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과 인사들이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행위에 대해 내란범죄로 규정하고 "헌정 유린이자 사실상 반란 행위"라며 규탄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진보연대 등이 참여한 윤석열퇴진 시국대성회 추진위원회는 4일 오전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광주시민 비상시국대회'를 열었다.
이날 시국대회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 녹색정의당, 진보당, 진보연대, 종교계 등 각계 인사를 비롯해 주최측 추산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헌정을 유린한 내란수괴 윤석열과 공조세력을 즉각 체포·하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현수막과 손팻말 등을 통해 '윤정권 하루빨리 탄핵', '국회는 하루빨리 탄핵소추하라' 등의 메시지를 주장했다.
이날 참석한 강기정 광주시장은 "짧은 계엄의 밤이 가고 심판의 시간이 왔다. 80년 5월의 아픔을 경험한 우리들은 이같은 상황을 절대 용납할 수 없고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봉식 광주전남 진보연대 대표는 "민주공화 대한민국이 뿌리째 흔들릴 수 있었던 끔찍한 시간이었다. 국회라는 헌정기관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장면을 보며 광주는 물론 온 국민이 80년 5월 그날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며 "계엄을 해제했다고 해서 이같은 행위를 용납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백형준 광주공무원노동조합 본부장은 "공무원은 정치적 중립의 의무와 권리가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상황에 황당하고 분노해 거리로 나섰다. 뜻을 함께하는 이들과 함께 민주주의를 지켜나가고, 광주시민 총궐기를 통해 윤석열 정권을 타도해야 한다"고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시위에 함께한 시민들도 계엄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를 냈다.
신혜선(25·여)씨는 "어제 비상계엄 선포 이후 잠을 설치고 자리에 함께했다. 서울은 국회에서 시민들이 모이고, 광주는 이곳 5·18민주광장에서 연대한다고 해 참여했다"며 "이런 영화보다 더한 끔찍한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이 하루빨리 하야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단체는 이날 오후 2시 전일빌딩 245 4층 시민마루에서 긴급 대표자회의를 진행해 추후 일정과 진행 방향을 논의한다. 이후 오후 7시께에는 5·18민주광장에서 '광주시민 총궐기대회'를 열 계획이다.
차솔빈기자 ehdltjstod@mdilbo.com
영상=박현기자 pls2140@mdilbo.com
- 비상계엄·제주항공 참사에 트라우마 호소하는 사람 많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통합심리지원단 제공 12·3 비상계엄 사태와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국민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일각에서는 연이은 대형 사건·사고를 모든 국민이 지켜본 만큼 트라우마는 더욱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광주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이하 치유센터)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달 4일부터 이달 9일까지 93명이 총 226건의 상담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치유센터는 5·18 민주화운동 유가족과 피해자 등 국가폭력으로 피해를 본 국민들의 트라우마 치유를 지원하는 곳으로 과거 국가폭력을 경험했던 사람들이 이번 비상계엄으로 인한 정신적 충격이 크다는 점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주요 상담 내용은 "비상계엄이 선포됐었다는 게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 "비상계엄 관련 뉴스를 보면 괜히 불안하다", "생각만 하면 가슴이 쿵쾅쿵쾅 뛴다", "일이 손에 잡히지 않고 잠도 잘 안 온다" 등이었다.이 같은 현상은 전국적으로 비슷했다.전진숙(광주 북구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광역·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비상계엄 관련 상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4일부터 20일간 상담을 받은 인원은 총 45명이다.지역별로는 서울이 1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산 9명, 경기 7명, 대전 5명, 경북 4명, 광주 3명, 울산 3명, 강원 1명, 전북 1명, 제주 1명 등이다.179명이 숨진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보건복지부 통합심리지원단에서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상담을 받은 건수도 670건(대면 413건·비대면 257건)에 달했다.통합심리지원단은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권역 트라우마센터,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등 여러 관계기관으로 구성돼 운영되고 있다.상담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난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충격이나 손상을 받은 사람 또는 부상자'에 해당하는 '1차 경험자'는 총 4건(2건·2건)의 상담을 받았다.'2차 경험자'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되는데, 1차 경험자(사망)의 유가족이 477건(254건·223건), 1차 경험자(부상)의 가족이 2건(0건·2건) 도움을 청했다.소방, 경찰, 의료, 행정 등 현장 재난대응 인력도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차 경험자'인 이들의 상담 건수는 115건(0건·115건)으로 집계됐다.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통합심리지원단. 전남도 제공또 '4차 경험자'로 구분되는 재난이 일어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34건(34건·0건)의 심리 지원을 요청했다. 참사가 지역에서 발생한 데다가 희생자 대부분 광주·전남 지역민이기 때문이다. 이번 참사로 인한 광주·전남지역 희생자는 총 157명(광주 85명·전남 72명)이다.마지막으로 '5차 경험자'인 참사를 SNS로 실시간으로 접하고 충격에 빠진 일반 시민들도 38건(8건·30건)의 어려움을 호소했다.통합심리지원단에서는 비상계엄 관련해서도 상담 핫라인을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 상담 건수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통합심리지원단 관계자는 "트라우마가 발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가 이어지면서 전국민적 트라우마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기존에 트라우마가 있었던 사람들의 경우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욱 조심해야 한다"며 "트라우마 치유는 초기 개입이 중요한 만큼 혼자 감내하지 말고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길 바란다. 정부도 많은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심리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최갑렬 BBS광주불교방송 사장 "불교방송 뿌리 지키며 다각형 언론 되겠다"
- · 무등일보, BBS광주불교방송과 업무협약···뉴스·콘텐츠 교류 협력
- · "배짱영업 선 넘네" 임시공휴일 지정되자 '그린피' 인상 러시
- · 광주 도심 인도 곳곳 쌓인 녹다 남은 눈에 보행자 '불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