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목표 5만대 생산 무난할 듯
올 신입사원 86명도 첫 근무 시작

지난해 9월 역사적인 첫차 '캐스퍼'를 출시한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양산 5개월만에 누적생산 1만7천대를 돌파했다.
이달 중에는 '캐스퍼 밴' 생산에도 본격 들어갈 예정이어서 올해 목표 5만대 생산이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 따르면 지난해 9월15일 첫차를 출시한 이후 양산 3개월 만에 누적 생산 1만대를 돌파하는 등 지난해 생산목표인 1만2천대를 무난히 달성했다.
올해도 반도체 수급 차질 등에도 불구하고 2월 현재 누적 생산대수 1만7천여대를 기록 중이다. 판매대 수도 1만6천여대를 돌파했다.
GGM에서 생산하는 엔트리 SUV 모델 '캐스퍼'는 실용성과 안정성, 개성 넘치는 디자인으로 출시하자마자 사전 계약 첫날에만 1만8천940대를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특히 이달 중에는 '캐스퍼 밴' 생산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예정이어서 올 생산 목표 5만대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밴 생산을 위한 마지막 점검을 진행 중이다.
'캐스퍼 밴'은 캐스퍼의 디자인과 안전·편의사양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기존 2열 시트 공간을 비워내 940 ℓ의 적재 용량을 강화한 모델이다. 법인 고객을 포함해 다양한 용도로 차량을 활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선택폭을 한층 넓혀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같은 생산량에 맞춰 올해 입사한 신입사원 86명(신입 79·경력 7)도 이날부터 첫 근무를 시작했다.
현재 GGM 전체 근로자는 636명으로 1교대 인력을 확보한 상태다.
'광주형 일자리 1호' 모델답게 GGM 전체 인력의 95%가 광주·전남 출신, 80%가 20~30대 젊은 층으로 지역 일자리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GGM은 반도체 수급 등 하반기 시장 상황에 따라 생산량 증가나 2교대에 대비한 인력 확보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광태 대표이사는 "GGM은 지난해 목표인 1만2천대 생산을 달성하고 올해도 계획대로 순조롭게 생산을 진행하고 있어 올 5만대 생산 목표를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올해는 상생의 정착과 안전을 기반으로 한 최고품질 확보를 통해 자동차 위탁 생산 전문기업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다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대우기자 ksh430@mdilbo.com
-
상춘객 와야 하는데 구제역···'웃픈' 봄맞이 20일 영암과 무안 총 12개의 한우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가운데, 영암의 한 한우농가에서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영암과 무안 등에서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봄맞이 행사로 전남을 찾는 관광객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방역당국과 축산농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구제역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당국의 노력으로 현재 다른 지역으로의 추가 확산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지만, 대규모 관광객들의 유입이 구제역 확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보다 철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20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이날 구제역 발생 농가는 영암 11곳, 무안 1곳 등 총 12곳이다.이에 전남도는 영암과 무안, 나주, 화순, 강진, 해남, 목포, 함평, 신안, 장흥 등 10개 시·군의 구제역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상향시켰다.구제역 위기 경보 상향에 강진 '전라병영성축제', 영암 '왕인 문화축제', 신안 '섬 수선화 축제'와 '1004섬 목련 축제'가 연기됐다. 무안 '운남 돈·세·고 축제' 등은 일정을 미루고 방역에 집중하기로 했다.혹시 모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구제역 발생지역 인근 지자체마다 선제 대응에 나선 셈이다.하지만 경기 침체 속에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 봄맞이 행사, 즉 축제를 무조건 포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구제역 발생지역과 관계없는 지역에선 예정대로 축제를 개최할 예정이다.또 해남 '달마고도 힐링축제'(3월15일~4월5일)와 구례 '300리 벚꽃축제'(3월28일~31일), 여수 '영취산 진달래축제'(3월22일~23일),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3월29일~4월1일), 완도 '청산도 슬로걷기축제'(3월15일~4월5일), 보성 '벚꽃축제'(3월29일~30일) 등은 기존 일정대로 추진된다.하지만 이같은 축제는 필연적으로 대규모 인파 이동이 불가피해 방역차단선이 무너질 수 있다는 점에서 축산농가들로선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나주 관정동에서 한우농장을 운영 중인 김모(63)씨는 "지역 축제에서는 해당 지역 뿐 아니라 전국 각지의 사람들이 몰리는데, 구제역은 비말(콧물·침), 호흡, 차량, 물 등 수많은 감염 경로가 존재해 영암과 무안뿐만이 아닌 전남 전역에 대유행으로 퍼질 수 있다"며 "최소한 구제역 항체가 형성되는 기간만이라도 지역 축제를 미뤄 방역 위험을 막아야 한다"고 우려했다.방역을 이유로 축제를 전면 취소할 순 없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전남도는 축제와 방역을 철저히 분리하겠다는 방침이다.구제역 발생 지역에 대한 외부 접근을 철저히 차단해 추가 확산 예방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각오다.전남도 관계자는 "각 지자체가 주최하는 축제를 도에서 행정적으로 막을 순 없지만, 축제 유동인구와 축산농가 사이의 접촉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축제 내에서 축산과 관련된 프로그램은 진행시킬 수 없도록 하고, 농가 종사자와 축제 참가자 간의 접촉도 막아 방역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차솔빈 기자
-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 · 광주 휘발유 최저 1천500원대 진입
- · 실증도시 광주, 창업기업들 몰려들어 '이젠 전국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