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도 떨어지고, 기억하기 힘들어 변경 요청 잇따라
지역민들이 직접 나서 결실… 작은 변화지만 큰 의미
행정기관이 관리하기 편하게 숫자로 등록했던 광주 상무지구 근린공원들이 28년만에 지역 특색을 살린 공원으로 바뀐다.
2일 광주 서구에 따르면 숫자로 된 일련번호로 이름이 불려지고 있는 '상무2-1근린공원', '상무2-2근린공원', '상무2-3근린공원', '상무2-4근린공원', '상무4-1근린공원' 등 근린공원 5곳의 명칭을 변경하는 안건이 지난달 29일 광주시 지명위원회 의결을 참석 위원 13명(외부 위원 11명) 만장일치로 통과했다.
근린공원은 도심 주택가 주변에 있는 조그마한 규모의 공원으로, 쌍촌동과 유촌동 일대에 위치한 해당 공원들은 지난 1996년 택지개발 당시 조성되면서 숫자로 이름이 붙여졌다.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데다가 한꺼번에 생기다 보니 공원마다 이름을 짓지 못하고 행정편의 위주로 번호를 매긴 것이다.
실제 주민들은 "이름이 번호로 돼있어 불편하다", "부르기 어렵다", "이름 만으로 정확한 위치를 알기 어렵다" 등 명칭을 변경해달라고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다.
이에 서구는 지난해 말 주민 공모를 진행한 뒤 통장단이나 주민자치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현장조사까지 거쳐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이름을 직접 선정했다. 변경되는 이름은 각각 '상무2-1→자연미소공원', '상무2-2→계수공원', '상무2-3→무진푸른공원', '상무2-4→상암공원', '상무4-1→돛단배공원'이다.
같은날 열린 지명위원회에서 광산구 하남동 '검바우 어린이공원'의 이름을 '하남물 어린이공원'으로 바꾸는 안건도 참석 위원 과반 찬성으로 의결됐다.
하남3지구가 조성되면서 만들어진 검바우 어린이공원은 지난 2020년 '흑석마을'이라는 옛 지명을 따서 이름을 붙였는데, 주민들이 흑석마을이 아니라 '하남물마을'이라며 이름을 바꿔달라고 의견을 제시해왔기 때문이다.
이번 광주시 지명위원회 의결을 통과한 안건들이 조만간 국토지리정보원 고시를 통해 최종 확정되면 숫자로 불리던 서구지역 공원들은 28년 만에 새 이름을 얻게 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공원 이름이 번호로 돼 있어 인지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많았다"며 "지역 특성을 반영해 이름을 정한 만큼 앞으로도 자치구와 협조해 주민 친화적 공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비상계엄·제주항공 참사에 트라우마 호소하는 사람 많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통합심리지원단 제공 12·3 비상계엄 사태와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국민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일각에서는 연이은 대형 사건·사고를 모든 국민이 지켜본 만큼 트라우마는 더욱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광주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이하 치유센터)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달 4일부터 이달 9일까지 93명이 총 226건의 상담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치유센터는 5·18 민주화운동 유가족과 피해자 등 국가폭력으로 피해를 본 국민들의 트라우마 치유를 지원하는 곳으로 과거 국가폭력을 경험했던 사람들이 이번 비상계엄으로 인한 정신적 충격이 크다는 점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주요 상담 내용은 "비상계엄이 선포됐었다는 게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 "비상계엄 관련 뉴스를 보면 괜히 불안하다", "생각만 하면 가슴이 쿵쾅쿵쾅 뛴다", "일이 손에 잡히지 않고 잠도 잘 안 온다" 등이었다.이 같은 현상은 전국적으로 비슷했다.전진숙(광주 북구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광역·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비상계엄 관련 상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4일부터 20일간 상담을 받은 인원은 총 45명이다.지역별로는 서울이 1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산 9명, 경기 7명, 대전 5명, 경북 4명, 광주 3명, 울산 3명, 강원 1명, 전북 1명, 제주 1명 등이다.179명이 숨진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보건복지부 통합심리지원단에서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상담을 받은 건수도 670건(대면 413건·비대면 257건)에 달했다.통합심리지원단은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권역 트라우마센터,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등 여러 관계기관으로 구성돼 운영되고 있다.상담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난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충격이나 손상을 받은 사람 또는 부상자'에 해당하는 '1차 경험자'는 총 4건(2건·2건)의 상담을 받았다.'2차 경험자'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되는데, 1차 경험자(사망)의 유가족이 477건(254건·223건), 1차 경험자(부상)의 가족이 2건(0건·2건) 도움을 청했다.소방, 경찰, 의료, 행정 등 현장 재난대응 인력도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차 경험자'인 이들의 상담 건수는 115건(0건·115건)으로 집계됐다.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통합심리지원단. 전남도 제공또 '4차 경험자'로 구분되는 재난이 일어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34건(34건·0건)의 심리 지원을 요청했다. 참사가 지역에서 발생한 데다가 희생자 대부분 광주·전남 지역민이기 때문이다. 이번 참사로 인한 광주·전남지역 희생자는 총 157명(광주 85명·전남 72명)이다.마지막으로 '5차 경험자'인 참사를 SNS로 실시간으로 접하고 충격에 빠진 일반 시민들도 38건(8건·30건)의 어려움을 호소했다.통합심리지원단에서는 비상계엄 관련해서도 상담 핫라인을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 상담 건수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통합심리지원단 관계자는 "트라우마가 발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가 이어지면서 전국민적 트라우마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기존에 트라우마가 있었던 사람들의 경우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욱 조심해야 한다"며 "트라우마 치유는 초기 개입이 중요한 만큼 혼자 감내하지 말고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길 바란다. 정부도 많은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심리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최갑렬 BBS광주불교방송 사장 "불교방송 뿌리 지키며 다각형 언론 되겠다"
- · 무등일보, BBS광주불교방송과 업무협약···뉴스·콘텐츠 교류 협력
- · "배짱영업 선 넘네" 임시공휴일 지정되자 '그린피' 인상 러시
- · 광주 도심 인도 곳곳 쌓인 녹다 남은 눈에 보행자 '불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