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우승 TV에서 지켜봐...아쉬움 커
"재활 진행 중...완벽하게 돌아갈 것"
"후회는 없습니다. 팀이 가장 필요로 할 때 건강하게 돌아오겠습니다."
프로야구 KIA타이거즈의 이의리의 복귀시계가 부지런히 움직이고 있다. 이의리는 지난 5월 29일 NC다이노스와 경기에서 3이닝 3실점을 기록하고 올 시즌 KIA의 전력에서 사라졌다. 왼쪽 팔꿈치 내측 측부 인대재건술 및 뼈조각 제거술을 받았기 때문.
이로 인해 정규시즌 우승은 물론 한국시리즈 우승도 함께하지 못한 팀의 V12 팬 페스타 무대에도 서지 못한 채 무대 아래서 동료들을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
지난 2021년 프로무대에 데뷔한 이의리는 승승장구해왔다. 데뷔시즌부터 신인왕을 석권했고 4년간 393.2이닝을 던져 26승 22패 평균자책점 3.89로 리그 최고 좌완유망주로 거듭났다. 국제무대에도 수차례 서며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올해 첫 시련과 마주한 셈이다.
이의리는 "올 시즌 아무것도 안했기 때문에 무대에 설 자격이 없다고 판단했다. 내년에 무대에 서도록 하겠다"고 아쉬움이 짙게 배어난 소감을 밝혔다.
아쉬움을 곱씹은 이의리는 현재 재활의 터널을 묵묵히 지나고 있다. 그는 "팔꿈치 수술은 터질게 터진 느낌이라 후회는 없다. 조금 더 빨리 수술을 했다면 어땠을까 싶지만 결정에 후회는 없다"고 덤덤하게 밝혔다.
지난 6월 수술을 받은 이의리는 현재 ITP(단계별 투구 프로그램)을 시작하며 차근 차근 복귀를 준비하고 있다. 순조롭게 재활 과정이 흐른다면 수술 후 1년이 되는 내년 6월께 복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의리는 "코치님께서 이야기하시는 것이 ITP를 스케줄을 정해놓고 하기 보다는 몸상태에 맞춰서 하는 것이 좋다고 하셨다. 오히려 지금 컨디션이 좋아서 서두르다가 통증이 올지 모르기 때문에 천천히 가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발진의 한 축을 당당히 맡아줄 것으로 예상했던 이의리의 이탈에 KIA는 우승 도전에 암초를 만났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이범호 KIA감독 역시 올 시즌 가장 큰 위기의 순간으로 이의리, 윤영철 등 선발 투수들의 이탈 시점을 꼽았을 정도.
이의리는 "그동안 내가 잘 해왔다는 것을 느꼈고 앞으로도 할 일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열심히 해서 오랫동안 자리를 차지하고 싶다. TV로 KIA경기를 꾸준히 봤는데 (김)도현이 형이나 (황)동하가 공백을 빈틈없이 잘 메워줘서 욕심이 많이 났다. 앞으로 더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의리가 없는 상황에서도 2024시즌 대권을 거머쥔 KIA는 2025시즌에도 변함없이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힌다. 필승조 장현식이 이탈했지만 내부자원으로 대처가 가능할 만큼 뎁스가 두껍기 때문. 여기에 국가대표 좌완 이의리가 없는 상황에서도 우승을 차지한 만큼 그가 복귀한다면 2025년에도 KIA의 대권도전은 탄탄 대로를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범호 감독도 "2년 연속 우승을 위해서는 이의리가 돌아오는 시점까지 팀이 잘 버티고 있어야 한다"며 그의 복귀시점을 승부처로 꼽았다.
