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려가던 국제유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
대내외 불확실성 속 인하 계속될진 미지수

지난해 10월부터 상승세를 이어온 기름값이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실질적인 체감효과를 느끼기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유류세 인하폭 조정 전부터 주당 평균 10원 가까이 오름세를 이어왔지만 떨어진 금액은 2~3원에 불과한 데다 하락세가 오래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12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평균 휘발유가격은 전날보다 0.46원 내린 1천730.51원이며 경유는 0.43원 내린 1천596.22원이다.
휘발유 1천733원, 경유 1천598원을 최고점으로 최근 5일 새 휘발유와 경유 모두 2원가량 내린 셈이다.
광주지역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7일 1천719원이던 휘발유는 이날 현재 1천716.81원(판매가 1천717원)으로, 경유는 1천588원에서 1천584.82원(판매가 1천585원)으로 각각 2원과 3원 내렸다.
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 16주간 기름값이 오르던 동안 상승분이 휘발유는 180원, 경유는 198원으로 평균적으로 주당 10원가량 올랐다는 점에서 현재의 하락세는 체감하기 힘들 정도로 낮은 수준이다.
평균 2~3원이 낮아졌다고는 하지만 주유소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에게는 '전혀 변화가 없다'는 불만이 나올 정도다.
한 운전자는 "주유소를 지나갈 때마다 휘발유 가격이 얼마인지 습관처럼 확인하고 있는데 가격이 내렸다는 느낌조차 들지 않는다"며 "최소한 몇십 원씩 내려야 어느 정도 체감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번 하락세는 최근 환율 상승세가 둔화된 영향으로 풀이되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다시 상승 전환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국내 유가에 2~3주 차이로 반영되고 있는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는 점에서 상승 전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국제 유가의 기준점인 두바이유의 경우 올 들어 75.18달러로 출발해 84.61달러까지 상승했다가 이달 들어 79달러선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6일 기준 77.45달러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돼 11일 기준 79.30달러까지 올랐다.
한편 이날 광주지역 휘발유 한편 이날 현재 광주 지역 휘발유 최저가는 1천655원, 최고가는 1천839원이며 경유 최저가는 1천498원, 최고가는 1천729원이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전북은행 공동전산센터, 광주 추가 건립 4월 초 결정 광주은행 전경 전주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키로 했던 JB금융지주가 광주은행 노조 측의 강력 반발로 광주에도 해당 전산센터를 건립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해당 사안은 이르면 내달 초 이사회에서 결정될 전망이다.23일 지역 금융업계에 따르면 JB금융그룹은 내달 초 그룹 지주 이사회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안을 상정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당초 JB금융그룹은 670억원을 들여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이는 앞서 두 은행의 전산센터 운영 취약점을 개선하라는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대한 후속 조치였다.이와 관련, 광주은행 노조 측은 두 은행의 전산센터 통합을 '하나의 은행으로 가기 위한 원 뱅크(One Bank) 준비 단계'로 규정하고 강도 높은 저지 투쟁을 이어왔다. 그러면서 광주지역에 공동전산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방안을 건의했다.JB금융그룹은 전산망 안전 운영 등을 고려해 광주에도 공동전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노조의 건의 사항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광주은행 노조 측은 "공동전산센터를 2개 체제로 가는 부분에 대해서 상호 공감을 하고 있다"며 "이사회 의결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광주에도 새로운 센터가 건립되면,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데이터를 저장한 전산센터가 전주와 광주에 각각 생기게 된다. 광주 입지는 앞서 전주 탄소소재 산단과 경합했던 '광주 첨단3지구 내 AI(인공지능) 융복합지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광주은행 관계자는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방안에 대해 그룹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며 "이사회를 통해 결정될 사안"이라고 말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상춘객 와야 하는데 구제역···'웃픈' 봄맞이
-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 · 광주 휘발유 최저 1천500원대 진입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