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책] '입시 전쟁'은 조선시대부터 있었다

입력 2024.08.15. 14:23 최소원 기자
조선, 시험지옥에 빠지다
이한 지음|위즈덤하우스| 328쪽

오늘날 매년 8월 초가 되면 '수능 100일 전'이 일제히 보도된다. 행정고시, 임용고시 등 주요 고시에 관한 소식도 연중 끊이지 않는다. 이러한 시험들은 전 국가적인 관심사인데, 공동체의 미래를 책임질 인재를 선발하는 관문인 동시에 개개인에게는 입신양명의 시작점이기 때문이다.

저자에 따르면 이는 어제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500년 전의 조선에는 지금의 수능과 온갖 고시를 다 합친, 모든 출세의 '왕도'인 과거가 있었다. 인성과 학식, 국가 경영의 자질 등을 두루 깐깐히 평가한 과거는 조선의 버팀목 그 자체였다. 그만큼 높은 수준을 요구했고, 급제자에게는 부와 명예, 권력을 보장했으니, 수많은 사람이 과거에 도전했다. 한마디로 조선에서조차 입시는 전쟁이었다.

저자는 실록 같은 조정의 공식 기록부터 이황의 편지나 정약용의 문집 같은 개인의 기록까지, 역사의 바다에서 과거와 관련된 여러 사료를 찾았다. 역사가로서 사실을 고증하고 스토리텔러로서 재미를 더한 그 이야기들에는 앞서 시험지옥을 겪었던 선배들의 '웃픈' 일화가 녹아 있다. 그들은 1천권 이상의 유교 경전을 외우는 것으로도 모자라, 필체까지 갈고닦았다. 수많은 학원이 문전성시를 이뤘으며, 유력 가문들은 이름난 학자를 과외 선생으로 모시고자 혈안이었다. 장수생과 체벌은 그때도 사회문제였다. 한편 시험장에서는 온갖 부정행위가 시도됐고, 특히 권력형 입시 비리가 횡행하며 조선의 기틀을 흔들었다.

조선은 철저한 신분제 사회였고, 따라서 신분마다 따르고 지켜야 할 도리가 있었다. 지배층인 양반도 예외는 아니어서, 아랫사람을 부리고 지도할 권세를 누리려면 그에 걸맞은 '자격'을 갖춰야 했다. 그 자격이란 첫째는 혈통이요, 둘째는 벼슬이니, 고로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면, 반쪽짜리 양반에 불과했다. 물론 벼슬길에 올라야 먹고사는 문제도 해결되었다. 이러한 신분제의 질서와 현실의 압박을 배경으로 과거를 둘러싼 입시 전쟁이 막을 열었다.

책은 그 욕망과 좌절의 대향연으로 가득하다. 자연스레 오늘날의 입시 풍경이 겹쳐 개인의 영달과 가문의 영광, 세력의 영속을 위해 과거에 도전한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묘한 동질감과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