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가 상승분 납품단가 반영 기업 68.9%
물가·원자재가 안정, 금융·세제지원 시급

최근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유가·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해 지역기업들의 부담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광주상공회의소가 지난 6월 20일부터 30일까지 광주·전남지역 중소·중견기업 122개 업체를 대상으로 '최근 지역기업의 경영 동향 및 대응 실태조사'를 시행한 결과에 따르면 지역기업의 96.7%가 '원자재가격 상승에 경영상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매우 부담(63.1%)', '약간 부담(33.6%)', '별로 부담 없음(3.3%)'이다.
지역기업들은 '원재료비 증가(85.6%)' 외에도 '물가 상승에 따른 경비 증가(34.7%)', '노무비 증가(20.3%)' 부분에 대해서도 경영상 많은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영환경으로 인해 최근 코로나19의 사회적 통제가 다소 완화되었음에도 올해 상반기 업황은 '코로나 이전보다 악화되었다(45.1%)'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이전보다 호전(30.3%)', '코로나 이전과 비슷(24.6%)'이었다.
올 하반기에 가장 우려되는 대내외 환경 변수로도 기업들은 '원자재가격 상승'이 87.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외에도 '경기 둔화(55.7%)', '금리 인상(39.3%)', '최저임금 인상(29.5%)', '환율 변동성 심화(28.7%)' 등이 우려 요인이라고 답했다.
원자재가격 상승분을 납품단가로 반영받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68.9%는 '일부 반영 받고 있다'라고 답했으며 27.0%는 '반영 받지 못하고 있다', 나머지 4.1%만이 '전부 반영받고 있다'라고 답했다.
앞으로도 원자재가격 상승분을 반영받지 못할 시 대응 계획으로는 '마땅한 대응방안이 없다(38.9%)'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대체 원자재 발굴(27.8%)', '생산량 감축(11.1%)', '인력 감축(11.1%)', '거래처 변경(8.3%)', '공장 가동 중단(5.6%)' 등이 뒤를 이었다.
원자재 등 가격 상승 시 하도급법, 상생협력법 등에 따라 업체가 직접 조정을 요청하거나 조합을 통해 대행 협상할 수 있는 '납품(하도급)대금 조정 협의제도'에 대한 인지 여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 기업의 54.9%는 '잘 모른다'라고 답했으며, '알고 있다'라는 응답은 36.9%, 나머지 8.2%는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납품대금 조정 협의제도 활용 경험·계획에 대해서는 '활용한 적 없으며 앞으로도 계획 없다(56.6%)'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활용한 적 없으나 향후 활용 예정(35.2%)', '활용한 적 있으며 협의 개시함(6.6%)' 순으로 응답했다.
지역기업 경기 회복과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분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물가·원자재가 안정(70.5%)'이 시급하다고 답했으며 '금융 및 세제 지원 강화(46.7%)', '경기 부양대책 마련(33.6%)', '인력 수급여건 개선(27.9%)' 등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도 불구하고 기업 경기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와중에 원자재 값까지 급격히 상승하면서 지역기업들이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면서 "기업들이 대내외적 경영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물가·환율 안정과 함께 금융지원 등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기업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건설업계 4월 위기설' 또 고개···지역은 대체로 '안정적' 건설업계 4월 위기설이 나오고 있지만 지역 중견건설업체들의 재무구조는 대체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전국적으로 중견 건설업체들이 잇따라 무너지면서 '4월 위기설'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건설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최근 2년 새 10여 개 업체가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홍역을 겪어온 광주·전남 건설업계는 한차례 구조조정을 통해 어려운 업체들은 이미 걸러졌다고 보고 있지만 유동성 위기를 겪은 업체들이 추가로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2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적으로 7개의 중견건설업체들이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시공능력평가 58위인 신동아건설을 시작으로 180위 벽산엔지니어링까지 100위권 이내 3곳, 101~200위권 4곳 등이 잇따라 무너졌다.이들 업체들은 대체로 부채비율이 400%를 훌쩍 넘기는 등 재무건전성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부채비율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통상적으로 부채비율이 200%를 넘기면 위험 수준, 400% 이상이면 잠재적 부실 징후로 본다.건설업계에서는 일시적으로 부채비율이 높아졌다가 분양 등이 이뤄지면 다시 낮아진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경기상황에선 400% 대도 큰 문제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현재와 같은 침체 상황에선 우려스러울 수 있다고 보고 있다.최근 위기설과 관련해서는 12월 결산법인 사업보고서·감사보고서가 공개되는 시점이 '4월'이라는 점에서 재무건전성이 나쁜 건설업체들의 실적 공개 이후 해당업체들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지 않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지난해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지역 내 중견건설업체 중 일부업체만 부채비율 200%대에 머물러 있었을 뿐 대체로 재무건전성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상 시공능력평가 200위권 이내 지역건설업체 34곳 가운데 이미 법정관리를 신청한 남양건설과 새천년건설, 한국건설을 제외한 31곳 중 부채비율이 200% 이상인 업체는 20위 금호건설 588.8%(올 3월 사업보고서 기준), 49위 대광건영 203.5%,67위 디에스종합건설 208.9%, 102위 비에스산업 238.2%, 152위 모아건설산업 240.1%, 163위 문장건설 205.3%, 164위 지에이건설 243.3% 등 7곳에 불과했다.특히 지역업체 중 100위 이내의 건설업체 15곳의 평균부채 비율은 166.7%로 나타났다.27위 우미건설 87.4%, 48위 라인건설 80.7%, 52위 중흥건설 81.6%, 87위 금강기업 56.6%, 94위 광신종합건설 23.2% 등 100% 미만도 5곳에 달했다.부채비율 600%에 육박한 금호건설 측은 PF우발채무 정리 등 전방위적인 잠재부실 정리과정에서 손실분을 선반영 하면서 비율이 올라갔을 뿐 재무건전성이나 유동성에선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업계에선 최근 계속된 경기불황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등을 꾸준히 해왔다는 점에서 부채비율이 크게 올라갔을 가능성은 다며 대체로 안정적으로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다.그러나 미분양 급증 등 사업 환경이 계속 나아지지 않을 경우 실제 위기가 닥칠 수도 있다며 정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지역업계 관계자는 "이미 어려운 업체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한차례 구조조정을 거친 상황"이라며 "신규사업을 중단하고 최대한 버티기에 나서고 있지만 경기 침체가 계속 이어진다면 어려움을 겪는 업체가 나오지 말란 법은 없다. 그동안 꾸준히 요구해 왔던 세제 감면 등 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해줘야 한다"라고 말했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김보곤 디케이 대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함께해요"
- · '역대 최고실적'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 속도낼까
- · '美25%관세' 지역자동차업계, 안도·우려 '교차'
- · 광주, 대한민국 AI 인재 양성 '허브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