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도 필요하다', '2016년과 판박이' 비상계엄 두고 '말말말'

입력 2024.12.04. 14:43 임창균 기자
전남대 단과대회장 비상계엄 두둔
박근혜 탄핵 2016년 ‘평행이론’도
“시민도 계엄군도 모두가 피해자”
4일 오전 SNS 스레드에 게시된 비상계엄 선포 반응.스레드 갈무리

한밤중에 일어난 비상 계엄으로 인해 인터넷커뮤니티와 SNS 등에서도 수많은 네티즌들이 뜬눈으로 상황을 주시하고 있었다. 계엄군의 국회 대치 국면에서는 긴장된 반응이 주를 이뤘으나 계엄 해제 이후로는 비상계엄선포 이유에 대해 해학적인 해석을 풀어 놓기도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후 돌발적인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나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이 가결되며 무효됐다.

일련의 상황을 두고 4일까지 인터넷커뮤니티와 SNS에는 다양한 반응이 쏟아졌다.

비상계엄이 해제되기 전까지 계엄사령부에서 포고령을 발표하고 군병력이 국회에 진입하자 뉴스와 유튜브 생방송을 통해 이를 지켜본 네티즌들은 '지금 대한민국 상황이 이게 맞나', '교과서에서나 본 계엄령 선포를 직접 볼 줄은 몰랐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그런 와중에 '서울에 탱크가 진입했다'며 과거 사진으로 가짜 뉴스를 유포해 불안감을 조성한 네티즌도 있었다.

광주에서는 전남대학교의 한 단과대 학생회장이 SNS에 비상계엄을 두둔하는 듯한 게시글을 남겨 뭇매를 맞았다. 예술대 학생회장인 A씨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비상계엄 선포 보도 사진을 올리며 '간첩이 아니고서야 겁먹을 필요 없다', '질서를 위해서는 가끔 통제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글을 남겼다.

3일 오후 전남대학교 예술대 학생회장 A씨가 SNS 인스타그램 에 게시한 스토리.인스타그램 갈무리

A씨의 게시글은 대학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까지 퍼져 수많은 전남대 학생들이 이를 비판했으며 이에 A씨는 별도의 사과문을 통해 "학내 민주주의 구성원으로서 경솔한 발언을 했다. 불편함을 느끼셨을 모든 분들께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비상계엄 해제 이후에는 일련의 상황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반응이 이어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 된 2016년과의 평행이론을 주장하는 글들도 여럿 게시됐다.

탄핵 소추안이 발의된 2016년에는 대한민국이 리우 올림픽에서 8위를 기록했으며 한강 작가의 부커상 수상, 페이커의 롤드컵 우승,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 등도 이뤄졌다.

탄핵이 결정된 2017년에는 KIA타이거즈가 우승했으며 가수 GD가 컴백했고 콜드플레이가 내한 공연을 했다.

이 같은 상황은 올해도 비슷하게 재현되고 있는 중이다.

올해에는 대한민국이 파리 올림픽에서 8위를 기록했으며 한강 작가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페이커의 롤드컵 우승,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 KIA타이거즈 우승과 GD의 컴백도 재현됐으며 콜드플레이는 내년 내한 공연이 예정돼 있다.

당시에 발생한 여러 일들과 비슷한 사건들이 올해도 진행 중이기 때문에 윤석열 대통령도 박근혜 전 대통령과 비슷한 전철을 밟지 않겠느냐는 반응이다.

엑스(구 트위터)에 게시된 평행이론설.엑스 갈무리

비상계엄 선포 이유에 대해서는 '로제의 아파트를 듣고 '게임하자'를 '계엄하자'로 잘못 들었다', '청룡영화제 시상식에서 정우성을 보고 영화 '서울의 봄'까지 몰아봤나 보다' 등 해학적인 반응이 주를 이뤘으며 ''서울의 봄 2' 재밌다. 세 시간 런닝타임이 길다', '대통령이 뭐 제대로 하는 일이 없었는데 계엄령도 제대로 못해서 다행이다' 등의 소감도 볼 수 있었다.

계엄군을 막아선 시민들을 향한 응원과 격려의 목소리도 볼 수 있었다.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국회 앞에서 무장계엄군 수송 차량을 맨몸으로 막아선 시민들과 국회에 장애물을 설치한 보좌관들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의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을 제대로 알게 됐다', '한뜻을 뭉친 국회도 박수 쳐주고 싶고 시간을 벌어준 저분들도 고맙다'는 반응이 여럿 보였다.

대치 과정에서 넘어진 계엄군을 시민들이 일으켜 주는 장면에 대해서는 '명령에 따른 것인데 저들이 무슨 잘못이 있나. 정말 제대로 나섰다면 사상자도 생겼을 것', '국민 뿐만 아니라 계엄군도 모두가 피해자다' 등 안타깝다는 반응도 보였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1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