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배지에서 찬란히 꽃 피운 예술 세계 고스란히

입력 2024.01.10. 17:02 김만선 기자
[1004섬 신안-1섬 1뮤지엄] ③-임자도<하>
2021년 조희룡미술관 재개관
우봉 연대기 비롯 생애와 문학
유물·작품 전시까지 한자리에
매화도에 담긴 생명력·실험정신
방문객 발길 붙드는 매력으로
튤립·홍매화 정원도 필수코스

신안 임자도 이흑암리 마을 입구 공터에 자리잡은 '조희룡기념비'

[1004섬 신안-1섬 1뮤지엄] ③-임자도<하>

‘조선문인화의 영수’, ‘묵장(墨場)의 영수(領袖)’로 불리는 우봉 조희룡. 그의 적거지 만구음관은 진도 운림산방에 비유될 정도로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적거지·창작 산실 ‘만구음관’ 재현

커다란 검은 돌 두 개가 있었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임자도 이흑암리에는 우봉의 적거지(謫居址)와 그가 머물렀던 만구음관이 재현돼 있다.

마을 입구에서 이정표를 따라 골목으로 들어서면 흐드러지게 꽃을 피운 홍매화 벽화들이 먼저 반긴다. 살아서 꿈틀대는 듯 역동적인 가지마다 곱게 피워올린 꽃들은 당장이라도 선홍빛 향기를 물씬 전해줄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우봉은 평생 매화를 사랑했다. 매화나무를 심고 매화 시를 읊으며, 매화 그림을 그렸다. 유배 시절에는 임자도의 붉은 노을이 자신에게 들어와 홍매그림이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사는 집의 이름을 '매화백영루'(梅花百詠樓)라 짓고, 자신의 호를 '매수'(梅?)라 부르기도 했다.

가지런한 돌담길을 따라 조금만 오르면 곧바로 '우봉 조희룡 적거지'비가 보이고 그 위로 만구음관이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간척 사업으로 인해 만구음관 앞에 마을이 들어섰지만, 당시에는 집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수많은 갈매기가 울어댔다고 한다.

만구음관 방 내부는 깔끔하게 꾸며졌고, 부엌에는 가마솥과 굴뚝도 재현됐다. 만구음관에서 바라보면 마을 전경과 넓은 들판, 어머리해변이 한눈에 들어온다. 만구음관은 지난 2009년 12월 신안군 향토 유적 4호로 지정됐다.

우봉조희룡미술관 2층 전시실에 가면 그의 작품과 생애를 한 눈에 살필 수 있다.

만구음관 아래에는 우봉의 대표 작품들이 전시돼 있다. 우봉은 돌과의 만남을 첫손에 꼽았고, 거기에서 시작된 그림은 매화, 난, 대나무, 국화로 이어졌다. 이곳에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를 비롯 방운림산수도(방(人+方)雲林山水圖), 매화도, 홍매도, 괴석도, 묵죽도, 묵란도, 국화도 등이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있다.

조희룡기념비 옆에 설치된 '만구음관 조희룡 적거지' 안내판

마을 입구의 넓찍한 공터 한 편에는 조희룡 기념비가 있다. 이 기념비는 높이 3m, 폭 2.2m의 화강암과 오석으로 제작됐다. '조선 문인화의 영수 조희룡 기념비'라는 글씨와 함께 우봉의 초상, 그의 대표작 홍매도를 함께 새겨놓았다. 머릿속으로만 그리던 우봉의 모습을 그림으로나마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기념비 옆에는 '만구음관 조희룡 적거지' 안내판이 자리잡았다. 우봉의 생애와 임자도에서 이룬 예술적 성과 등을 소개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대광해수욕장 인근에 자리한 우봉조희룡미술관

◆'우봉조희룡미술관' 생애·작품 한눈에

'우봉조희룡미술관'은 대광해수욕장 인근에 자리하고 있다. 3년간 유배생활을 하며 예술세계를 꽃피웠던 조희룡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기념관으로, 임자도 최초의 미술관이자 문화시설이다. 지난 2016년 '우봉조희룡기념관'으로 출발해 지난 2021년 3월 재개관했다.

미술관에 들어서면 우봉의 대표작품 중 하나인 '매화서옥도'가 반긴다. 온통 매화로 둘러싸인 서옥에 앉아있는 선비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미술관은 1층 상설전시실과 2층 기획전시실로 나뉘어져 있다. 2021년 개관에 맞춰 개관기념특별전을 가졌고, 2022년 4월에는 안윤모 작가의 튤립 회화작품전을 개최해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조희룡미술관은 2층에 자리 잡고 있다. 조희룡의 연대기를 비롯해 생애와 문학, 유물 및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영상관, 매화 그리기 체험관도 꾸며져 있다.

전시장 내 우봉이 임자도를 떠나며 감긴 글이 눈길을 끈다.

