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있는 수제 상품 선호 2030세대서 인기

경기침체 속에서도 초콜릿 예약이 마감되는 등 밸런타인데이 특수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 1인 디저트 가게들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 가게들은 자신만의 디저트를 개발하거나, 손님의 선택에 맞춰 구성을 달리하는 등 차별화를 통해 수제 상품을 선호하는 2030세대들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다.
11일 광주 동구에 위치한 초콜릿 전문점 '동명당' 입구에는 밸런타인데이 예약이 마감됐다는 안내문이 붙어있었다.
지난해 7월 문을 연 동명당은 지난주부터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예약을 받기 시작해 지난 8일 예약이 마감됐다.
이곳은 대표인 노정희씨가 프랑스 유명 요리학교인 '르 꼬르동 블루' 서울캠퍼스에서 교육을 받았다는 전문성과 예쁜 디자인으로 초콜릿 애호가들 사이에서 입소문이나 있다.

이날도 매장에는 라즈베리 딸기, 패션후르츠 망고, 말차, 구아바 등 다양한 맛으로 예쁘게 디자인된 초콜릿들이 진열돼 있었다.
홀로 동명당을 운영하고 있는 노씨는 "가격이 저렴하진 않지만, 초콜릿 디자인이 다양하고 예뻐서 선물하는 분이나 받는 분들도 좋아하시는 거 같다"며 "12가지 초콜릿 중 고객이 원하시는 대로 6구, 9구로 맞춰드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초콜릿 원가 상승으로 관련 자영업자들의 애로사항이 있다고도 했다. 노 씨는 "환경 문제로 카카오 열매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초콜릿 공급 회사에서 가격을 올려, 원가가 지난해 대비 15%가량 많이 오른 상황"이라며 "밸런타인데이 특수가 있지만 초콜릿 원가 상승으로 판매를 포기한 곳들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광주 서구 치평동에 위치한 구움과자 전문점 '오온당'에서도 밸런타인데이 기념 상품들이 불티나게 판매되고 있다.
오온당에서는 구움과자, 쿠키, 케이크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밸런타인데이를 맞아 초콜릿과 곰돌이스모어쿠키, 초코프레첼 등 상품을 출시하고 가격대별 구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오온당의 제품들은 예쁜 디자인의 수제 상품을 선호하는 2030세대와 커플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오온당은 지난 3일부터 밸런타인데이 기념 초콜릿 예약을 받기 시작했는데, 지난 뻬빼로데이보다 더 높은 예약률을 보이고 있다.
1인 창업자인 김하람 오온당 사장은 "지난해 5월부터 가게 운영을 시작했는데 빼빼로데이 때 상품이 많이 나가서 올해는 더 많이 준비했다"며 "준비 물량을 늘렸는데도 예약이 그만큼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기 요인을 꼽자면 차별화인 거 같다. 다른 카페에서 안 파는 구움과자들을 판매하려고 고민을 많이 했다"며 "그 중 하나가 구움과자에 찹쌀떡과 팥을 넣은 '구움찹쌀떡'이고, 이번 발렌타인데이에도 잘 판매되는 쿠키에 마쉬멜로우 등을 얹어 꾸민 쿠키 등을 판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광주·전북은행 공동전산센터, 광주 추가 건립 4월 초 결정 광주은행 전경 전주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키로 했던 JB금융지주가 광주은행 노조 측의 강력 반발로 광주에도 해당 전산센터를 건립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해당 사안은 이르면 내달 초 이사회에서 결정될 전망이다.23일 지역 금융업계에 따르면 JB금융그룹은 내달 초 그룹 지주 이사회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안을 상정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당초 JB금융그룹은 670억원을 들여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이는 앞서 두 은행의 전산센터 운영 취약점을 개선하라는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대한 후속 조치였다.이와 관련, 광주은행 노조 측은 두 은행의 전산센터 통합을 '하나의 은행으로 가기 위한 원 뱅크(One Bank) 준비 단계'로 규정하고 강도 높은 저지 투쟁을 이어왔다. 그러면서 광주지역에 공동전산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방안을 건의했다.JB금융그룹은 전산망 안전 운영 등을 고려해 광주에도 공동전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노조의 건의 사항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광주은행 노조 측은 "공동전산센터를 2개 체제로 가는 부분에 대해서 상호 공감을 하고 있다"며 "이사회 의결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광주에도 새로운 센터가 건립되면,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데이터를 저장한 전산센터가 전주와 광주에 각각 생기게 된다. 광주 입지는 앞서 전주 탄소소재 산단과 경합했던 '광주 첨단3지구 내 AI(인공지능) 융복합지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광주은행 관계자는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방안에 대해 그룹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며 "이사회를 통해 결정될 사안"이라고 말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상춘객 와야 하는데 구제역···'웃픈' 봄맞이
-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 · 광주 휘발유 최저 1천500원대 진입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