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상승 등으로 대기업 절반 올해 투자계획 없거나 미정

입력 2022.03.14. 10:19 김대우 기자
전경련, 500대 기업 투자계획 조사
12.4% 투자계획 없고 38.1% 미정
해외서 국내 유턴 의지는 9배 늘어

원자재 상승과 통화긴축, 코로나19 등의 투자 리스크로 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이 올해 투자 계획이 없거나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국내 투자계획'(105개사 응답)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50.5%가 올해 투자계획이 없거나(12.4%),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38.1%)고 답했다.

올해 투자계획을 세운 기업 비중은 49.5%로 이 중 50.0%가 투자규모를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보다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은 38.5%,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은 11.5%였다.

투자를 주저하는 이유로는 거시경제 불안(37.7%)과 자금조달 애로(20.5%)를 꼽았다.

또 코로나19 확산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국내외 거시경제 상황 불안정(37.7%)과 대출금리 인상·금융권 심사 강화 등 외부 자금조달 환경 악화(20.5%)를 투자를 늘리기 어려운 요인이라고 답했다.

전경련은 올해 투자규모 미확대 사유 중 대부분(74.4%)이 기업 내부사정보다는 거시경제 불안정, 규제강화 등 대외환경이 취약한 것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은 올해 투자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3대 위험요소로 ▲원자재발(發) 물가상승 압력(38.9%) ▲주요국 통화긴축 및 이에 따른 경기 위축(19.4%) ▲치명률 높은 변이바이러스 출현(15.5%)을 지목했다.

반면 이처럼 투자환경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해외진출 기업들의 국내 유턴 의지는 코로나19 2년새 눈에 띄게 증가했다.

현재 리쇼어링(해외진출 기업의 자국 복귀)을 고려 중이라는 기업 비중이 2020년5월 3.0%에서 올해 2월 27.8%로 9배 이상 늘었다.

향후 정부 지원·국내 경영환경이 개선될 경우 검토 가능하다는 답변도 29.2%에 달해, 10중 총 6곳(57.0%)이 리쇼어링 추진이 가능하다는 의사를 보였다.

전경련은 코로나19 기간 중 글로벌 공급망 불안 심화로 인한 생산차질과 물류비 증가, 미·중 갈등 장기화 등이 국내 기업들의 리쇼어링 가능성 확대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기업들이 올해 원자재가격 고공행진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투자를 주저하고 있지만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해외진출 기업의 국내복귀 수요도 상당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새 정부는 기업들의 국내투자를 유인함과 동시에 리쇼어링을 촉진할 수 있도록 규제완화, 세제지원 확대 등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대우기자 ksh430@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