쐈다'가 개봉한다. 아르헨티나 투어 도중 실종된 브라질의 천재 피아니스트 테노리우 주니오르를 찾아 나선 음악 기자 제프 해리스의 꼬리에 꼬리를 무는 재즈 애니메이션이다. 감각적인 연출로 사랑받은 영화 '치코와 리타'를 연출한 페르난도 트루에바 감독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를 디자인한 하비에르 마리스칼이 협업한 작품이다. 영화 내내 흐르는 재즈 음악이 흥을 돋우며 테노리우를 회상하는 동료 뮤지션들의 대사가 감동과 여운을 더한다. 또한 주앙 지우베르투,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등 보사노바와 재즈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들과 그들의 음악이 등장한다.개봉작 외에도 다양한 상영작들이 장기 상영으로 설 연휴 내내 관객들을 맞이한다. '서브스턴스', '총을 든 스님', '파문', '이처럼 사소한 것들', '더 폴-디렉터스 컷' 등을 만나볼 수 있다.ACC은 오는 25~30일까지 ACC 유튜브 채널에서 '설날은 ACC와 함께'를 운영한다. 사진은 '빨간오니' 공연 모습. ACC 제공◆ '쇼파에 누워' 유튜브로 즐기는 '명절'사람에 지쳐 외출을 하고 싶지는 않지만 명절을 즐기고 싶다면 명절 기간 내내 업로드되는 유튜브를 통한 명절 즐기기도 소개한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은 오는 25~30일까지 ACC 유튜브 채널에서 '설날은 ACC와 함께'를 운영한다. ACC는 지난 2020년부터 명절 기간 동안 ACC 우수 공연을 가족과 함께 집에서 편히 볼 수 있도록 공연 영상을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상영하는 'ACC와 함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만나볼 영상은 춤과 노래로 그려낸 '마디와 매듭', 어린이극 '달을 묻을래', '빨간 오니', '절대 무너지지 않는 집', ACC SF 시리즈 '대리된 존엄', 아시아 콘텐츠 시범공연 '사사로운 사서' 등 6편을 집에서 가족들과 즐길 수 있도록 마련했다.동지와 하지, 13절기 안에서 희로애락의 삶을 살아가는 여인들의 모습을 그린 '마디와 매듭'은 '2022 ACC 아시아 스토리 창·제작 공연으로 어벤져스급 제작진으로 화제를 모았으며, 인도의 창작동화를 원작으로 하는 '달을 묻을래'는 마을 화장실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강요당하는 침묵을 깨고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이야기하고 직접 만들고자 하는 '라티카'의 이야기이다.ACC은 오는 25~30일까지 ACC 유튜브 채널에서 '설날은 ACC와 함께'를 운영한다. 사진은 '대리된 존엄' 공연 모습. ACC 제공동양의 안데르센으로 불리는 하마다 히로스케의 원작을 재창작한 작품 '빨간 오니'는 빨강·파랑 도깨비가 주인공이다. 사람들과 친구가 되고 싶은 빨간 오니의 엉뚱하고도 기발한 노력들을 통해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 사랑, 나아가 다양성에 대해 이해해 볼 수 있는 어린이극이다.'절대 무너지지 않는 집'은 다양한 집의 형태를 팝업북과 종이예술로 담아낸 어린이 공연으로 마음의 집을 더 튼튼하게 세우고 지키는 방법을 두 가지의 재미난 이야기를 전하며, '대리된 존엄'은 인공자궁으로 자녀를 갖는 것이 당연한 미래사회, 돈 많은 낭만주의자들의 필요에 의한 대리모 산업의 한 가운데 성실한 소녀 앨리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ACC은 오는 25~30일까지 ACC 유튜브 채널에서 '설날은 ACC와 함께'를 운영한다. 사진은 '사사로운 사서' 공연 모습. ACC 제공마지막으로 공공도서관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 연극 '사사로운 사서'는 '2024 ACC 아시아 콘텐츠 시범공연'으로 무대에 올랐던 작품이다. 도서관 장서들이 침수 사태를 겪으면서 원래의 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의 회복과 익숙한 공간에서 낯선 상황을 맞은 인물이 오랜 부채를 마주하고 회복해 가는 과정을 그린다.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 김아영 작가 수상전 관람객 8만명 '북적'
- · '대중성·화제성' 두마리 토끼 잡는다
- · 시민참여 행사·굵직한 전시···관객 발길 '유혹'
- · '모두의 도원' 전시, 중국 팬심 잡는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