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문화재단, 1일 전일빌딩서
올해 첫 개최… 300여 명 관심
'아시아 음악' 과거와 미래 고민

"세계 속의 광주만의 매력을 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국내·외 아티스트들이 선보이는 거리 예술 무대가 펼쳐질 광주 버스킹월드컵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광주동구문화관광재단과 동구청 등은 1일 오전 11시 동구 전일빌딩245 9층 대강당에서 제3회 광주 버스킹월드컵에 앞서 '아시아 뮤직 서밋 인 광주' 컨퍼런스 개막식을 개최했다.
이날 개막식에는 아시아와 유럽, 남미 등 13개국 축제감독과 기획자, 18명을 비롯해 음악산업 전문가, 뮤지션 등 300여명이 참석하며 그 의미를 더했다.
개막식은 ▲국내 내빈소개 ▲환영사 ▲축사 ▲국외 초청인사 소개 ▲쇼케이스 등 순으로 진행됐다.

아시아 뮤직 서밋 인 광주는 제3회 광주버스킹월드컵 프로그램 중 하나로, 동구를 글로벌 음악산업 교류의 장으로 조성하기 위해 계획됐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국제 음악산업 컨퍼런스인 '아시아 뮤직 서밋 인 광주(Asia Music Summit in Gwangju)'는 아시아 25개국 회원을 둔 뮤직커넥트아시아(MusiConnect Asia), 전 세계 23개국 뮤직마켓이 가입된 글롬넷(GloMMnet·Global Music Market Network) 등 글로벌 음악산업 연합회와 공동으로 주관했다.
컨퍼런스는 오는 2일까지 총 이틀간 진행된다. 1일차에는 이날 개막식을 시작으로 ▲아시아 뮤직 서밋의 비전과 발전방향 ▲로컬 뮤직 마켓의 역할과 기능 ▲버스킹 월드컵을 통한 지역 음악산업 발전 방향 제안 등 토론으로 진행되며, 2일차에는 ▲남아메리카 음악 시장 소개와 한국 음악의 남아메리카 진출 방안 ▲새로운 뮤직 마켓의 시작과 희망 ; 중국·카자흐스탄 ▲재즈 어헤드와 유럽 재즈씬&월드뮤직 씬 등을 논의한다.
문창현 동구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는 "광주 동구는 글로벌 축제도시로의 도약과 함께 세계 시장을 향한 음악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며 "아시아문화 중심도시 동구에서 펼쳐질 광주 버스킹 월드컵은 창조적이며 역동적인 버스킹 정신을 지향한다. '메이드 인 광주'라는 축제 브랜드를 통해 세계 속의 광주의 매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헌 광주 버스킹월드컵 예술감독은 "'아시아 뮤직 서밋 인 광주'가 올해 처음 열렸는데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내년에도 개최해서 아시아 음악과 해외 음악이 서로 나아갈 방향을 논의할 수 있으면 좋겠다. 세계 각국의 음악 마켓과 축제의 역할을 살펴보고 광주와 아시아 음악산업의 현 주소를 돌아보며 미래를 고민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3일부터 동구 인근에서 펼쳐질 버스킹 경연대회와 신나고 흥겨운 버스킹 공연에 많은 시민들이 함께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개막식은 한국의 전통음악을 선보이는 '매간당' 팀의 쇼케이스로 끝마쳤다.
한편 광주 버스킹 월드컵 경연은 예선을 통과한 16개국 32팀(국내 13팀·해외 19팀)이 오는 2일 동구인문학당에서 열리는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3일부터 6일까지 5·18민주광장 일원의 3개 특설무대에서 수준 높은 경합을 펼친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예향 광주' 새로운 도약,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 출범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 준비위원회 '예향 광주'의 문화적 가치를 제고하고, 다양한 '문화선도도시' 비전과 정책들을 제시하기 위한 단체가 새롭게 출범한다.'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가칭) 준비위원회는 9일 오전 광주 동구 예술이빽그라운드에서 포럼 발족을 위한 회의를 가졌다.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은 '문화 선도도시 광주'를 위한 비전과 정책들을 제시하는데 뜻을 두고 있으며 광주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화 예술계 각 분야 전문가들이 고루 포함됐다. 이들은 위기에 처한 광주 문화생태계의 현 상황과,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한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의식에 공감해 포럼을 결성하게 됐다.이날 회의에는 김봉국 디자인씽커스 대표, 김소진 독립 큐레이터, 김영순 전 광주문화재단 전문위원, 김일태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이당금 예술이빽그라운드 대표, 이승찬 씨움갤러리 대표, 이정철 전 광주 북구의회 의원, 장현우 예술문화기획자, 정인서 광주 서구문화원장 등이 참여했다. 준비위원 중 한 명인 백종옥 미술생태연구소장은 개인 사정으로 불참했다.이날 회의에서 준비위원들은 포럼 발족에 앞서 광주의 예술문화 생태계가 마주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포럼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실천 과제에 대한 의견들을 나눴다.먼저 광주 예술계의 위기에 대해서는 모두가 한목소리로 공감했다. 미술은 유통시장 붕괴로 침체됐고, 공연예술은 공간과 예산의 이중 고갈에 직면했다고 입을 모았다. 정치와 행정은 예술문화를 정책이나 신산업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으며, 예술인은 고립된 현장에서 생존을 고민하고 있다고 토로했다.인공지능·기술미디어·기후위기가 예술의 존재 방식을 새로 규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광주 역시 문화 생태계를 회복할 전환점에 있다고 진단했다.특히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고 이재명 정부가 '문화강국론'을 제시한 만큼, 문화 예산 확대, 예술인 기본소득,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정책기조에 맞춰 광주가 대한민국 문화정책 전환의 중심에 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이를 위해 광주예술계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 이를 실천하는데 주력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예술문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예술인창작 허브 및 레지던시 조성, 디지털 예술 플랫폼 개발, 예술문화 관광루트 운영, 지역 K-컬처 클러스터 조성 등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정인서 서구문화원장은 "역대 광주 시장들 모두 문화예술을 발전시키겠다고 공언했으나,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광주는 문화예술도시를 표방하면서도 콘텐츠적으로도 도시 외관적으로도 전혀 새로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며 "정치와 행정에서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우리 포럼이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장현우 문화예술기획자는 "지금 광주에 필요한 것은 예술문화 기반을 통한 관광 산업이다. 공원을 만들고 전망대를 만들어 관광객을 불러모으겠다는 기존의 하드웨어 관광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세계의 예술가들이 오고싶어하는 아트플랫폼 구축, 비엔날레와 여러 미술관, 작가의 작업실을 연결하는 체감형 신산업 등을 통해 광주의 미래를 디자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은 실천 과제를 더욱 구체적으로 가다듬은 후 오는 16일 오전 11시, 광주시의회 시민소통실에서 포럼 발족을 선언하고 회원을 모집할 예정이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소년 고통 생생... 아픈 역사 반복 투표로 막아야죠"
- · "예술인과 함께 문화강국 이끌어주길"
- · "국민화합과 통합의 상징··· 새 출발의 전환점"
- · "지역 청년 인프라 조성에 힘써주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