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한강 고향 찾은 대학생들 "5월의 아픔 전할게요"

입력 2024.12.23. 19:11 최소원 기자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프로젝트
서울·경북 소재 대학생 60명 참여
전일빌딩·금남로·옛 도청 돌아봐
'소년이 온다' 문재학 열사 사연
5·18 열사들 이야기에 '눈물바다'
"같은 상처 지닌 도시 치유 계기로"

30일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행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전일빌딩245 1층에 마련된 미니북카페에서 이진 작가와의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태국에서도 5·18민주화운동과 비슷한 역사가 있었어요. 많은 국민들이 아직 그 아픔을 치유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데, 광주에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태국에 있는 친구들에게 이야기해주고 싶습니다."

서강대 어학당에 재학 중인 태국인 라타온판쑤안 학생은 한국의 영화 수업을 수강하며 한국사에 관심을 갖게 됐다. 최근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이후 '소년이 온다'를 감명 깊게 읽은 그는 어느 날 캠퍼스에서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프로젝트 포스터를 발견했다. 그는 태국과 광주의 아픔을 떠올리며 지체 없이 참가 신청을 했고 곧바로 광주행 버스에 올랐다.

지난 30일부터 12월 1일까지 이틀간 광주 도심 곳곳에서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광주문화재단과 5·18기념재단 등이 주최한 이번 행사는 서울과 경북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60여 명이 참여했다. 전국에서 모여든 학생들은 한강 작가의 대표작 '소년이 온다'의 배경인 금남로와 전일빌딩, 옛 도청 등을 둘러보며 주인공 동호의 여정을 따라가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30일 오후 전일빌딩245 1층에 마련된 미니북카페에 모인 학생들은 광주 지역에서 활동 중인 이진 소설가와 대담 시간을 가졌다. 이날 이 작가는 '인권감수성의 새로운 지평-광주 5월과 여성'이라는 주제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30일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행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전일빌딩245에서 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있다.

그는 "작가라는 정체성을 떠나 전남대 80학번 학생으로서 한 작가의 수상 소식을 듣고 부럽고, 또 기뻤다"며 "몇 년 전까지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광주의 이야기를 차마 쓰지 못하다 2017년쯤 '소년이 온다'를 보고 용기를 가져 장편 소설을 탈고했다"는 비화와 함께 작가가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당시 광주 이야기를 전했다.

계엄군의 총칼 아래 죽음을 피할 수 없었던 평범한 시민들의 5월 이야기를 듣던 학생들은 쓰고 있던 마스크를 내리고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최은아 학생(숙명여대)은 학창 시절 대부분을 대구에서 보내며 역사를 폄훼하는 사람들을 자주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지하철에서 '소년이 온다'를 읽고 그 사람들에게 한 마디도 못했던 내가 방관자로 느껴져 오늘의 배움을 바탕으로 대구에서 같은 상황을 목격한다면 바로잡고 싶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 작가와의 대담을 마친 학생들은 전일빌딩245 건물과 5·18민주화운동 기록관에서 탄환 자국과 사진, 동영상 등 역사 기록물을 관람했다. 해설사로부터 윤상원 열사와 최미애 열사의 이야기를 듣던 한 학생이 오열하자 함께 동행한 친구들까지 덩달아 눈물을 흘리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전시관을 둘러본 학생들은 소설 속에서 나오지 않았던 그날의 기록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전시된 양푼 그릇을 통해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상징인 '주먹밥'의 의미를 전해 듣고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30일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행사에서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 속 동호의 모티브가 된 문재학 열사의 모친 김길자 선생이 대학생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저녁식사를 마친 기행단은 서구에 위치한 5·18교육관으로 이동해 '소년이 온다'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인 김길자 여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김 여사가 문 열사의 이야기를 시작하자 객석 곳곳에선 훌쩍이는 소리가 흘러나왔다.

김 여사는 "40년이 넘도록 5월의 일들을 알리기 위해 한 평생을 바쳤는데, 한강 작가님이 책 한 권으로 전 세계에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하다"며 "한 작가의 수상 소식을 듣고, 우리 재학이의 영정사진을 품에 안은 채 얼마나 울었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대학생들은 이튿날인 12월 1일 5·18민주묘역으로 이동해 참배와 순례의 시간을 가진 후 전남대에서 김영삼 국문과 교수가 진행한 '한강의 시선으로 광주를 보다' 강연을 듣고 모든 일정을 마무리했다.

1일 대학생 한강문학기행' 행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5·18민주묘역에서 참배를 하고 있다.

김상천 학생(경북대)은 "대구에도 수만 명의 민간인이 죽거나 다쳤던 10월 항쟁, 경산 코발트광산 학살 사건 등 비슷한 아픔이 있지만 이런 일들을 공공연하게 얘기하기가 어려운 게 실상이다"며 "5월의 아픔을 잘 보듬은 광주의 모습을 배워 대구의 상처들을 치유할 수 있도록 만들어가고 싶다"는 소감을 전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영상=손민아수습기자 minah868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2
후속기사 원해요
5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