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생 학원비도 서울보다 각각 0.42%, 0.26%↑
학원가 경쟁 심화, 학생 수 감소 속 운영비 증가 등 원인

지난해 광주지역 초·중·고등학생 학원비 인상률이 서울을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등학생 학원비 인상폭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리운전비 인상률의 경우 전국에서 2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지역 소비자물가지수(114.57)는 전년(111.76)보다 2.5% 상승했다.
광주지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인천(2.6%)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으며, 전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2.3%)보다 0.2% 더 높았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역별 기준시점(2020년=100)으로 가격변동을 측정한 것이다.
실생활 지출항목에 해당하는 주차료, 대리운전이용료, 산후조리원이용료 등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소비자물가지수'의 경우 광주는 2.7%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품목별 물가지수 상승률을 살펴보면 주차료 5.3%(110.52→116.47), 대리운전이용료 8.2%(138.62→150.0), 공동주택관리비 4.7%(116.29→121.77), 병원검사료 2.8%(60.91→62.62), 산후조리원이용료 7.5%(108.47→116.65), 보험서비스료 15.7%(140.47→162.66), 초등학생 학원비 3.8%(107.53%→103.51%), 중학생 학원비 2.5%(105.19→107.84), 고등학생 학원비 2.5%(113.95→111.10) 등이 각각 오름세를 기록했다. 반면 승용차임대료 7.0%(93.50→86.94), 자동차보험료 2.7%(97.40→94.71)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초·등·고등학생 학원비에 대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학구열이 높은 지역으로 손 꼽히는 서울을 제쳤다.
고등학생 학원비에 대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광주가 2.57%로 가장 높았다. 충남 2.25%, 부산 1.98%, 강원도 1.48%, 울산 1.42% 등 순으로 뒤를 이었으며, 서울은 0.45%였다.
초등학생 학원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광주 4.02%로 서울(3.60%)보다 높았으며, 중학생 학원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도 광주가 2.65%로, 2.39%인 서울보다 상승폭이 컸다.
이처럼 광주지역의 학원비가 높은 상승률을 보인 데는 학원가의 경쟁 심화, 학생 수 감소 상황 속 운영비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광주지역 대리운전이용료 상승률(8.2%)도 전국에서 2번째로 높았다.
대리운전이용료 상승률은 충북이 22.79%로 가장 높았고 서울 6.79%, 울산 3.7%, 부산 2.67%, 대구 2.56%, 경북 2.22% 순이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광주·전북은행 공동전산센터, 광주 추가 건립 4월 초 결정 광주은행 전경 전주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키로 했던 JB금융지주가 광주은행 노조 측의 강력 반발로 광주에도 해당 전산센터를 건립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해당 사안은 이르면 내달 초 이사회에서 결정될 전망이다.23일 지역 금융업계에 따르면 JB금융그룹은 내달 초 그룹 지주 이사회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안을 상정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당초 JB금융그룹은 670억원을 들여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이는 앞서 두 은행의 전산센터 운영 취약점을 개선하라는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대한 후속 조치였다.이와 관련, 광주은행 노조 측은 두 은행의 전산센터 통합을 '하나의 은행으로 가기 위한 원 뱅크(One Bank) 준비 단계'로 규정하고 강도 높은 저지 투쟁을 이어왔다. 그러면서 광주지역에 공동전산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방안을 건의했다.JB금융그룹은 전산망 안전 운영 등을 고려해 광주에도 공동전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노조의 건의 사항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광주은행 노조 측은 "공동전산센터를 2개 체제로 가는 부분에 대해서 상호 공감을 하고 있다"며 "이사회 의결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광주에도 새로운 센터가 건립되면,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데이터를 저장한 전산센터가 전주와 광주에 각각 생기게 된다. 광주 입지는 앞서 전주 탄소소재 산단과 경합했던 '광주 첨단3지구 내 AI(인공지능) 융복합지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광주은행 관계자는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방안에 대해 그룹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며 "이사회를 통해 결정될 사안"이라고 말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상춘객 와야 하는데 구제역···'웃픈' 봄맞이
-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 · 광주 휘발유 최저 1천500원대 진입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