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저가공세에 휘청이는 광주 제조업체

입력 2024.08.06. 16:20 도철원 기자
■광주상의, 2024년 중국 저가 공세 의견조사 결과
10곳 중 7곳 “추월당했거나 격차 축소”
국내 산업 보호조치 강구 등 지원 절실

광주지역 제조업체들이 중국의 저가 공세에 밀려 휘청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공회의소는 최근 중국의 과잉공급 및 저가상품 수출 확대에 따른 기업들의 대응 현황 파악 및 정책과제 발굴 등을 위해 광주지역 15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한 '2024년 중국 저가·물량 공세 관련 의견조사'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 응답 업체의 62.5%는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로 실제 경영실적에 영향을 받았거나 피해를 예상하고 있다'고 답했다. '매출·수주 실적 영향'은 22.4%, '현재는 영향 없으나 향후 피해 예상'은 40.1%였다.

반면 37.5%는 '영향이 적거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저가·물량 공세에 따라 현재 겪고 있거나 향후 우려되는 피해로는 '판매단가 하락 압박'이 6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내수거래 감소'(46.3%), '중국 외 해외판매 부진'(30.5%), '대중국 수출 감소'(13.7%), '실적 부진에 따른 사업축소 중단'(12.6%) 등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기업 입장에서 이미 중국은 기술·품질 면에서도 위협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자사 기술력과 품질경쟁력이 중국 경쟁기업들과 비교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응답 기업의 67.8%는 '이미 중국기업에 추월당했거나 격차가 축소됐다'고 답한 반면 '계속 우위에 있다'는 응답은 32.2%에 불과했다.

중국기업에 우위에 있는 기업들 역시 중국기업들의 빠른 성장 속도를 우려하고 있다.

중국기업들이 자사 기술력을 '5년 이내에 추월할 것'이라는 응답이 69.3%를 차지했으며, '6~10년 이내' 또는 '10년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14.7%, 16.1%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지역기업들은 중국 저가·물량 공세 대응방안으로 '고부가 제품 개발 등 품질 향상'(55.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신규 수출시장 개척·공략'(30.3%), '제품 다변화 등 시장 저변 확대'(29.6%), '현지 생산 등 가격경쟁력 확보'(21.1%), '인건비 등 비용 절감'(18.4%) 등의 순이었다.

중국의 공세에 따른 피해 유형별 기업의 대응현황을 살펴보면, 판매단가 하락 압박과 내수거래 감소, 해외판매 부진을 겪었거나 우려하는 기업들은 '품질 향상'을 위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 중국 수출 감소, 실적 부진에 따른 사업축소·중단을 우려하는 기업들은 주로 '신규 수출시장 개척·공략'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역기업들은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지원정책으로 38.2%는 '국내 산업 보호조치 강구'라고 답했다. 이외에도 '연구개발(R&D) 지원 확대'(32.9%), '신규시장 개척 지원'(32.2%), '무역금융 지원 확대'(12.5%), 'FTA 관세 혜택 활용 지원'(11.2%) 등을 꼽았다.

강조병 광주상공회의소 기획조사본부장은 "내수 부진과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와중에 중국 제품들이 가격은 물론 품질면에서도 경쟁우위를 지니게 되면서 지역 제조업체들이 큰 위협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강 본부장은 "지역 기업들이 중국의 공세에 맞서 대응할 수 있도록 설비투자 지원 및 보조금 확대 등 다각적 제도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업들도 기술 혁신과 품질 고급화, 전문인력 확보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