'나의 정 도리어 무정한 곳에 극진했거니/ 어찌 어조(魚鳥)에게만 그랬으랴/ 창 앞두어 그루 대나무 있어/ 꼿꼿하게 붙들고 지켜준 지 삼년이었네'

1853년 3월 18일 우봉이 해배된 후 임자도를 떠나며 남긴 글이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조희룡이 기록한 임자도의 신기한 이야기도 눈길을 끈다. 승천하는 용의 모습, 도깨비불, 바다 위의 신기루 해시(海市), 임자도 인어이야기 등이 그것이다.

천둥이 무섭게 내려치고 장대비가 그칠 줄 모르던 어느 새벽이었다. 우봉은 "오룡(五龍)이 승천한다"는 마을사람들의 소리에 깜짝 놀라 눈을 떴다. 그는 급히 뛰어나가 사람들이 가리키는 곳을 바라보았다. 하지만 용은 이미 사라지고 없었다. 아쉬운 마음을 접지 못하던 그에게 사람들은 자신들이 본 용을 설명했다. "마치 기둥과 같은 꼬리가 늘어져 말렸다 풀렸다 하면서 유유히 동그라미를 그리다가 구름 사이로 들어가 없어졌어요."

우봉은 마을 사람들의 설명을 그림에 담았다. 길고 좁은 세로 폭의 화면에 굵고 큰 나뭇가지가 힘찬 용틀임으로 두세 번의 굴곡을 이루며 화폭을 채우고 곳곳에 흐드러지게 꽃을 피운 매화가 조화를 이룬 '용매도'가 탄생한 순간이었다. 우봉의 용매도는 매화그림의 생명력과 실험 정신을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전시관에서는 우봉이 비단에 그린 홍백매도, 홍매도, 묵란도 등과 몇 가지의 유물 등도 만날 수 있다.

우봉조희룡미술관은 지난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개관기념 특별전을 했다. 미디어 작가 이이남의 미디어 작품전과 임자도의 어제와 오늘을 담은 사진전을 개최했다.

또 지난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튤립을 동화적인 시각으로 그리고 있는 안윤모 작가의 전시 '사랑한다면 임자 튤립' 전을 갖고 행복하고 유쾌한 튤립 회화 작품 33점을 선보였다.

신안군의 대표축제로 자리잡은 튤립축제

◆임자도 붉게 물들이는 튤립·홍매화 정원

임자도의 튤립공원은 대광해수욕장 공원지구에 조성돼 있다. 해마다 봄이 오면 6㎞의 드넓은 대지에 각양각색의 튤립이 아름답게 핀다. 매년 4월에는 튤립 축제가 개최돼 남도의 꽃향기를 찾아오는 상춘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튤립 축제는 6년간의 끈질긴 연구와 노력이 이뤄낸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신안군의 대표축제로 자리잡은 튤립축제

튤립축제의 시작은 지난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임자도는 대파 생산지로 유명했으나 심한 가격 등락폭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자 군은 대체 작물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모래언덕으로 이뤄진 임자도의 지리적, 자연적 환경이 튤립을 생산하기 적합하다는 의견이 제시됐고, 2003년부터 목포대와 함께 튤립 재배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튤립의 주요 생산국가인 네덜란드를 비롯한 해외 국가들을 방문하며 튤립의 재배 기술을 배우는 등 수많은 실패와 어려움을 딛고 6년간의 도전이 지속됐다. 결국 연구팀은 튤립의 구근을 생산할 수 있는 품종을 선발하게 됐고 지난 2008년 첫 축제를 개최한 이후 매년 4월께 행사를 이어오고 있다.

튤립축제는 2만㎡(6천평) 정원에 30종의 품종과 100만 송이의 꽃을 보고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해변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신안의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됐다.

지난 2008년 4월 18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된 제1회 행사에서 2만3천100명이 다녀간 튤립축제는 입소문을 타고 매해 방문객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2023년 4월 제13회 행사에는 무려 6만1천617명이 방문하는 성과를 거뒀다.

군은 튤립과 함께 지난 2021년부터 조희룡이 사랑한 홍매화 2천340주를 6천㎡(1천800평) 면적에 식재했다. 군은 구례 화엄사에 있던 450년 된 홍매화, 조선대학교 정원의 홍매화 등을 비롯해 전국 각지의 도움을 받아 나무를 심고 있다.

튤립공원에 함께 조성된 홍매화정원 '百億圓(백억원)'과 매화나무

홍매화정원 '백억원'(百億園)은 매년 3월 임자도를 아름답게 물들여 관광객들의 발길을 유혹할 예정이다.

군은 튤립·홍매화 정원과 함께 매화정원 '향설원'(香雪園)과 카네이션 동백정원 '송백원'(松栢園)을 조성 중이다. 향설원에는 1만1천㎡(3천327평)에 백매화 50년생 1천주를 식재했고, 송백원은 1만7천㎡(5천142평)에 애기동백 350주와 카네이션 동백 40~50년생 1천주를 심었다.

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