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칼럼] 광주가 진 빚을 갚는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신경구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장 입력 2024.11.24. 16:02

지난 7일 늦은 오후, 전일빌딩에서는 2024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시상식이 열렸다. 이 자리에는 각 부문 수상자들은 물론 슈미트 독일 대사를 비롯한 많은 언론인과 광주 시민들이 참석했다.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가 된 (고)문재학 군의 어머니가 참석해서 의미를 더했다.

대상 수상작인 '가자로부터 온 목소리(Voices of Gaza)'는 가자지구의 구조원과 어린아이의 시선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을 알 자지라(Al Jazeera) TV를 통해 보여줬다. 인구 200만명의 가자지구에서 4만명이 죽었으니, 이는 광주의 인구를 기준으로 3만명, 한국 전체로는 100만명이 사망한 것과 같아 그 전쟁의 참상을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수상자 4명 중 한 명인 마르완 알 사와프 기자가 이스라엘 폭격을 취재하던 도중 사망하는 등 이미 100명이 넘는 기자가 목숨을 잃었다.

뉴스 부문 수상작인 '가자봉쇄 안에서(Inside the Gaza Siege)'는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군 공습이 시작된 뒤 민간인과 공공시설의 피해, 응급 구조 상황을 다룬 보도다. 영상 기자이자 국제기구 현지 활동가로 활동하는 유세프 함마쉬가 영국 채널4뉴스를 통해 이를 보도했다.

특집 부문에서는 이란의 '히잡착용 반대시위'를 취재한 보도가 수상했다. 이 보도는 투옥과 즉결 처형의 위험을 무릅쓰고 시위대를 인터뷰하고 촬영하여 영국 ITV 뉴스 10에 보도한 네 명의 기자가 제작한 작품이다. 이들 중 한 명은 자기 이름을 공개하지 못 할 뿐 아니라, 2022년 시작된 이 시위로 2만 명 이상이 체포되고 500명 이상이 사망했다는 통계는 탄압의 심각성을 잘 보여준다.

이 시상식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은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했다. "광주항쟁이 조명을 받은 것은 힌츠페터를 비롯한 용기 있는 언론인 덕분이다. 그로 인해 광주는 외롭지 않았고, 한국의 민주화에 기여할 수 있었다. 이제 광주는 세계에 진 빚을 갚아야 한다."

이 발언은 광주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관통하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1980년 5월, 광주는 군사독재 정권의 폭압에 맞서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다. 그 당시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를 비롯한 많은 기자들이 목숨을 걸고 광주의 진실을 세계에 알렸다. 그의 용기 있는 보도로 인해 광주의 외침은 국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졌고, 이는 한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광주 시민들은 국내외 연대 덕분에 군사독재의 탄압 속에서도 외롭지 않았다. 이러한 경험은 광주가 민주, 인권, 평화의 도시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현재 광주는 이 정신을 계승하며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싸우는 이들과 연대하고 있다.

힌츠페터국제보도상은 이러한 광주의 노력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 상은 전 세계에서 민주주의, 인권, 평화를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진실을 전하는 언론인들의 노고를 인정하고 격려한다.

광주는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외에도 광주인권상, 광주민주포럼, 세계인권도시포럼 등 다양한 국제 행사를 통해 세계와 연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광주가 받은 도움에 대한 보답이자 세계 평화와 인권 증진에 기여하는 중요한 통로다.

광주는 더 적극적으로 '빚 갚는 일'을 지속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민들이 국내 문제뿐 아니라 국제 문제에도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약 두 시간 동안 진행된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시상식 MBC유튜브 조회수가 6천500회를 넘긴 것은 긍정적인 신호다. 무등일보가 이를 집중적으로 보도한 것도 반가운 일이다. 우리나라 언론은 국제 뉴스 보도와 함께 국내의 의미있는 국제행사를 적극적으로 보도해서, 시민들의 시야를 넓혀야 줘야 한다.

시민사회 역시 '무능 정권 퇴진 운동' 등 눈앞의 일 뿐 아니라 미얀마 민주화 운동, 우크라이나 전쟁, 가자지구 참상 등 국제적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광주비엔날레에서 이스라엘 파빌리온이 큰 반대 없이 문을 연 것은 베니스비엔날레에서 이스라엘관이 문을 열지 못한 것과 대조적이다. 가자지구 학살에 대한 항의는 물론 이스라엘에 대한 살상 무기 수출 반대 운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사회가 움직여야 한다.

지방정부 역시 지역 문제 해결에 투자하면서도 국제 민주와 인권 문제에도 인력과 재정을 투자할 여유를 가져야 한다. 특히 광주의 공공외교는 코이카 지원사업이나 단기간 방문 행사에 머무르지 않고, 현지의 시민단체 또는 지방정부와 협력해서 지속적인 사업으로 확대돼야 한다.

신경구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장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