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군 단위 중 최하위 E등급
광주 남구 A등급, 북구·광산구 D등급
전국에서 영암군이 교통사고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도로교통공단이 발표한 '2023년도 전국 기초자치단체별 교통안전지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영암군이 최하위 수준을 보였다.
교통안전지수는 교통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자체의 교통안전수준을 평가한 지수로, 화물차, 이륜차, 노인 등 18개 세부지표로 구성돼 취약영역 파악 및 교통안전정책에 활용이 가능하다.
인구나 도로 연장 등 지역규모에 따른 교통여건의 차이를 바탕으로 인구 30만 이상 시, 인구 30만 미만 시, 군, 구 등 4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A부터 E까지 5개 등급으로 평가한다.
지난해 전국 교통 안전지수는 78.98점으로 2022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그룹별 교통안전지수는 군 단위 80.89점, 인구 30만 미만 시 79.45점, 구 단위 78.85점, 인구 30만 이상 시 73.19점 순으로 나타나 도심 지역일수록 교통 안전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에서 가장 지수가 낮은 곳은 영암이다.
영암군은 73.08점로 E등급을 기록해 전국 군 단위 평균보다 7점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군 단위 80곳 중 최하위에 해당한다.
평가 영역별로는 사업용 자동차가 83.04점(C등급)으로 높았으나, 교통약자(72.83점), 운전자(66.45점), 도로환경(58.41점)이 E등급을 기록했다.
담양군 또한 77.14점으로 E등급을 기록해 80개 지자체 중 75위를 기록했다.
전남의 군 단위 중에서는 곡성·구례·영광·완도·장성·장흥·함평이 B등급을 기록해 가장 높았다.
전남의 인구 30만 미만 시중에는 광양이 82.06점(B등급)으로 가장 높았으며 목포와 나주는 각각 78.01점과 77.17점으로 D등급을 기록했다.
구 단위 중에는 광주 남구가 83.58점으로 광주·전남에서 유일하게 A등급을 받아 전국 69개 자치구 중 3위를 기록했다.
이 밖에 동구는 81.34점으로 B등급, 서구는 77.96점, 북구는 77.41점, 광산구는 75.83점으로 D등급을 기록했다.
특히 광산구는 69개 자치구 중 61위에 그쳤으며, 보행자가 81.72점(B등급)으로 높았음에도 교통약자(75.13), 운전자(74.45), 도로환경(73.88)에서 E등급을 기록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영우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교통안전지수 산출결과에 나타난 취약영역과 세부지표를 중심으로 해당 지자체는 교통안전대책을 강화해야한다"고 밝혔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낡은 지하철역의 변신은 무죄...시민들 호응 24일 오전 광주 지하철 1호선 운천역. 대합실에 실내정원이 조성돼 있다. 24일 오전 광주 지하철 1호선 운천역. 대합실에 실내정원이 조성돼 있다. 24일 오전 광주 지하철 1호선 문화전당역. 대합실에 실내정원이 조성돼 있다. 광주교통공사가 광주 지하철 1호선 농성역에 광주신세계와 협약을 맺고 추진 중인 대합실 중앙기둥 리모델링. 광주교통공사 제공 광주교통공사가 광주를 찾는 방문객들을 위해 트렌디한 문화·예술·관광 홍보 공간으로 개선을 추진하는 광주 지하철 1호선 광주송정역 조감도. 광주교통공사 제공 "오래된 지하철역이 화사하게 바뀌니 정말 보기 좋은 것 같습니다. 기분도 덩달아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개통 20년이 넘은 광주 지하철역의 변화가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24일 오전 광주 지하철 1호선 운천역. 승강장으로 내려가기 위해 계단을 내려가자마자 눈앞에 커다란 정원이 펼쳐졌다.대리석 기둥이 나무 또는 다양한 식물로 바뀌어 있었으며, 벽 주변에는 대형 화단도 있었다. 화단에는 해바라기 조형물과 하얀색 원형 조명도 설치돼 있었다. 마치 숲속 한가운데 들어와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시민들은 지하철역 안에 식물이 있는 게 신기한 듯 손으로 만져보거나 냄새를 맡았다. 휴대전화를 꺼내 사진을 촬영하는 이들도 종종 눈에 띄었다.몇 달 전까지 운천역 주변에서 살았다는 김혜진(26·여)씨는 "친구들과 약속이 있어서 오랜만에 운천역을 찾았는데 깜짝 놀랐다. 잘못 찾아온 줄 알았다"며 "오래돼서 어둡고 칙칙하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정말 좋게 바뀐 것 같다. 2호선 개통에 맞춰서 나머지 역들도 분위기가 화사하게 바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운천역 실내정원은 광주교통공사가 산림청의 '생활밀착형 숲 사업' 공모에 선정돼 광주 서구와 협약을 맺고 조성한 공간이다.해당 사업은 생활권 주변이나 다중이용시설에 정원을 조성해 생활 속 녹지공간을 확충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1월부터 12월 말까지 총 4억5천만원을 들여 설치했다.광주교통공사는 운천역 실내정원 조성을 통해 지하철 활성화와 시민편익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실내정원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광주교통공사는 지난 2023년에도 4월부터 8월말까지 산림청 공모 사업에 선정돼 지원받은 사업비 총 10억으로 광주 동구와 협약을 맺고 1호선 문화전당역 대합실과 승강장 곳곳에 실내정원을 만들었다.또 지난해 2월부터 광주신세계와 협약을 맺고 1호선 농성역을 탈바꿈시키고 있다.구체적으로 농성역 대합실 중앙기둥과 예술무대를 리모델링하고, 고객행복공간을 조성하며, 대형 미디어월을 설치한다. 공사는 2월 중 마무리될 예정이다.아울러 광주의 관문으로 불리는 1호선 광주송정역도 지난해 11월부터 광주를 찾는 방문객들을 위해 트렌디한 문화·예술·관광 홍보 공간으로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준공은 올해 상반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광주교통공사 관계자는 "1호선이 개통한 지 20년이 넘었다 보니 아무래도 군데군데 낡고 오래됐다는 느낌이 들어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며 "광주시민뿐만 아니라 광주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들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글·사진=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서울→광주' 3시간20분…설 연휴 전날 소통 원활
- · 광주 북구, 31사단 이전 위한 연구용역 추진
- · “따뜻한 밥 한끼 드리고 싶었다…가슴아픈 참사 더 없길”
- · '평범하고 안전한 일상'···새해소망 꼭 이뤄지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