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LE 2위 및 K리그1 잔류
“내년 좋은 선수 영입해야”
프로축구 광주FC발 돌풍이 아시아 무대를 휩쓸었다.
광주는 3일 상하이 푸동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4-2025 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리그 스테이지 6차전' 상하이 하이강과 경기에서 1-1로 자웅을 가리지 못했다.
광주는 4승 1무 1패 승점 13점으로 요코하마 마리노스(승점 13점)에 이어 2위를 지켰다. 요코하마와는 승점은 같으나 득실차에서 밀렸다.
광주는 최근 아시아 무대에서 7득점으로 맹위를 떨치고 있는 아사니의 부상 속에 전력을 100% 가동하지 못한채 경기에 임했다.
신창무와 허율이 최전방에 나섰고 이희균-정호연-박태준-최경록이 중원을 지켰다. 김진호-김경재-변준수-조성권이 후방에 섰으며 김경민이 골키퍼 장갑을 착용했다.
광주는 전반 2분부터 조성권이 기습적인 슈팅을 시도하는 등 전반을 주도했다. 9분에는 이희균이 상대 골문을 열었으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득점이 취소되는 불운도 겪었다.
꾸준히 상하이의 골망을 노리던 광주는 전반 37분 박태준의 패스를 받은 허율의 슈팅이 기어코 골문을 열며 선제득점에 성공했다.
후반에는 아쉬운 실수가 나왔다. 28분 상대 드리블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김진호가 패널티킥을 내주고 말았다. 이어진 패널티킥에서 실점하며 경기는 1-1 원점으로 돌아갔다.
광주는 이후 이희균과 허율을 대신해 이건희와 이강현을 투입해 파상공세를 이었으나 득점을 올리지 못하고 1-1로 경기는 마무리됐다.
올해 마지막 경기를 마친 이정효 광주FC 감독은 "꼭 이겼어야 했는데 이기지 못한 것이 화가 난다"고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 감독의 말처럼 아쉬움이 남을 수 있는 경기. 그러나 광주의 2024년은 충분히 성공적이다. 지난 2023년 K리그1 3위에 올라 센세이션을 일으켰을 정도는 아니지만 여름 이적시장 불참, 엄지성의 이적 등 악재에도 K리그1에 잔류하는데 성공했고 ACLE에서는 4승을 거두며 16강 진출을 목전에 두고 있다.
창단 이후 ACLE에 처음으로 참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함께 참가한 포항, 울산과 비교해도 가장 뛰어난 성적을 올리며 경쟁력을 K리그의 자존심을 세웠다.
이 감독은 "우리가 가진 스쿼드를 봤을 때 전반에 뛰는 선수와 후반에 교체로 투입된 선수들을 비교하지 않을 수 없다. 내년 시즌에 더 좋은 선수들을 영입하지 않는다면 ACLE 16강, 8강에 진출하더라도 우리 구단은 어려울 것"이라고 목소리를 냈다.
이재혁기자 leeporter5125@mdilbo.com
- 광주FC 이정효 감독, 전북으로 이적하나? 프로축구 광주FC의 이정효 감독의 내년시즌 거취를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광주FC 제공. 프로축구 광주FC의 사령탑 이정효 감독의 거취에 세간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18일 뉴시스는 "이 감독이 김두현 감독의 후임으로 전북현대로 이적한다. 19일 공식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전북은 앞서 16일 김 감독과 계약 해지를 발표하며 새 사령탑을 물색하는 중이다.지난 시즌 전북은 K리그1 잔류에는 성공했으나 하위스플릿에 머물렀고 순위도 10위에 그치는 등 유례가 없는 부진으로 몸살을 앓았다. 10승 12무 16패 승점 42점으로 K리그1 최다 우승(9회)팀의 자존심을 구겼다.이에 새 사령탑을 찾는 전북의 물망에 이 감독이 오른 분위기다.이 감독은 지난 2022년 광주의 사령탑을 맡아 K리그2에서 K리그1으로 승격을 이끌었고 지난해에는 광주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K리그1 3위)를 이끌며 지도력을 입증했다. 올 시즌에도 광주의 K리그1 잔류와 ACLE에서의 호성적으로 존재감을 증명한 바 있다.광주FC 관계자는 "아직 구단측에서는 확인되고 있는 점이 없다"며 "공식적으로 확인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다음 사령탑 물색 등의 절차에는 나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이재혁기자 leeporter5125@mdilbo.com
- · '아사니 결승 득점' 광주FC, 상하이 제압
- · '우승이 목표'였던 이정효 광주FC 감독 "내년에 잘 준비하겠다"
- · 최종전서 무승부...광주FC, K리그1 잔류
- · 2G 연속 무승부...광주FC K리그1 잔류는 성공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