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 60초]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금리가 4.5%라고?

입력 2024.02.21. 19:23 이경원 기자

◆AI가 설명하는 세줄요약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연 4.5% 최고 금리와 이자소득 비과세, 소득공제 혜택까지 제공한다.

▲ 19~34세 청년 중 5천만원 이하 연소득 무주택자라면 가입 가능하며, 회당 최대 1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 또한, 분양대금의 최대 80%를 2%대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는 '청년주택드림대출'도 제공된다.

▶기사바로보기

기사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링크로 이동합니다.

▶ 전남대·조선대병원 미복귀 전공의 214명?

사직서를 내고 병원을 이탈해 복귀하지 않은 전남대·조선대병원 전공의가 214명(21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집계됐다.

전남대병원에서는 본원과 분원 전체 319명 전공의 중 268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업무개시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전공의가 107명으로 확인됐다.?조선대병원 전공의는 142명 전체 전공의 중 114명이 사표를 냈고, 107명이 근무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병원 측으로부터 전공의들의 미 근무 사실을 ‘불이행확인서’로 증명받은 보건복지부는 향후 해당 확인서를 근거로 미 복귀 전공의들을 수사기관에 고발할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 이탈로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은 진료·수술 차질 등이 이어지고 있다.

▶ 비·바람 땜에 여객선 운항 차질…금요일까지 비

21일 오후 5시 기준, 전남 서해남부먼바다·남해서부앞바다·남해서부동쪽먼바다에 풍랑주의보가, 여수·고흥·완도·흑산도·홍도·거문도·초도에 강풍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이처럼 바람이 강하게 불며 파도가 높게 일면서 여수·완도·목포·고흥 등 전남지역 바닷길 일부가 통제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에 강한 바람을 동반한 비는 23일 오전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비가 내리면서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겠다.

▶늦어지는 민주당 전남 경선 일정…예비후보 '발 동동'

더불어민주당 전남지역 경선 일정이 계속 미뤄지고 있다. 순천·광양·곡성·구례갑을 2개 선거구를 순천갑을과 광양·곡성·구례 선거구 3개로 나누고 영암·무안·신안 선거구를 각각 목포·신안, 나주·화순·무안, 해남·영암·완도·진도 등 3개 선거구로 통합하겠다는 계획이 총선 49일 남은 현재까지도 확정되지 않고 있다.

▶'공천 잔혹사' 비명 송갑석 의원 하위 20%…"재심 신청 않겠다"

더불어민주당의 '친명'과 '비명', '친명'과 '친문' 간 공천 파동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비명'인 광주 서구갑 송갑석 현역 국회의원이 의원평가 하위 20% 통보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민주당의 '심장부'인 광주에서도 '친명 챙기기'와 '비명 솎아내기'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 "노부모님 어디서 모셔야 하나…"

광주지역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간병인 부족 사태로 요양원이나 노인의료시설 등 현장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광주에는 노인의료복지시설 101곳과 요양병원 55곳이 운영 중이며 65세 이상은 전체 인구의 16.5%에 달한다. 문제는 이들을 돌봐야 하는 간병인의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의 수를 합해도 65세 인구수의 10%도 채 되지 않아 간병인 구하기가 어렵다.

▶봄이 오는 길목에서 만나는 예술영화

광주극장은 이달부터 다음달까지 새롭게 개봉하는 상영작 5편을 공개했다. 21일에는 '바튼 아카데미'와 '오키쿠와 세계'가 개봉했다. 오는 28일에 개봉하는 '여기는 아미코'는 아쿠타가와상 수상 작가이자 다자이 오사무와 미시마 유키오상을 수상한 이마무라 나쓰코의 데뷔 소설 '여기는 아미코'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오는 29일에는 '갓랜드'가 개봉한다. 다음달 6일 개봉하는 '가여운 것들'은 고드윈 벡스터 박사로 인해 새로운 삶을 선물 받은 벨라 벡스터의 삶을 다룬 영화다.

▶민주당 사당화, 분열, 무관심…텃밭 광주·전남 표심 '정치적 멘붕'

광주·전남 유권자들의 표심이 갈 데를 잃으면서 그야말로 '정치적 멘붕' 상태다. 전통적 지지층인 더불어민주당이 당대표 '사천'(私薦) 논란으로 민심이 추락하고 있는 데다가 거대 양당의 한 축인 국민의힘은 구애조차 하지 않는 '지역 패싱'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 돌에 새긴 아름다운 시어들

'마을 문화원형의 재발견' 시리즈로 양림동의 김현승 시비를 비롯한 광주 시비의 가치에 대해 다룬다. 우리 주변 곳곳에 있지만 우리의 관심에서 사라져가는 시비는 작지만 우리의 소중한 문화이자, 예향의 자부심을 이어가는 자원으로서 다각도의 관심이 필요하다.

이경원기자 ahk7550@mdilbo.com

영상=박현기자 pls2140@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