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협상조정협의회 열고 최종 결정
내달 공동위 심의 거쳐 관련 절차 완료
이르면 연 내 복합쇼핑몰 부지 매매계약

옛 전방·일신방직(전일방) 부지 개발을 위한 사전협상 타결이 임박했다.
광주시와 사업자 측의 공공기여 협상이 합의에 이른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종적으로 협상조정협의회의 수용과 도시계획건축공동위원회 의결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에 이번 개발의 핵심 중 하나인 복합쇼핑몰(더현대 광주) 건립을 위한 토지 매매 계약도 이르면 올해 안에 완료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28일 광주시와 사업자인 휴먼스홀딩스PFV에 따르면 전일방 부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에 따른 차액을 회수하기 위한 공공기여 실무협의가 마무리됐다. 이에 따라 29일 오후 4시 광주시청에서 공공기여 비율과 금액을 최종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11차 협상조정협의회가 열린다.
협상조정협의회는 사업자 측(3명)과 행정(3명), 민간 전문가(4명) 등 총 10명으로 구성돼 있다. 사업자 측과 행정 간에 합의가 된 만큼 이날 당사자 간 큰 이견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 측은 "민간과 행정이 공공기여량에 대해 의견 조율이 이뤄졌기 때문에 안건이 수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날 협상조정협의회에서 차질 없이 안건이 수용된다면 도시계획건축공동위원회(공동위)의 최종 자문만 남겨두게 된다. 공동위 회의는 내달 15일로 예정돼 있다. 공동위는 회의에서 공공기여뿐만 아니라 토지이용계획 등 사전협상 전반에 관해 심의하고 의결한다.
다만, 공동위가 부적합 판단을 내릴 것도 배제하진 못한다.
앞서 공동위는 광주신세계가 인근 주차장과 이마트 부지를 합쳐 백화점을 신축·이전하기 위한 지구단위계획 변경 심의에서 셋백(건축선 후퇴·완화차로) 부분을 도시계획시설 지정하면서 결국 광주신세계가 확장 계획을 전면 수정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공동위 의결이 되면 협상 완료보고를 한 뒤 본격 지구단위계획 수립 절차에 돌입한다. 광주시는 내년 6월 고시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협상조정협의회나 공동위의 회의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도 있다.

광주시와 사업자 측의 계획대로라면 12월 중순 사전협상이 마무리된다. 그렇게 될 경우 광주시민들의 기대를 받고 있는 '더현대 광주' 입점도 급물살을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업자인 휴먼스홀딩스PFV는 사전협상이 끝나는대로 현대백화점그룹과 토지 매매 계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현대 광주는 토지를 매입해 직접 건축물을 지어 입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기정 시장도 지난 14일 "수익성과 공익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해답을 찾으려고 달려가고 있다. 개발에 필요한 모든 (사전협상)행정절차를 올해 말까지 마무리하겠다"며 조속한 추진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내년 6월 지구단위계획이 결정돼 고시되면 오랫동안 도심 흉물로 방치된 30만평에 이르는 전일방 부지(29만 6천340㎡)가 옛 근대 문화유산과 최첨단의 건축물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된다. 옛 건축 유산을 활용한 역사공원과 50층 규모의 랜드마크 건축물, 특급호텔, 복합쇼핑몰, 업무용 빌딩, 4천여 세대의 주상복합·오피스텔 등이 2027년까지 들어설 예정이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금호타이어, 함평 빛그린산단 이전 '가닥' 화재로 잿더미가 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모습. 뉴시스 지난 5월 대형화재로 광주 공장 전체가 멈춰 선 금호타이어가 기존 계획대로 함평 빛그린국가산업단지로 이전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2천600여 명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광주 1공장을 확대하는 한편 함평 빛그린산단엔 핵심공정인 '정련 공정' 설비를 먼저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공장을 확대하는 방안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16일 금호타이어와 금호타이어 노조 등에 따르면 노사 양측은 화재 복구 로드맵을 두고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이달 중으로 복구 로드맵으로 발표할 예정인 금호타이어는 화재 복구 대책을 노조와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지역의 가장 큰 관심사인 공장 이전에 대해선 노사 양측 모두 함평 빛그린 산단으로 이전하는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지난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부지매입 계약을 체결한 금호타이어는 당초 2029년 10월까지 매각대금을 완납하고 이후 본격적인 이전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화재로 공장이 멈춰서는 변수가 발생하면서 이전 논의가 한층 속도를 낼 가능성이 높다.하지만 공장 규모를 두곤 노사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태다.노조 측에선 연간 1천400만본 규모의 공장을 한 번에 짓는 것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사측은 이번 화재로 소실된 정련공정 설비를 먼저 짓고 단계적으로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최소 1조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공장건립을 한꺼번에 추진할 만큼 재정상황이 넉넉하지 않다는 점에서 남아있는 1공장을 가동하면서 신공장도 함께 운영하고 최종적으로 1천400만본 양산체제를 갖추겠다는 것이다.근로자 고용안정대책으로 제시된 1공장 가동에 대해선 사실상 합의가 이뤄진 상태다.그동안 노조 측에서 주장해 온 1공장 가동과 관련, 일 4천본 생산규모인 1공장을 1만 본 규모로 늘려 고용불안을 해소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 나가고 있다. 노조 측에선 1공장을 1만 본 규모로 늘리면 500명 이상이 근무가 가능해져 신공장 건설까지 순환근무를 통해 고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사측에선 이같은 노조 측의 요구를 수용, 1공장 생산규모를 늘리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공장운영 방안으로는 현재 1공장엔 타이어 원료를 만드는 '정련공정'을 없기 때문에 공장을 가동하는 동안 타 공장 또는 다른 제조업체로부터 원료를 제공받아 공장을 가동하고 이후 함평에 '정련공정' 설비를 갖춘 공장이 설립되면 함평에서 원료를 공급해 광주 1공장을 운영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금호타이어 관계자는 "현재 다양한 방안을 두고 노사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아직 결정된 부분은 없지만 노사 양측이 모두 회사를 살리는 방안에 중점을 두고 협의를 이어가고 있어 최대한 빨리 화재 복구 로드맵을 마련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한편 1·2공장으로 구성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은 5월 17일 발생한 화재로 2공장이 사실상 전소됐으며 1공장은 화재 피해를 입지 않았지만 단독으로 생산이 불가능한 구조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베일벗은 EV5···기아 광주공장 생산준비 '착착'
- · "한·중 소비시장 확대,우세분야 협력 강화해야"
- · '내달초 수습로드맵'금호타이어, 지역 목소리 응답할까
- · GGM풀가동했지만···캐스퍼 대기물량만'1만5천여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