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인재 확보 위해"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법인화 추진

입력 2022.10.11. 15:00 이삼섭 기자
국가전략산업 불구 시 산하기관 소속
낮은 응시율에 인재 확보 어려움도 커
“과기부, 필요성 동의…법률 국회 계류”
광주 첨단3지구에 조성되고 있는 인공지능산업 융합집적단지.

국가전략사업이자 광주시 핵심 사업으로 첨단3지구에 조성되고 있는 인공지능산업융합집적단지 추진 조직인 '사업단'이 광주시 산하기관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에 있어 인재 채용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는 정부와의 공감 속에서 법인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수기 시의원

박수기 광주시의원(광산5)은 11일 제311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이하 AI사업단)이 진흥원 내 부설기구로 설립된 이유를 질의했다.

AI사업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사업비를 지원받아 국가 인공지능 혁심거점으로 지정된 '인공지능 집적단지'를 조성하고 핵심 인프라를 활용해 AI 제품과 서비스 개발, 실증 성과를 확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5년간 운영예산만 177억원에 달한다. 또 사업단 총괄컨트롤타워인 사업운영위원회에 광주시, 과기부, 사업 관련 전문가 등 17명 위원이 참여한다.

이 같은 국가 전략 사업을 수행하는 AI사업단이 광주시 산하기관인 진흥원에 있는 게 맞지 않다는 게 박 의원의 지적이다. 특히 박 의원은 AI사업단 3년 차를 맞은 올해 49명의 인력 중 10명(20%)이 교체된 점을 지적, "사업의 연속성 차원에서 문제가 없는지, 이러한 인력 교체가 통상적인지 답해 달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염방열 광주시 인공지능사업국장은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시점에 과기부로부터 사업비를 받아 추진할 수 있는 우리지역 소재기관은 진흥원이 유일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사업추진의 시급성과 효율성 등을 위해 진흥원 부설기관으로 설치한 대신 과기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직원 교체가 높은 이유에 대해서도 임 국장은 "진흥원 부설기구로 설립돼 채용 시 낮은 응시율로 인해 우수 인재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업무 난이도가 높아 수시 퇴사자가 발생하는 등 조직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시 산하기관 부설기구로 설치돼 부작용이 크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

임 국장은 "광주시는 과기부와 협의해 독립된 별도 법인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과기부에서도 법인화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고, 현재 관련 법률이 국회 계류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용빈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 광산갑)이 지난해 발의한 '인공지능에 관한 법률안'에는 국가인공지능센터를 설치하도록 했다. 법안이 통과될 경우 AI사업단은 국가인공지능진흥센터로 전환된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