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주일새 2~9원↑…오름세 둔화 뚜렷
유류세 인하폭 조정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던 광주지역 기름값이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양새다.
11월 들어 유류세 조정으로 인한 추가 부담분으로 41~42원가량 인상되면서 4주 동안 최대 50원가량 오르던 휘발유와 경유가격이 최근 1 주일새 상승폭이 확연하게 둔화되면 서다,
2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광주지역 휘발유 평균가격은 전날보다 0.25원 오른 1천622.46원이며 경유가격은 1.54원 내린 1천456.86원을 기록했다.
유류세 인하폭 조정이 이뤄지기 하루 전인 10월 31일 휘발유 1천586원, 경유 1천408원이었음을 감안할 때 휘발유는 36원, 경유는 49원가량 올랐다.
앞선 10월 한 달간 휘발유와 경유 상승분이 각각 24원, 16원에 불과했다는 점과 비교하면 휘발유 인상폭은 1.5배, 경유는 3배에 달했다.
하지만 최근 1 주일새 가격 추이를 보면 휘발유의 경우 상승세가 대폭 꺾었다.
휘발유는 기간 동안 단 2원만 올랐으며 반면 경유는 전국 평균 상승분은 6원보다 높은 9원이 올랐다.
그래도 광주지역 휘발유와 경유가격은 대구·울산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라는 점에서 휘발유와 경유 모두 전국평균보단 17원에서 22원가량 저렴한 수준이다.
이 같은 가격 안정세 추이는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인 영향으로 보인다.
수입 원유가격의 기준인 두바이유의 경우 이달 들어 73.56달러에서 출발했지만 지난 22일 74.17달러까지 올랐다가 현재 71.86달러로 다시 하락했다.
국제휘발유가격도 같은 기간 동안 79.36달러에서 최고 81.54달러까지 올랐다가 현재 79.75달러 를 기록하고 있으며 경유가격도 90.84달러에서 91.48달러까지 올랐다가 87.59달러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제유가가 OPEC+회의에서 석유 감산 완화 시기의 연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시장 기대와 불안정한 이스라엘-레바논 휴전 상황 등을 반영해 상승하는 등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정부도 이 같은 국제 유가의 불확실성을 반영해 유류세 인하를 내년 2월 말까지 연기키로 하는 등 급격한 가격 상승에 대비하고 있어 현재 안정세가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 셈이다.
한 운전자는 "유류세 인하 조정으로 주유비가 크게 오르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생각보단 인상폭이 작았던 것 같다"며 "그래도 겨울철이 기본적으로 유류사용량이 많은 시기라는 점에서 가격이 확 뛰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재 광주지역 휘발유 최저가는 1천539원, 최고가는 1천729원이며 경유 최저가는 1천397원, 최고가는 1천619원이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트럼프 2기 통상정책...지역 경제계도 예의주시 기아 오토랜드 광주에서 조립 중인 셀토스. 기아 제공트럼프 2기 행정부가 본격 출범하면서 '미국 우선주의'로 대변되는 통상정책을 두고 지역 경제계가 예의 주시하고 있다.보편관세가 현실화되지 않은 데다 지역 내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가전 등이 직접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통상정책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상황변화를 염두에 둔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21일 지역경제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우려했던 '관세 폭탄'을 시행하지 않고 부과가능성만을 열어뒀다.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글로벌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출범 전부터 제시해 왔다는 점에서 '불확실성'만 더욱 커진 상황을 지켜보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 외엔 이렇다 할 방안 마련은 시기상조라는 것이다.특히 광주·전남의 경우 대미 수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반도체와 전기차 등 큰 타격이 우려되는 분야와 연관성이 낮아 현재까진 '새로운 통상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낮을 것'이라는 반응도 나온다.실제로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수출액 1천277억 8천647만 7천 달러 중 광주·전남 비중은 6.44% 수준인 82억 2천900만 달러에 불과하다.지역별로도 광주 수출액 중 대미 수출액은 전체 수출의 30.3% 수준인 47억 2천200만 달러이며 전남은 7.71%인 35억 700만 달러에 그치고 있다.여기에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가전 역시 지역업체가 완제품을 수출하는 구조가 아닌 기아와 삼성전자에 부품을 공급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대기업 상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하지만 기아 오토랜드 광주 역시 미국 주력 수출 제품인 스포티지가 미국 현지 공장에서도 생산되고 있는 데다 관세 논란 가능성이 있는 멕시코 공장의 생산 차종과도 전혀 연관이 없어 현재로서는 지켜보는 것 외에 이렇다 할 대안 마련은 없다는 입장이다.'글로벌 스마트가전 생산거점'으로 마더팩토리 역할을 맡고 있는 삼성전자 광주사업장도 상황에 따른 대책 마련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그러나 일각에선 보편관세 등으로 전반적인 경제 악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지역 경제계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강조병 광주상의 기획조사본부장은 "지역 주력산업 구조가 완제품 생산 수출보단 부품 공급에 방점이 찍혀 있는 데다 피해 우려 산업이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고 봐야 한다"며 "아직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지역 업체들도 특별한 대책보단 상황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시, 전국기능경기대회 예산 '싹둑'···대회 차질 빚나
- · "주택시장 위기 대응을 위해 모든 역량 결집하겠다"
- · ‘고사 직전' 광주 관광업 "업종별·관광객 수송지원 등 시급"
- · 광주신세계, 금호아트홀 대신할 문화 공연장 검토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