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기업 97% "원자재가격 상승 부담"

입력 2022.07.14. 14:19 한경국 기자
광주상의, 중소·중견기업 122개 실태조사
원자재가 상승분 납품단가 반영 기업 68.9%
물가·원자재가 안정, 금융·세제지원 시급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및 원자재가·환율 변동 추이

최근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유가·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해 지역기업들의 부담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광주상공회의소가 지난 6월 20일부터 30일까지 광주·전남지역 중소·중견기업 122개 업체를 대상으로 '최근 지역기업의 경영 동향 및 대응 실태조사'를 시행한 결과에 따르면 지역기업의 96.7%가 '원자재가격 상승에 경영상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매우 부담(63.1%)', '약간 부담(33.6%)', '별로 부담 없음(3.3%)'이다.

지역기업들은 '원재료비 증가(85.6%)' 외에도 '물가 상승에 따른 경비 증가(34.7%)', '노무비 증가(20.3%)' 부분에 대해서도 경영상 많은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영환경으로 인해 최근 코로나19의 사회적 통제가 다소 완화되었음에도 올해 상반기 업황은 '코로나 이전보다 악화되었다(45.1%)'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이전보다 호전(30.3%)', '코로나 이전과 비슷(24.6%)'이었다.

올 하반기에 가장 우려되는 대내외 환경 변수로도 기업들은 '원자재가격 상승'이 87.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외에도 '경기 둔화(55.7%)', '금리 인상(39.3%)', '최저임금 인상(29.5%)', '환율 변동성 심화(28.7%)' 등이 우려 요인이라고 답했다.

원자재가격 상승분을 납품단가로 반영받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68.9%는 '일부 반영 받고 있다'라고 답했으며 27.0%는 '반영 받지 못하고 있다', 나머지 4.1%만이 '전부 반영받고 있다'라고 답했다.

앞으로도 원자재가격 상승분을 반영받지 못할 시 대응 계획으로는 '마땅한 대응방안이 없다(38.9%)'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대체 원자재 발굴(27.8%)', '생산량 감축(11.1%)', '인력 감축(11.1%)', '거래처 변경(8.3%)', '공장 가동 중단(5.6%)' 등이 뒤를 이었다.

원자재 등 가격 상승 시 하도급법, 상생협력법 등에 따라 업체가 직접 조정을 요청하거나 조합을 통해 대행 협상할 수 있는 '납품(하도급)대금 조정 협의제도'에 대한 인지 여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 기업의 54.9%는 '잘 모른다'라고 답했으며, '알고 있다'라는 응답은 36.9%, 나머지 8.2%는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납품대금 조정 협의제도 활용 경험·계획에 대해서는 '활용한 적 없으며 앞으로도 계획 없다(56.6%)'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활용한 적 없으나 향후 활용 예정(35.2%)', '활용한 적 있으며 협의 개시함(6.6%)' 순으로 응답했다.

지역기업 경기 회복과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분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물가·원자재가 안정(70.5%)'이 시급하다고 답했으며 '금융 및 세제 지원 강화(46.7%)', '경기 부양대책 마련(33.6%)', '인력 수급여건 개선(27.9%)' 등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도 불구하고 기업 경기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와중에 원자재 값까지 급격히 상승하면서 지역기업들이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면서 "기업들이 대내외적 경영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물가·환율 안정과 함께 금융지원 등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기업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