이의리는 이에 대해 "내년에 내가 팀에 복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이 선수들이 전체적으로 지치는 시점이다. 그때 힘있게 복귀해서 팀에 플러스가 되도록 열심히 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재혁기자 leeporter5125@mdilbo.com
- 부진했던 AG금메달리스트, KIA V13 퍼즐 될까 프로야구 KIA타이거즈의 최지민이 한국시리즈에서 역투를 하고 있다. KIA구단 제공. '절치부심'프로야구 KIA타이거즈의 핵심 좌완 불펜 최지민에게 어울리는 단어다.지난 2022년 2차 1라운드 전체 5순위로 KIA에 입단한 최지민은 담금질을 거쳐 2023년 잠재력을 터트렸다. 그해 58경기에 출전한 그는 59.1이닝을 던져 6승 3패 12홀드 3세이브 평균자책점 2.12를 기록하며 단숨에 리그 최정상급 불펜투수로 거듭났다.시즌을 마친 후에는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국가대표로도 선발됐다. 대회 4경기에서 4이닝 무실점 1승 2홀드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해 병역면제 혜택까지 받았다. 연봉도 상승하며 단숨에 억대연봉자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팀내 입지도 탄탄해진 그는 2024년 필승조로 시즌 개막을 맞이했다.3월 4경기에서 4이닝 2홀드 평균자책점 2.25를 기록한 그는 4월에도 12경기에서 11이닝 1승 1패 3홀드 2세이브 평균자책점 0으로 철옹성 피칭을 자랑했다. 이어진 5월에는 13경기 10이닝 1승 1패 2홀드 평균자책점 2.70. 작년의 기세를 그대로 이어나가는 듯 했다.그러나 6월부터는 완전히 다른 투수가 됐다. 6월 12경기에서 8.2이닝만을 던졌고 1패 3홀드 1세이브 평균자책점 8.31로 무너졌다. 이어진 7, 8월에는 평균자책점이 두 자리수로 오를만큼 크게 부진했고 그나마 9월 3.60으로 안정감을 찾았지만 이미 벤치의 신뢰를 잃은 뒤였다.시즌 최종 성적은 56경기 46이닝 3승 3패 12홀드 3세이브 평균자책점 5.09.어쩌면 그의 부진은 4월부터 예고됐을지도 모른다. 4월 11이닝을 던지며 기록한 사사구가 11개에 달했다. 5월에도 10이닝 동안 11개의 사사구를 내주며 낮은 평균자책점 속에서도 제구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최지민은 한국시리즈 엔트리 승선에는 성공했으나 1경기 출전 0.2이닝 투구에 그쳤다.프로야구 KIA타이거즈의 최지민이 역투를 하고 있다. KIA구단 제공.다행히 곽도규가 혜성처럼 등장해 최지민의 공백을 메웠고 KIA는 V12에 성공했다.2025년 통합우승 2연패에 도전하는 KIA는 여전히 전력구상에 최지민을 포함시키고 있다. 2023년의 모습이 너무나도 강렬했기 때문.최지민을 옆에서 지켜봐온 정재훈 투수코치는 "최지민은 2023년 풀타임 첫해를 보냈다. 그런데 호주부터 대표팀까지 다녀오며 너무 많이 던진 여파가 있는 것 같다"면서 "프로에 와서 처음으로 많이 던졌는데 그러면서 릴리스포인트나 공의 궤적이 변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또 2023년에는 성적이 좋으면서 선수 스스로도 자신감이 많이 생겼는데 2024년에는 반대의 결과가 나오며 본인이 많이 위축이 됐다. 이렇게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부진했던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이어서 "스프링캠프를 가게 되면 지민이는 회복에 중점을 두고 좋았을 때의 모습을 영상으로 많이 보여주면서 컨디션을 끌어올리려고 한다. 일단 몸이 만들어져야하는게 우선이고 그러다보면 자신감이 생겨서 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KIA에게 최지민의 부활이 중요한 이유는 또 있다. 우완 불펜투수 장현식이 FA자격을 얻어 LG트윈스로 떠나 전력에 공백이 발생했기 때문. 2024년 부진했던 최지민이 그 전의 모습을 찾아준다면 KIA가 불펜을 운용하는데는 보다 숨통이 트일 수 있다. 최지민이 2023년의 공을 되찾아 KIA의 우승 2연패에 일조할 수 있을지 팬들의 관심이 모인다.이재혁기자 leeporter5125@mdilbo.com
- · [2025년 신년 특집] 'V12' KIA, 타이거즈 왕조 2기 구축 위해 달린다
- · '소문이 사실로' KIA, 라우어 대신 올러 택했다
- · '테스형 대신 위즈덤?' KIA "긍정적 검토 중"
- · 우승팀 자존심 살렸다...KIA 황금장갑 3명 배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