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제한에도 1만여명 이용
코로나 시대 비즈니스 거점 각광

광주상공회의소(광주상의)가 지역기업의 국내외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 용산역에 개설, 운영 중인 '광주·전남·전북 비즈니스라운지'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비즈니스 거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24일 광주상의에 따르면 광주시와 전남도, 전북도와 공동으로 2013년 서울 용산역에 문을 연 '광주·전남·전북 비즈니스라운지'에 지역 기업인들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개소 이후 매년 1만명 이상이 다녀갔으나 지난해부터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이용인원 제한 등으로 이용객이 1만명 밑(9천373명)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올 1월에만 710명이 라운지를 방문하는 등 전년 같은기간보다 이용객이 7.4% 늘고 회의실 이용건수도 71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82.5% 증가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하는 상황에서도 기업인들의 라운지 이용이 늘고 있는 것은 수도권내 이동거리를 최소화 하면서 안전하게 비즈니스 활동을 할 수 있는데다 회의와 사무에 최적화된 공간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광주·전남·전북 비즈니스라운지'를 이용했다는 광주지역 기업 대표 A씨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서울 출장을 가더라도 용산역에서 거리가 멀 경우 방역에 대한 걱정이 앞서고 호텔을 이용하자니 비용이 많이 들어 부담이 컸다"면서 "최근 지인 소개로 광주·전남·전북 비즈니스 라운지를 이용했더니 이 모든 고민이 단번에 해결됐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최종만 광주상의 상근부회장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기업 활동에 대한 지원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며 "용산역 라운지가 지역 기업들의 국내외 계약체결과 매출성과를 창출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비즈니스 장이 될 수 있도록 안전과 편의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 용산역사 4층에 위치하고 있는 '광주·전남·전북 비즈니스라운지'는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한 3개 회의실과 휴게공간을 갖추고 있다. 간단한 업무용 PC와 복합기 이용, 휴대폰 충전 등도 가능하다. 지역내 상공인 외에도 유관기관 임직원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김대우기자 ksh430@mdilbo.com
-
김보곤 디케이 대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함께해요" 김보곤 디케이 대표이사가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에 동참했다. 디케이 주식회사의 김보곤 대표이사가 환경 보호 실천을 다짐하며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에 동참했다.'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는 환경부가 2023년 8월부터 주관하는 릴레이 캠페인으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참여자는 환경 보호를 위한 실천 내용을 알리고, 이를 이어갈 새로운 참가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김보곤 대표는 김성진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장의 지목을 받아 이번 캠페인에 참여하게 됐다.디케이 주식회사는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인 ISO 14001을 취득한 기업이다. 사내에서는 직원들의 적극적인 동참 아래 개인 텀블러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일회용품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회사 내부 정책을 마련하여 전사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용 저감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논의하고 실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특히, 디케이 주식회사는 ESG 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업 운영 전반에 반영하며, 친환경 문화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회사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김 대표는 "다음 참가자로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재단 최영준 이사장을 지목하며, 캠페인의 확산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역대 최고실적'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 속도낼까
- · '美25%관세' 지역자동차업계, 안도·우려 '교차'
- · 광주, 대한민국 AI 인재 양성 '허브로'
- · 트럼프 관세폭탄 임박에도···GGM노조파업 우려 '확산'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