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의, 경영활성화 지원 추진
교육·경영진단·컨설팅 등 운영

광주상공회의소(광주상의)가 광주시와 함께 ESG(친환경·사회적 책임·지배구조 개선)경영 활성화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5일 광주상의에 따르면 최근 전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되면서 ESG 경영 도입이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ESG 관련 공시가 제도화되면서 올해부터 자산 1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 공시가 의무화돼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광주상의는'ESG 경영 활성화 지원사업'을 기획하고 ESG 설명회 및 온·오프라인 교육, ESG 경영 현황 진단, ESG 경영지원 컨설팅, ESG 경영지원위원회 운영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지역내 ESG 경영에 대한 인식 제고와 지역기업의 ESG 경영 도입을 밀착 지원하기 위해서다.
광주상의는 우선 ESG 관련 상시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조사자료, 책자, 뉴스레터 등을 메일링 서비스로 제공해 지역기업 임·직원들의 ESG 경영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인식을 제고할 계획이다.
ESG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은 ESG 경영진단과 컨설팅에 별도의 비용없이 참여할 수 있다.
특히 ESG 경영공시가 필요한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ESG 전문인력 및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실질적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경제계, 지자체, 학계, 금융계, 법조계 전문가로 구성된 ESG 경영지원 위원회를 운영해 지역기업의 ESG 경영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국내외 ESG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대응 및 해결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광주상의는 그동안 ESG 경영을 주제로 한 포럼, 세미나 등을 개최하고 최근 화두로 떠오른 중대재해처벌법 및 ESG 경영 관련 지역기업 인식·의견조사를 시행해 건의 사항을 청취하는 등 지역내 ESG 경영 인식개선과 대응 현황 파악을 위한 활동을 추진해 왔다.
최종만 광주상의 상근부회장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ESG 경영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지역기업의 ESG 경영도입과 대응에 대한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다"면서 "ESG 경영 활성화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기업의 눈높이에 맞는 ESG 경영 도입과 애로 해소에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김대우기자 ksh430@mdilbo.com
-
'건설업계 4월 위기설' 또 고개···지역은 대체로 '안정적' 건설업계 4월 위기설이 나오고 있지만 지역 중견건설업체들의 재무구조는 대체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전국적으로 중견 건설업체들이 잇따라 무너지면서 '4월 위기설'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건설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최근 2년 새 10여 개 업체가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홍역을 겪어온 광주·전남 건설업계는 한차례 구조조정을 통해 어려운 업체들은 이미 걸러졌다고 보고 있지만 유동성 위기를 겪은 업체들이 추가로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2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적으로 7개의 중견건설업체들이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시공능력평가 58위인 신동아건설을 시작으로 180위 벽산엔지니어링까지 100위권 이내 3곳, 101~200위권 4곳 등이 잇따라 무너졌다.이들 업체들은 대체로 부채비율이 400%를 훌쩍 넘기는 등 재무건전성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부채비율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통상적으로 부채비율이 200%를 넘기면 위험 수준, 400% 이상이면 잠재적 부실 징후로 본다.건설업계에서는 일시적으로 부채비율이 높아졌다가 분양 등이 이뤄지면 다시 낮아진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경기상황에선 400% 대도 큰 문제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현재와 같은 침체 상황에선 우려스러울 수 있다고 보고 있다.최근 위기설과 관련해서는 12월 결산법인 사업보고서·감사보고서가 공개되는 시점이 '4월'이라는 점에서 재무건전성이 나쁜 건설업체들의 실적 공개 이후 해당업체들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지 않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지난해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지역 내 중견건설업체 중 일부업체만 부채비율 200%대에 머물러 있었을 뿐 대체로 재무건전성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상 시공능력평가 200위권 이내 지역건설업체 34곳 가운데 이미 법정관리를 신청한 남양건설과 새천년건설, 한국건설을 제외한 31곳 중 부채비율이 200% 이상인 업체는 20위 금호건설 588.8%(올 3월 사업보고서 기준), 49위 대광건영 203.5%,67위 디에스종합건설 208.9%, 102위 비에스산업 238.2%, 152위 모아건설산업 240.1%, 163위 문장건설 205.3%, 164위 지에이건설 243.3% 등 7곳에 불과했다.특히 지역업체 중 100위 이내의 건설업체 15곳의 평균부채 비율은 166.7%로 나타났다.27위 우미건설 87.4%, 48위 라인건설 80.7%, 52위 중흥건설 81.6%, 87위 금강기업 56.6%, 94위 광신종합건설 23.2% 등 100% 미만도 5곳에 달했다.부채비율 600%에 육박한 금호건설 측은 PF우발채무 정리 등 전방위적인 잠재부실 정리과정에서 손실분을 선반영 하면서 비율이 올라갔을 뿐 재무건전성이나 유동성에선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업계에선 최근 계속된 경기불황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등을 꾸준히 해왔다는 점에서 부채비율이 크게 올라갔을 가능성은 다며 대체로 안정적으로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다.그러나 미분양 급증 등 사업 환경이 계속 나아지지 않을 경우 실제 위기가 닥칠 수도 있다며 정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지역업계 관계자는 "이미 어려운 업체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한차례 구조조정을 거친 상황"이라며 "신규사업을 중단하고 최대한 버티기에 나서고 있지만 경기 침체가 계속 이어진다면 어려움을 겪는 업체가 나오지 말란 법은 없다. 그동안 꾸준히 요구해 왔던 세제 감면 등 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해줘야 한다"라고 말했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김보곤 디케이 대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함께해요"
- · '역대 최고실적'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 속도낼까
- · '美25%관세' 지역자동차업계, 안도·우려 '교차'
- · 광주, 대한민국 AI 인재 양성 '허브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