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애니메이션·교육·보안 등 다양한 분야 구성 '눈길'
투자자, 기업인 더해 인공지능 관심 대학생, 시민도 참여
창업기업 제품 소개 기회, 참여자도 AI 정보 얻어 유익
"다양한 분야의 창업 제품에 AI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직접 보고 체험도 해볼 수 있어서 좋네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이틀간 진행되는 'AI TECH+2024' 전시와 '2024 광주창업페스티벌'이 첫 날부터 투자자, 기업인을 비롯해 AI에 관심있는 대학생, 시민 등이 몰려들면서 큰 호응을 받고 있다.
28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는 'AI TECH+2024' 전시와 '2024 광주창업페스티벌'에 참여한 기업·기관의 부스 80여개가 마련됐다.
방문객들은 SK텔레콤, 구글 클라우드, 삼성 C-Lab 등 대기업 부스와 옵토닉스, 호원을 포함한 강소기업 부스를 오가며 제품 설명을 듣거나 체험에 참여하느라 여념없는 모습이었다.
뿐만 아니라 농업, 애니메이션, 교육, 시스템 보안 등 여러 분야의 창업기업이 AI를 접목시킨 기술·제품들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인공지능 펫 하우스로 이번 행사에 참여한 창업기업 '디어디어' 부스에는 애견인들과 반려동물 산업에 관심있는 투자자들이 모여들었다.
디어디어 관계자는 "비접촉 레이더 센터를 통해 반려동물의 호흡과 심박, 체온을 측정해 모니터로 확인할 수 있고, 온풍·송풍으로 반려동물에게 최적의 환경을 유지해주는 상품을 소개하고 있다"며 "투자자가 아니더라도 환견(아픈 강아지)을 키우고 있는 분들이 관심을 보이셔서 해당 상품을 실증하고 있는 체험 장소를 안내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생 김모씨(20)는 "전북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데 AI 관련 창업기업들이 모이는 행사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왔다"며 "생명공학을 전공해 바이오 분야에 AI를 접목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관심 분야가 아니더라도 펫 산업, 농업 등에 AI를 활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어서 유익했다"고 했다.
특히 AI로 사진을 편집해주거나, 심리상담을 해주는 등 체험 부스들이 방문객들로부터 인기를 끌었다.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사진을 찍으면 설정한 콘셉트에 맞게 머리 모양, 옷차림, 배경 등을 AI가 자동 변환해주는 기계를 부스에 설치해 이를 이용하기 위한 사람들로 긴 줄이 서기도 했다.
장진우(29)·서덕현(32)씨는 "대학원에서 생명과학을 연구하고 있다. 스마트팜 등 사례들을 접하면서 AI 활용 분야가 얼마나 다양한지 알 수 있었고, 실제로 체험해 보니 재밌었다"며 "연구 분야에 AI를 어떻게 적용하면 유용할지 고민했는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또한 공공분야에서의 AI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타지역에서 방문한 사례도 있었다.
세종시에서 온 한 공무원은 "AI분야에 관심이 있어 왔다"며 "지자체의 공공분야에 AI를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과 사례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광주신세계, 금호아트홀 대신할 문화 공연장 검토한다 금호아트홀(금호아트홀 홈페이지 갈무리) 광주신세계가 '광주종합버스터미널(광천터미널) 복합화 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광주시의 제안으로 금호아트홀을 대신할 공연 문화시설 운영을 검토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13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시가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복합화 사업'을 추진 중인 광주신세계에 공연 문화시설 운영을 제안했으며, 광주신세계 측은 이를 검토 중이다.광주시는 지난 6월 폐관된 유스퀘어문화관 내 금호아트홀 규모 이상의 공연 문화시설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금호아트홀은 클래식과 독주 공연이 열리던 공간으로 316석 규모다. 최고의 음향시설을 보유해 지역에서 유일하게 클래식 음악회 전용홀로 이용되기도 했으며, 울림이 좋아 독주회와 실내악 연주회에 최적화된 공연장이었다. 지난 2009년 개관이래 총 2천600여회 공연이 진행됐고, 연간 공연 횟수만 200여회에 달할 정도로 클래식 공연계에서 각광을 받았다.뿐만 아니라 광주예술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공연장을 개방해 다양한 연주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2010년부터 매년 금호아트홀에서 열리던 '금호 주니어 콘서트'는 2023년까지 총 175호·183명 연주자를 배출해 음악 영재 등용문으로 자리매김했다가 사라지게 돼 아쉬움을 남겼다.과거 금호아트홀에서 입시준비생 등도 공연의 기회를 가졌던 만큼 지역민을 위한 공연장을 조성해 운영해달라는 게 광주시의 입장이다. 시는 또 사업자 입장에서 공연 공간을 채워야 하므로 시민들이 향유할 수 있는 공연들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광주신세계 측은 "광주시로부터 공연 문화시설 제안을 듣고 검토 중인 것은 맞다"면서도 "아직 확정된 내용은 없어 자세한 사항을 공개하긴 어렵다"고 밝혔다.광주신세계백화점의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복합화 사업'은 유스퀘어 문화관에 백화점을 신축해 확장하고, 버스터미널 부지에 특급호텔과 지상 공원 등 문화·상업·업무시설을 짓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난해 10월 광주시 도시계획·건축 공동위원회 자문회의를 거쳐 광천터미널 부지를 도시계획 변경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돼 행정 절차 중이다.지역 예술업계 반응은 긍정적이다.안선순 한국예총광주시연합회 사무처장은 "광주 문화예술회관에는 대극장, 소극장이 있고 하지만, 금호아트홀의 경우 복합공간이었기 때문에 이용이 편해 주최하는 입장에서도 선호했다. 폐관돼 아쉬움이 컸다"며 "1천석 이상의 대규모 공연장은 관객석을 채우는 데도 부담이 되는데, 중간 규모로서 역할을 잘 해준 곳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금호아트홀 같은 공연 문화시설이 다시 생긴다면 위치상 유동인구도 많은 만큼 시민들에게 다시 큰 사랑을 받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비상계엄·여객기 참사까지···지역 여행업계 '후폭풍'
- · 한국발명진흥회 광주지회, '광주IP경영인클럽'으로 새출발
- · 계속 오르던 기름값...올들어 더 가파라졌다
- · 비행기 포비아에 예약 취소 빗발···여행업 줄도산 우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