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례품 다양성 강화·기부제 참여 기회 제공

전남도가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의 다양성 강화와 공급업체에 기부제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24년도 답례품 공급업체 모집에 나섰다.
지난 9일 공급업체 공모에 앞서 개최된 답례품 선정위원회에서는 답례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23년도 답례품 공급업체와의 협약 기간을 2024년까지 연장하고, 농수축산물, 가공식품, 체험·관광상품, 생활용품·공예품 등 기타 상품 4개 분야에 대해 공급업체를 공모하기로 결정했다.
답례품 공급업체 모집은 12월 1일 오후 6시까지며, 전남도청 고향사랑과에 직접 방문 또는 메일(jkw0228@korea.kr)을 통해 신청 가능하다.
기업의 역량, 지역 연계성, 사업계획 등 5개 분야 10개 항목에 대해 평가를 거쳐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며, 전남도 누리집(www.jeonnam.go.kr) 고시/공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는 12월까지 2024년도 공급업체 선정 절차를 마무리하고 2024년 1월부터 고향사랑e음을 통해 새로운 답례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강경문 전남도 고향사랑과장은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은 전남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분들에게 제공되는 상품으로 전남도의 우수한 농특산품 등을 전국에 알릴 수 있는 기회"라며 "답례품 공급업체 모집공고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지금까지 121개의 답례 품목과 198개의 공급업체를 선정·관리하고 있으며, 고향사랑e음에는 300여 개의 답례품을 제공하고 있다. 기부자들이 선호하는 답례품으로는 전남 10대 브랜드 쌀, 한우, 김치, 김, 굴비 등이 있다.
고향사랑기부금은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 주민의 복리증진에 필요한 사업에 사용되며, 고향사랑e음(ilovegohyang.go.kr) 시스템과 농협은행을 통해 기부 가능하다.
올 1월 본격 시행되고 있는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소지를 제외한 지자체에 연간 500만 원까지 기부할 수 있는 제도로 기부금액의 30% 이내 답례품과 10만 원까지 전액, 초과분은 16.5% 세액공제(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혜택을 받는다.
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
전남도 강위원 신임 경제부지사 업무 시작 전남도 정무부지사로 취임하는 강위원 제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호남특보단장 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상임고문.대표적인 전국구 원외 친명(친이재명계) 인사인 강위원 제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호남특보단장 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상임고문이 전남도 경제부지사로 취임하면서 지역 현안 해결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16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도는 박창환 전 경제부지사가 기획재정부로 복귀하면서 후임자로 강 고문을 임명했다. 강 부지사는 17일 별도 취임식 없이 도청 각 부서를 들러 직원들과 인사를 나눈 뒤 곧바로 업무를 시작한다.도는 최근 개방형 직위였던 경제부지사를 별정 정무직으로 전환하는 내용의 조례 시행규칙을 개정했다.경제부지사는 일자리 창출, 주력 산업 육성 등 경제 분야 도정은 물론 정치권과 소통하며 국비 예산 등 재정 확보, 지역 현안 추진을 지휘하는 자리다. 그동안 기획재정부 출신이 대부분 경제부지사를 역임했다.다만 전남도는 민선 8기 잔여 임기가 1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중앙 부처 공무원을 인선하기 쉽지 않다고 보고 별정직 1급 공무원 임용 방침을 세웠다. 개방형은 공모를 거쳐야 하지만, 별정직은 인사권자가 임명할 수 있다.강 부지사의 전남도 경제부지사 임명과 관련해 도청 안팎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먼저 강 부지사는 재명 정부와 전남도 간 가교 역할을 하면서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도민 30여년 염원인 국립의대 설립과 재생에너지 사업, 에너지 고속도로, 기본소득, 광주 군·민간 공항 이전 문제, 대형 SOC 사업 등을 추진하는 데 정무적 역할을 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전남지역 재선거 과정에서 지역 민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부분이 있어 정부에 호남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반면 전문성 부족 논란은 풀어야 할 과제다. 정무부지사는 전략산업국, 에너지산업국, 일자리 투자유치국을 소관한다. 의회·정부·국회·정당·경제단체 등과 대외 협력도 담당해야 해 자칫 행정 리더십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강 부지사는 "국민주권 정부 이재명 대통령 시대의 성공과 전남도의 동반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도민의 간절한 염원이 담긴 전남의 핵심 현안이 국정과제에 반영되도록 온힘을 쏟겠다"고 말했다.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 · "새로운 대한민국 위해 나부터 변화하겠다"···청바지 입은 김영록 지사 '눈길'
- · [팩트체크] 풍력발전은 안정적 전력 공급에 부적합할까?
- · "호남 소외·쇠락·소멸 위기···정부 지원, 시급하다"
- · 국립 전남 의대 신설 '기대감' 증폭···세밀한 계획 필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