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칼럼] '물'을 함부로 대하지 마라

@박석호 입력 2022.11.30. 15:01

우리 주변에는 그 가치와 소중함을 모르고 하찮게 여기는 것들이 많다.

'물'이 대표적이다. 언제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고, 누구나 거의 공짜로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물처럼 쓴다'는 말 처럼 물을 경시하는 풍토도 한몫한다. 공기처럼 영원히 사용할 수 있는 무한한 자원으로 보는 잘못된 인식은 지나친 물 소비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유럽 주요국가의 2배에 달하는 295L(2019년 기준)에 달할 정도다.

우리가 물을 물쓰듯 쓰면서 '물 부족'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미 국제인구행동단체는 우리나라를 물부족 위험성이 높은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했고, OECD보고서에서는 2050년에는 우리나라가 물 스트레스 1위 회원국이 될 것이라고 경고까지 하고 있다. 실제로 기후변화와 가뭄 등이 일상화되면서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광주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광주지역 주 식수 공급원인 화순 동복댐과 순천 주암댐 저수율은 31%에 불과하다. 저수량으로 따지면 동복댐은 약 2천900만 톤으로 예년 대비 40%, 주암댐은 약 1억 4천300만 톤으로 예년 대비 50% 수준이다.

가뭄이 계속되고 우리가 평상시 대로 물을 펑펑 쓰면 내년 초 단수는 불가피하다.

우리는 이미 단수에 따른 쓰라린 경험을 한 적이 있다. 만약 내년 단수가 시행된다면 1992년 12월 21일부터 1993년 6월1일까지 156일 동안 격일제 급수가 진행된 이후 30년만이다. 단수는 기본적인 실생활에 타격을 준다. 밥을 짓고, 물을 마시고, 몸을 씻고, 빨래를 해결하는 일상생활에 가장 직접적이고 큰 불편을 가져다 준다. 식당, 병원, 사무실 등의 피해도 심각할 것으로 우려된다.

광주시 등 지자체와 유관기관들이 물 절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시민들의 물 절약에 대한 인식과 실천은 낮은 편이다. 당장 급한 불을 꺼야 한다. 방법은 시민들의 생활속 물 절약 실천이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양치 컵과 설거지통 사용하기, 빨래감 모아서 세탁하기, 변기 물탱크에 벽돌·페트병 넣기, 수도꼭지 꼭 잠그기, 샤워시간 줄이기 등 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물 절약법이 있다. 특별한 것들이 아니다. 우리가 이미 인지하고 있던 것들이다.

생활속 물절약 실천은 눈앞에 직면한 가뭄 문제는 물론, 장기적인 물 부족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준다. 각 가정에 공급되는 생활용수가 광주 전체 물 사용량의 68%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생활속 물 절약 실천은 물 위기를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당장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의 20%만 줄여도 제한급수 시기를 내년 6월 장마철까지 늦출 수 있다.

이번 기회에 정부와 지자체는 중장기 물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기상이변 등으로 물 부족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 지고 있고,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빗물과 같은 대체 수자원 개발과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여기에 수도요금 현실화도 고민해야 할 때가 왔다. 다만, 물은 공공재로서 개인의 경제적 능력에 관계없이 공평하게 공급받을 권리가 있다. 수도요금 인상은 이런 물 복지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익숙한 것이 곁에 없을 때 그 소중함을 여실히 느낀다.

물은 한정돼 있고 재사용해야 할 소중한 재화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 곁에 흔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한한 자원처럼 보이지만,흥청망청 쓰다 보면 이번 처럼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 시민들의 참여와 노력이 없으면 물 위기 극복은 불가능하다. "21세기 가장 중요한 자원은 석유가 아니라 물이 될 것이다." 미국 경제지 '포춘'의 경고다. 우리는 어느 순간부터 수도꼭지를 틀면 쏟아지는 물을 당연하게 여기고 물에 대한 소중함을 잊고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박석호 취재1본부장

슬퍼요
3
후속기사 원해요
2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