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금호타이어 임단협, 여름휴가 이후 본격 논의

입력 2024.07.26. 16:32 도철원 기자
기아, 논란돼온 평생사원증 다시 협상 중심 떠올라
금타, 노사간 10차례 본교섭서 큰 진척없이 공전만

노사 간 교섭이 진행 중인 기아와 금호타이어의 올해 임단협이 자동차업계 여름휴가로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간다.

이미 임단협이 타결된 현대자동차와 달리 노사 간 교섭을 늦게 시작한 만큼 아직 초기 탐색 단계인 기아의 경우 논란을 빚어온 '평생사원증'이 또다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어 타협점을 찾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6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기아 노사는 최근 3차 본교섭을 가진 뒤 휴가 기간(29일~8월 2일) 이후 4차 교섭을 가질 예정이다.

당초 정년 64세 연장 안 등이 논의의 중심에 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노조 측에서 명예사원증, 일명 '평생사원증' 제도 복원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2년 만에 또다시 이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

기아의 평생사원증 제도는 2022년까진 재직자와 장기근속 퇴직자에게 평생 2년에 한 번씩 신차를 30% 싸게 구입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노사 간 합의를 통해 할인 주기를 2년에서 3년으로 늘리고, 나이를 75세로 한정하면서 할인율을 30%에서 25%로 낮췄다.

당시 노조원들이 '평생사원증' 제도 축소에 반발하면서 노사 잠정 합의안이 노조 찬반 투표에서 부결되면서 2차 투표까지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겨우 통과되기도 했다.

하지만 현대차가 기존 평생사원증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자 기아 노조도 제도 복원을 요구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논란이 한창이던 2년 전에 '기아차 생산원가가 전체 차량가격의 80% 수준으로 노조혜택으로 생긴 부담을 일반 소비자에게 전가한다 '는 부정적 여론이 강하게 일기도 했다는 점에서 평생사원증 제도를 사측에서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 기아 노조는 '조합원 가족 우선 채용'의 범위 확대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쟁점이기도 했던 '가족 우선 채용조항'의 경우 당초 '재직 중 질병으로 사망한 조합원의 직계가족 1인, 정년 퇴직자 및 장기 근속자(25년 이상)의 자녀에 대해 우선 채용한다'에서 정년퇴직자와 장기 근속자 자녀 우선 채용 부분은 삭제되면서 '업무상 질병'으로 사망한 직원 자녀 우선 채용 조항만 남아 있는 상태다.

노조 측은 자녀 우선 채용에 배우자까지 포함시키고 '업무상 재해'로 6등급 이상 장애를 입은 조합원 가족까지 특별 채용토록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아보다 먼저 임단협을 진행해 온 금호타이어 역시 별다른 진척 없이 여름휴가를 맞게 됐다.

6월 5일 상견례 이후 현재까지 10차 본교섭을 진행해온 금호타이어 노사는 여름휴가(8월 1일~5일) 이후 다시 교섭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타이어 노조는 올해 임단협 주요 안건으로 정년 65세 연장과 지난해 최대 성과를 거둔 것에 대한 성과급 등을 내세우고 있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지난해에는 기본급 2% 인상, 격려금 250만 원, 광주공장 1천100억 원 규모 설비투자 등에 합의하면서 추석 이전에 협상을 마무리 지었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기아와 금호타이어 노사 모두 한창 교섭을 진행하고 있는 단계로 서로 합의점을 찾아나가지 않겠냐"며 "지역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만큼 최악의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현명하게 결과를 도출해 냈으면 한다"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1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