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버넌스학회와 무등일보는 전국 자치단체의 주요정책을 평가하고 지역 간 경쟁력을 높이며 우수 성공사례를 발굴, 확산시키기 위해 ‘무등 행정대상’을 마련했습니다. 또 참신한 의정활동과 지역사회발전에 공헌한 의원들을 격려함으로써 풀뿌리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무등 의정대상’도 수여합니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무등 행·의정대상 공모에 전국의 자치단체 및 단체장, 지방의원, 시·도민의 적극적 참여와 추천을 바랍니다.
■ 무등 행정대상(단체, 개인)
*평가부문: 단체-행정혁신, 지역발전, 경영혁신
? ? ? ? ? ? ? ? ? 개인-행정혁신, 지역발전, 경영혁신
*공모대상: 전국 기초 자치단체(시·군·구) 및 자치단체장
■지방자치 의정대상(개인)
*평가부문: 의정, 지역발전, 혁신
*공모대상: 전국 광역·기초의원
■공통사항
*접수기간: 2023. 9.25(월)∼11.8(수) 18:00 (공적기간 2022.7.1.~2023.11월)
*공적심사: 2023.11.21(화)
*수상발표: 2023.11.28(화)
*시상일시: 2023.12.13(수)
*시상장소: 홀리데이인 광주호텔
*제출서류: 신청서 및 공적조서(소정양식, 당사 홈페이지 www.mdilbo.com)
*공동주관: 한국거버넌스학회, 무등일보
*접수 및 문의: 무등일보 (062)606-7778
-
무등일보, 포털 다음(Daum) 하루 조회수 12만...관심 기사는 광주·전남지역 대표 뉴스 플랫폼으로 우뚝 선 무등일보의 포털 다음(Daum) 일일 조회수가 12만에 육박했다. 지난달 25일, 다음 채널 공식 입점 이후 처음 기록한 수치다.다음 채널 조회수 top 10무등일보가 다음 채널 스튜디오 관련 통계를 분석한 결과, 7일 하루 조회수는 11만7천496 PV(방문자가 열어본 횟수)를 기록했다. 이날 방문객은 9만8천287명으로 10만명 대에 달했다. 그 간 주간 조회수 평균은 3만∼5만 대 수준이었다. 지역성을 살린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콘텐츠 생산과 시의적절한 여론조사가 독자들의 클릭을 유도한 셈이다.광주·전남지역 생생한 기후·환경 아젠다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최근 폭염·열대야 등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서다. ▲ "장마 50일··· 말라 죽었다" 이상기후에 흔들리는 무등산수박 ▲ 여름철 돼지 축사 운영의 어려움을 다룬, "에어컨 한달 일찍 틀고, 한달 더 가동···폭염 땐 전기료 두 배" 등이다.또한 무등일보가 광주·전남의 미래 청년 세대를 통해 12·3 불법 계엄과 탄핵심판, 대선 과정 등을 하나하나 짚었던 '5·18 45주년 기획시리즈'도 눈길을 끌었다. 주요 이슈에 댓글에 대댓글이 달리면서 논쟁이 벌어지는 등 다양한 여론이 표출됐다.2만여 명이 읽었던 기사가 대표적이다. "계엄을 경험한 사람들은 압니다. 세상은 공포로 바뀌고, 자유는 없고, 죄 없는 민간인이 당하는 상황은 전쟁 보다 잔악무도 하고 지옥보다 비참 합니다"와 같은 공감 의견에서부터 "관심 없다" "518 지겹다"등과 같은 극우 성향을 띠는 댓글도 여럿 보였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1년여 앞두고 실시한 여론조사 관련 기사들도 누적 조회수 6만 여 pv를 돌파하는 등 독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구독 신청은 포털 다음과 함께 무등일보 홈페이지(모바일·PC)에서 가능하며, 소셜미디어, 지면 QR 코드 등을 통해 8월 말까지 시원한 커피·팥빙수를 제공하는 구독 이벤트도 진행된다. 박준서기자 junseo0308@mdilbo.com
- · [알림] 영호남박람회
- · [알림] 무등일보가 인재를 찾습니다
- · 무등일보, 포털 다음(Daum)에서 보세요
- · [알림] '지방자치 인명록' 편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