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시평] 계엄령 아래 한국여행 꿀팁

입력 2024.12.08. 17:42 이용규 기자
신혜진 소설가

수업 중에 학생이 자주 고개를 숙였다. 과외는 나의 주 수입원이다. 최근에는 프랑스인 학생도 늘었지만 한국 학생과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수업도 있다. 시차 때문에 온라인 수업은 한국시각으로 밤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시선이 흔들리며 단발머리가 빗각으로 쏟아지는 게 아무래도 학생이 딴 데 정신이 팔린 것 같다. 곧 끝나니 집중하라고 주의를 주려는데 학생이 소리쳤다.

"선생님, 계엄령이 선포됐대요!"

친구에게 메시지를 받았다며 학생이 노트북 화면 아래 숨겨 두었던 핸드폰을 들어 올려 보여주었다. 친구와 문자를 나누고 있었던 모양이다. 그런데 내가 뭘 들은 거지? 계.엄.령.선.포.라니 귀가 의심되는 단어였다.

"뭐라고요? 전쟁이 났다는 건가요? 헛소문이겠죠. 비트코인이라도 사야 될까요? 에이, 때가 어느 땐데... 자자, 남은 부분 얼른 합시다. 빨리 끝낼게요!"

충격을 누르고 어찌어찌 수업을 마쳤다. 학생에게 질문이 있는지 물었다.

"여러 가지 의미로 오늘 수업은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선생님."

나는 학생이 하는 말이 무슨 뜻인지 정확히 안다. 비현실적인 사건을 만나게 되면 우리는 당시 뭘 하고 있었는지 경우에 따라서는 냄새까지 생생하게 기억하게 된다. 빨래를 개다가 티비를 켰는데 속보가 떴어요, 아침에는 핸드폰을 싹 걷어가니까 몰랐죠, 그날 급식에 나온 돈가스가 엄청 맛있었어요, 결혼한 딸네 집에 가다가 버스에서 들었어요, 산책을 하는데 시커멓게 먹구름이 몰려오더라고요 등등... 일상의 사소하고 감각적인 기억들이 사실과 정보에 기반한 서술 기억에 덧붙여져 입체화된 장기 기억으로 저장되는 것이다. 그래서 아주 오랜 기간이 지나도 마치 어제 일처럼, 당시 감정마저 생생하게 느끼게 된다.

한국에 무슨 일이 벌어지면 불안해진다. 비록 몸은 멀리 있지만 보이지 않는 실이 마음을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것만 같다. 수업을 마치고 편지를 가지러 가는 길에 한국으로 돌아가야 하나 생각했다.

프랑스에 온 지 얼마 안 됐을 때, 사람이 살면서 겪어서는 안 되는 일들을 나는 겪었다. 그 끝에 이 나라 하방에 설치된 그물이 정말 튼튼하다는 사실을 경험했다. 이른바 사회안전망이 어떤 시스템으로 굴러가는지 배우게 되었다. 프랑스가 모든 면에서 우리나라보다 우월하다고 찬양하려는 게 아니다. 그러나 결정적인 부분에서 뛰어난 점이 틀림없이 있다.

프랑스로 이사 가서 살림살이 좀 나아졌냐고 묻는다면, 그렇지는 않다. 돈으로 안 되는 일이 있다면 돈을 충분히 썼는지 반성하라는 우스갯말도 있다. 어차피 가난한 사람들은 이 세상 어디를 가도 사는 게 녹록치 않다. 그래서 돈과 권력에 그리들 집착하는 것이겠지만 한편으로 대다수 시민들은 소박한 행복이면 충분하다는 사실도 잘 안다. 쪼르르 달려와 목에 감기는 아이의 말랑한 팔뚝에 하루치 피곤을 녹여가며 살아가는 것이다.

학교가 안전하고, 일터가 안전하고, 거리가 안전하면 막대한 재산이나 막강한 권력이 없더라도 만족하며 살아갈 줄 안다. 이게 그리 어려운가. 안전해야 할 학교가 위태롭고, 안전해야 할 일터가 불안하고, 안전해야 할 거리가 위험하다면 사회는 금세 주저앉는다.

전쟁 중 폭격으로 무너지는 것 이상으로 파괴력이 클지도 모른다. 어쩌면 대통령이 나서서 대한민국이 파괴됐다는 사실을 '계엄령'이라는 방식으로 국민들과 전 세계에 알린 건 아닌지 싶다. 막강한 권력을 갖고서도 계엄이라는 방식이 아니고서는 도저히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더라고 본인의 무능을 시원하게 까발린 것은 아닌지 말이다.

한국으로 돌아가 거리에서 머릿수라도 채워야 하나... 불안한 마음을 알아채기라고 한 듯 전화가 왔다. 나보다 불과 몇 살 많은 언니인데 주변 사람들에게 엄마처럼 마음을 쓰는 친구이다. 그는 다시 거리에 나가야 될 것 같아 롱패딩이며 핫팩을 챙기고 있다며 씁쓸하게 웃었다. 그 끝에 내게 당부했다.

"한국이 흉흉해졌다고 괜히 돌아올 생각하지 마세요."

자신은 다시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서겠지만 주변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편안하길 바라는 마음이 전해진다.

최근 한국어를 배우려는 프랑스 학생이 늘었다. 내가 가르치는 프랑스인은 네 명이다. 레아는 BTS 아미(팬클럽)이고, 조바나는 K드라마 팬이어서 발음이 나보다 정확하고, 물리학도 레온은 라틴어 대신 교양으로 한국어를 선택한 대학생이고, 꼬맹이 알렉상드르는 아빠가 한국 음식 좋아하는 치과의사인데 온 가족이 한국으로 여행을 갈 거라고 한다. 여고생 레아는 사진을 전공할 계획인데 나중에 사진작가나 언론인이 되어 한국에서 일하게 되면 좋겠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일하면서 BTS 제이-홉도 만나고 한국여행도 실컷 하면 얼마나 좋으냐고... 이 학생들이 '계엄령'에 대해 묻는다면 뭐라고 대답해 줘야 하나. '계엄령 아래 한국여행 꿀팁' 같은 것을 알려줘야 하나?

1. 정치 집회, 시위, 결사 등으로 오해받을 수 있으니 여행 중 한국인과 만남을 금한다.

2. 서툰 한국어 실수가 가짜뉴스, 허위선동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한국어를 금한다.

3. 가이드북 등 모든 출판물에 계엄사령부 검열 직인이 찍혀 있는지 확인한다.

4. 사회혼란을 조장하는 게으른 여행 행위를 금한다.

5. 의료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은 계엄법에 의한 처단 대상자이므로 여행 중 불상의 의료인을 만나면 피한다.

그나저나 프랑스어로 계엄령이 뭐더라.

시난고난 타향살이에 대한민국이 한 숟가락씩 보태주어 과외학생도 늘어나 감사한 마음으로 지내고 있었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소개할 우리나라 자랑거리가 자꾸자꾸 늘어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연관뉴스
슬퍼요
10
후속기사 원해요
3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2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