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공원 후분양 땐 평당 3천509만원···경제성 없다"

입력 2024.01.15. 22:58 이삼섭 기자
전남대 사업 타당성 검증 용역 결과
후분양 시 평당 3천509만원 추산
고금리·고물가에 사업성 악화 분석
광주 서구 중앙공원1지구 조감도. 뉴시스

광주 최대 민간공원특례사업지인 중앙공원1지구 사업이 후분양 방식으로는 '경제적 타당성이 없다'는 용역 결과가 나왔다. 후분양 추진이 바람직하다고 밝힌 광주시로서는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광주시와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에 따르면, '중앙공원 1지구 개발행위 특례사업 타당성 검증 용역' 결과 후분양으로 추진할 경우 분양가가 평당 3천509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앞서 광주시는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의 요청에 따라 후분양을 전제로 한 사업 타당성 검증 용역을 전남대학교에 의뢰했다.

용역에 참여한 위원들은 대체로 후분양으로 추진할 경우 경제적·재무적 타당성이 없고, 분양가가 너무 높아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금리 상황에서 이자 부담이 사업성을 악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광주시는 이 같은 용역 결과를 지난 12일 사업자 측에 전달했다.

사업자 측은 용역 결과에서도 사실상 후분양으로는 사업이 어렵다고 판단한 만큼, 광주시가 선분양 전환을 위해 협상에 나서달라는 입장이다.

빛고을중앙공원개발 관계자는 "평당 3천만원이 넘을 경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광주시가 전향적으로 선분양을 검토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선분양으로 전환하려면 협약을 다시 체결해야 하는 만큼,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후분양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이번 용역 결과를 두고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 또한 공동사업시행자로서 민간공원특례사업이 원활히 추진해야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강기정 시장은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후분양이 특혜 시비 없이 공사를 추진할 수 있으며 선분양으로 전환할 경우 지난 2021년 6월 맺은 협약에 따라 용적률, 세대수, 공공기여 등에 대해 다시 협의해야 함에 따라 사업이 늦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중앙공원 1지구는 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지역 중 가장 큰 규모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천27㎡ 부지에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천772가구(임대 408가구)의 비공원시설(아파트)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