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희 '양림동 소녀' 감독 초청
문화운동을 통해 민주화운동에 투신해 온 인사로부터 광주의 오월을 생생하게 듣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시간이 마련된다.
광주시립미술관이 2024 다섯 번째 미술관 포럼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여성'을 오는 31일 오후 2시 시립미술관 세미나실에서 진행한다.
이번 포럼은 임영희 '양림동 소녀' 감독을 초청해 꾸려진다. 임 감독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으로 민주항쟁에 참여한 이후 시민운동가로 활동해왔다. 이날 포럼은 임 감독의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생생한 증언을 듣고 그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양림동 소녀'를 감상하며 80년 5월의 의미를 되새겨본다.
또 임 감독과 포럼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질의응답 시간도 이어진다.
애니메이션 '양림동 소녀'는 서울독립영화제, 광주여성영화제,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광주독립영화제 등 다수의 영화제에 초청됐으며 제15회 서울국제노인영화제 한국단편경쟁 대상, 제10회 춘천영화제 한국단편경쟁 심사위원상, 제24회 제주국제장애인인권영화제 대상 수상작으로 제44회 청룡영화상 청정원 단편영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김준기 시립미술관 관장은 "5·18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감독의 생생한 역사의 증언을 통해 5·18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여는 문화예술분야에 관심 있는 시민, 문화예술전문가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임영희 감독은 진도에서 태어나 광주로 유학해 문학도를 꿈꿨다. 20대에는 연극을 제작하는 등 문화운동을 통해 민주화운동에 투신하기 시작했고 지역 최초 여성단체인 송백회 창립에 참여해 간사로 활동했다. 80년 5월 당시에는 시민군으로 참여해 끔찍한 참상을 목격한 이후 극단 광대, 문화패 갈릴리에서 광주의 5월을 알리는 연극 무대를 계속해서 펼쳐왔다. 이후 56세에 급성뇌졸중으로 얻은 신체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한 그림을 통해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기 시작, 이것을 토대로 영화감독인 아들 오재형 감독과 애니메이션 '양림동 소녀'를 제작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진심으로 위로의 마음을 전하고 싶어" 여명진 음악감독"애니메이션 '코코'에는 '영혼이 진짜 죽음에 이르러 소멸하는 순간은 기억에서 잊혀지는 때'라는 대사가 있습니다. 이번 참사로 목숨을 잃은 179명을 영원히 기억하는 자리로 만들고 싶습니다."먼 타국 독일 뮌헨에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목숨을 잃은 179명을 추모하는 음악회가 열린다.이번 음악회를 계획한 독일 천주교 뮌헨-프라이징 대교구의 여명진 음악감독은 이같은 참사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과 이번 참사로 유명을 달리한 179명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담아 추모음악회를 진행하기로 했다.여 감독은 지난 2007년부터 독일에 거주하며 뮌헨 근교 이스마닝과 운터푀링 지역 가톨릭 전례에서 오르간을 연주하거나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연주회를 기획하고 있다.이번 여객기 참사는 매번 비행기에 오르내리며 이별과 만남의 순간을 접해 온 여 감독에게는 큰 충격이었다.큰 비극과 혼란 속 음악가로서 무력함을 느낀 적이 많았다고 고백한 여 감독은 "제가 가장 잘할 수 있고 가장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는 방식으로 제 역할을 하고자 했고, 이번 음악회도 그런 마음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진 것"이라며 "다행히 생각을 함께하는 동료 음악가들이 순식간에 12명이나 아무런 대가 없이 모여줘서 너무 감사했다"고 말했다.이번 음악회는 오는 26일 오후 6시(현지시각) 뮌헨 근교 운터푀링 (Unterfohring) 지역의 성 발렌틴 성당에서 열린다. 음악회에서는 모짜르트 레퀴엠 중 일부와 마르첼로 오보에 콘체르토, 앤드류 로이드 베버의 자비로운 예수(Pie Jesu) 외에 한국 예술가곡과 동요 '내 영혼 바람 되어' 등이 연주된다.연주가는 성악가 4명과 현악기 앙상블 4명, 오보에 1명, 건반악기 2명, 해금 1명 등 총 12명이다.추모음악회를 위해 모인 이들은 모두 한인 교민으로 이뤄진 음악가들로, 독일 뮌헨,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 린츠 등에 거주하며 부활절이나 성탄절 행사 또는 프로젝트 음악회 등을 연주하며 만났고, 이번 추모음악회를 진행하면서 '서로 다른 음과 음을 부드럽게 연주하다'는 뜻의 음악기호인 '이음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이음'이라는 이름으로 정했다.그는 이번 음악회에서 '상처를 보듬고, 아픔 속에서도 희망의 빛을 발견하게 하는' 음악의 힘을 전달하고 싶다고 피력했다.여 감독은 "유가족 분들의 아픔은 감히 가늠하기 힘들 정도"라며 "많은 사람들이 심지어 이렇게 멀리 떨어진 타국에서도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분들을 애도하고, 그 분들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남은 분들의 아픔을 나누고 싶어한다는 그 마음이 작은 위로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이어 "애니메이션 '코코'를 보면 "영혼이 진짜 죽음에 이르러 소멸하는 순간은 기억에서 잊혀지는 때"라는 대사가 나오는 데 깊이 와닿는 것 같다. 오래도록 기억할 것"이라며 "이번 음악회를 통해 먼 곳에 있는 저희의 마음을 모으는 시간이 단순한 추모를 넘어, 그분들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기억 속에서 함께 살아가게 하는 하나의 방식이 되길 바란다. 그 기억이 서로를 연결해 주고, 아픔을 나누며, 함께 앞으로 나아갈 용기를 주는 작은 희망으로 남을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여명진 음악감독은 올해 앙상블 '이음'으로 공식 창단 음악회와 오는 4월 세월호 11주기 추모음악회를 기획하고 있다.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 타국서 울리는 제주항공 참사 추모 음악회
- · [신년대담]"도려내는 아픔 있어야 새살··· 일체유심조 실천을"
- · "침체된 지역 문화 회복 계기 되길"
- · 5·18과 윤한봉이 스크린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