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가공식품 가격 인상 불가피
정부, 주요 수입 원재료 할당관세 확대 등 물가안정 지원

고환율의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등 식재료 수입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서민 밥상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주요 수입 원재료에 대해 일정기간 관세율을 낮추는 할당관세를 확대 적용키로 하는 등 각종 지원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12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냉동 고등어는 1kg당 4천137원으로 전년 동기(2천997원) 대비 38.0% 올랐다.
같은 기간 갈치(신선, 냉장)는 1kg당 71.5%(7천983원→1만 3천692원), 고등어(냉동)는 1kg당 38.0%(2천997원→4천137원) 더 비싸졌다.
수입 축산물의 경우 닭고기는 1kg당 3천674원으로 전년 동기(2천940원) 대비 25.0% 상승했다.
닭날개는 1kg당 5천524원에 수입돼 전년 동기(3천850원)보다 43.5%, 소고기는 1kg당 11.9%(1만715원→1만1천985원) 가격이 올랐다.
커피 생두와 원두도 가격이 지난해 1월보다 오름세를 기록했다. 생두는 66.4%(5천94원→8천478원), 원두는 37.7%(2만3천813원→3만2천757원) 더 비싸졌다.
이처럼 수입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자, 이를 소비해야 하는 자영업자와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광주 동구에서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노모(40)씨는 "가공된 초콜릿을 납품받고 있다"며 "현재 가격도 지난해보다 15%가량 높아졌는데, 오는 6월에 또 인상된다고 알려와 걱정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또한 일각에서는 환율이 지속 상승할 경우 오는 5~6월께부터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공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 ▲코코아생두, 커피농축액, 설탕, 오렌지농축액, 토마토페이스트 등 주요 수입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확대 적용 ▲커피, 코코아 등 수입부가가치세 면세를 올해 12월까지 연장 ▲밀, 코코아, 커피, 유지류를 포함한 식품소재 구입자금 등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역 유통업계 관계자는 "환율 변동 상황과 관세 부과 품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농축수산물의 수입 원가가 치솟게 되면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을 찾는 등 대안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광주·전북은행 공동전산센터, 광주 추가 건립 4월 초 결정 광주은행 전경 전주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키로 했던 JB금융지주가 광주은행 노조 측의 강력 반발로 광주에도 해당 전산센터를 건립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해당 사안은 이르면 내달 초 이사회에서 결정될 전망이다.23일 지역 금융업계에 따르면 JB금융그룹은 내달 초 그룹 지주 이사회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안을 상정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당초 JB금융그룹은 670억원을 들여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이는 앞서 두 은행의 전산센터 운영 취약점을 개선하라는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대한 후속 조치였다.이와 관련, 광주은행 노조 측은 두 은행의 전산센터 통합을 '하나의 은행으로 가기 위한 원 뱅크(One Bank) 준비 단계'로 규정하고 강도 높은 저지 투쟁을 이어왔다. 그러면서 광주지역에 공동전산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방안을 건의했다.JB금융그룹은 전산망 안전 운영 등을 고려해 광주에도 공동전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노조의 건의 사항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광주은행 노조 측은 "공동전산센터를 2개 체제로 가는 부분에 대해서 상호 공감을 하고 있다"며 "이사회 의결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광주에도 새로운 센터가 건립되면,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데이터를 저장한 전산센터가 전주와 광주에 각각 생기게 된다. 광주 입지는 앞서 전주 탄소소재 산단과 경합했던 '광주 첨단3지구 내 AI(인공지능) 융복합지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광주은행 관계자는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방안에 대해 그룹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며 "이사회를 통해 결정될 사안"이라고 말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상춘객 와야 하는데 구제역···'웃픈' 봄맞이
-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 · 광주 휘발유 최저 1천500원대 진입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