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기업 69.2% 리스크로 ‘내수소비 위축’
광주 지역 4분기 제조업 체감경기가 어두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광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광주 지역 13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24년 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BSI(기업경기실사지수) 전망치가 전분기(97)보다 3p하락한 94로 집계됐다.
이는 고물가·고금리 기조 장기화로 수요 부진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동 분쟁 확산, 미국 대선 등 대외 여건 변화와 미국, 중국 등 주요국들의 경기침체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체감경기가 2분기 연속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BSI는 수치가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이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4분기에 특히 우려되는 대내외 리스크로는 69.2%가 '내수소비 위축'을 꼽았고, 뒤를 이어 '유가·원자재가 상승'(37.7%), '고금리 등 재정 부담'(29.2%), '수출국 경기 침체'(25.4%), '환율 변동성 확대'(23.1%)', '(기업부담법안 등) 국내 정책 이슈'(11.5%) 순이다.
업종별로는 전자제품·통신, 식음료는 전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자동차·부품, 기계·장비, 철강·금속, 화학·고무·플라스틱은 전분기보다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했고, 유리·시멘트는 전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중견기업은 대내외 수요 부진 및 제조경기 위축 등으로 3분기 실적(124→62)은 지난 분기보다 대폭 감소했으며, 4분기 전망(88→77) 또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역시 전방산업 업황 부진 및 생산·투자 둔화 등으로 3분기 실적(97→72)은 전분기보다 25포인트 감소했고, 4분기 전망(99→96) 또한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올해 실적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65.8%가 영업이익이 올해 초 계획한 '목표 대비 미달될 것'이라고 답했고, 대·중견기업 역시 실적이 '목표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이 46.2%로 가장 많았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국내외 수요 부진이 장기화되는 데다 유가·환율 변동 등에 따른 경영리스크 또한 증가하면서 지역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며 "내수와 투자수요 회복을 위한 경기 부양책 마련과 더불어 대외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정부 차원의 다각적 대응체계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트럼프 2기 통상정책...지역 경제계도 예의주시 기아 오토랜드 광주에서 조립 중인 셀토스. 기아 제공트럼프 2기 행정부가 본격 출범하면서 '미국 우선주의'로 대변되는 통상정책을 두고 지역 경제계가 예의 주시하고 있다.보편관세가 현실화되지 않은 데다 지역 내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가전 등이 직접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통상정책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상황변화를 염두에 둔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21일 지역경제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우려했던 '관세 폭탄'을 시행하지 않고 부과가능성만을 열어뒀다.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글로벌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출범 전부터 제시해 왔다는 점에서 '불확실성'만 더욱 커진 상황을 지켜보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 외엔 이렇다 할 방안 마련은 시기상조라는 것이다.특히 광주·전남의 경우 대미 수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반도체와 전기차 등 큰 타격이 우려되는 분야와 연관성이 낮아 현재까진 '새로운 통상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낮을 것'이라는 반응도 나온다.실제로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수출액 1천277억 8천647만 7천 달러 중 광주·전남 비중은 6.44% 수준인 82억 2천900만 달러에 불과하다.지역별로도 광주 수출액 중 대미 수출액은 전체 수출의 30.3% 수준인 47억 2천200만 달러이며 전남은 7.71%인 35억 700만 달러에 그치고 있다.여기에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가전 역시 지역업체가 완제품을 수출하는 구조가 아닌 기아와 삼성전자에 부품을 공급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대기업 상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하지만 기아 오토랜드 광주 역시 미국 주력 수출 제품인 스포티지가 미국 현지 공장에서도 생산되고 있는 데다 관세 논란 가능성이 있는 멕시코 공장의 생산 차종과도 전혀 연관이 없어 현재로서는 지켜보는 것 외에 이렇다 할 대안 마련은 없다는 입장이다.'글로벌 스마트가전 생산거점'으로 마더팩토리 역할을 맡고 있는 삼성전자 광주사업장도 상황에 따른 대책 마련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그러나 일각에선 보편관세 등으로 전반적인 경제 악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지역 경제계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강조병 광주상의 기획조사본부장은 "지역 주력산업 구조가 완제품 생산 수출보단 부품 공급에 방점이 찍혀 있는 데다 피해 우려 산업이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고 봐야 한다"며 "아직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지역 업체들도 특별한 대책보단 상황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시, 전국기능경기대회 예산 '싹둑'···대회 차질 빚나
- · "주택시장 위기 대응을 위해 모든 역량 결집하겠다"
- · ‘고사 직전' 광주 관광업 "업종별·관광객 수송지원 등 시급"
- · 광주신세계, 금호아트홀 대신할 문화 공연장 검토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