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이상 "월간 연장근로 필요"

중소기업 10곳 중 4곳 이상은 주52시간제 시행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절반 이상은 월간 단위 연장근로제 도입을 희망했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가 지난달 20~27일 중소제조업 555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제조업 주52시간제 시행실태와 제도개선 의견조사' 결과다.
18일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중소제조업의 42.4%는 주52시간제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특히 규모가 클수록 어렵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았다.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활용이 불가능한 30~49인(52.2%)과 50~299인(52.6%) 기업은 절반 이상이 여전히 제도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어려운 이유는 '구인난'(39.6%)이 가장 많았다. 이어 '사전 주문 예측이 어려워 유연근무제 활용이 어려움'(32.3%), '추가 채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0.0%) 등의 순이었다.
주52시간제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대응현황을 조사한 결과 '탄력근로 등 유연근무제 도입'이 23.4%로 가장 높았다.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활용'(22.6%), '추가인력 채용'(22.1%), '마땅한 대책이 없어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20.9%)는 의견도 나왔다.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활용'(22.6%)과 '특별연장근로제 활용'(12.3%)으로 대응하는 기업이 34.9%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 활용'(23.4%) 보다 연장근로 확대로 대응하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5~29인 기업의 절반 이상(52.0%)이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활용'으로 대응중이라 응답했다. 이 제도가 중단될 경우 영세사업장의 주52시간제 관련 애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 중에서는 대다수(81.8%)가 탄력근로제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 절반(49.1%)이 제도 대상과 요건이 제한적이어서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 않는 기업 중 대다수(73.3%)가 '향후에도 도입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제도 도입이 필요 없는 기업을 제외하고는 그 이유로 '도입할 비용과 행정적 여력이 없음'(22.7%), '특별연장근로 등 연장근로 확대로 대응 선호'(17.4%), '까다로운 요건과 절차 준수 불가'(16.7%) 순으로 꼽았다.
도입계획이 있는 기업의 절반 이상(54.2%)은 가장 적합한 유연근무제로 탄력근로제를 꼽았다. 탄력근로제 외의 유연근무제는 중소기업 현장에서 활용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52시간제 관련 애로 해소를 위해 가장 필요한 법·제도 개선사항으로는 '연장근로 한도를 월 단위로 유연화'가 54.9%로 가장 많았다. 이어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기한과 대상 확대'(44.7%), '특별연장근로제 인가기간 확대와 사후인가 절차 완화'(23.0%)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태희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은 "여전히 많은 중소기업이 구인난, 불규칙한 주문량, 현장과 맞지 않는 유연근무제 등으로 주52시간제 시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노사가 모두 원할 경우 연장근로를 보다 유연하게 규정할 수 있도록 월 단위 연장근로제 도입,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확대와 같은 제도적 보완책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김보곤 디케이 대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함께해요" 김보곤 디케이 대표이사가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에 동참했다. 디케이 주식회사의 김보곤 대표이사가 환경 보호 실천을 다짐하며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에 동참했다.'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는 환경부가 2023년 8월부터 주관하는 릴레이 캠페인으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참여자는 환경 보호를 위한 실천 내용을 알리고, 이를 이어갈 새로운 참가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김보곤 대표는 김성진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장의 지목을 받아 이번 캠페인에 참여하게 됐다.디케이 주식회사는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인 ISO 14001을 취득한 기업이다. 사내에서는 직원들의 적극적인 동참 아래 개인 텀블러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일회용품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회사 내부 정책을 마련하여 전사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용 저감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논의하고 실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특히, 디케이 주식회사는 ESG 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업 운영 전반에 반영하며, 친환경 문화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회사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김 대표는 "다음 참가자로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재단 최영준 이사장을 지목하며, 캠페인의 확산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역대 최고실적'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 속도낼까
- · '美25%관세' 지역자동차업계, 안도·우려 '교차'
- · 광주, 대한민국 AI 인재 양성 '허브로'
- · 트럼프 관세폭탄 임박에도···GGM노조파업 우려 '확산'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