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이 9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전공의와 의대생, 의대교수 등 의료계의 다양한 직역들이 참여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가 18일 출범했다.
의협 비대위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의대 증원 책임자 문책과 '시한폭탄 의료정책' 중지를 요구했다. 지난 11일 출범한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 빠른 시일 내 의정 대화의 물꼬가 트이긴 어려워 보인다.
박형욱 의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현재 여야의정 협의체가 진행되는 상황을 볼 때 과연 저런 형태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지 굉장히 회의적"이라면서 "아마도 다른 비대위원들께서도 비슷한 생각을 하지 않을까 추정해본다"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이 전공의들의 지지를 받아 선출된 데다 의협 비대위원 중 전공의와 의대생이 40%를 차지하면서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목소리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와 의대생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어 대정부 투쟁이 거세질 전망이다.
박 비대위원장은 현 사태를 해결하려면 정부의 입장이 변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정부는 의료 부문에 갖가지 시한폭탄을 장착해 놓았다"면서 "정말 대화를 원한다면 먼저 시한폭탄을 멈추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급격한 의대 증원은 10년 간 후유증을 낳을 것"이라면서 "윤석열 대통령께서 정부를 신뢰할 수 있는 조치를 해 주시고 시한폭탄을 멈추게 해 주신다면 현 사태가 풀리는 단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부의 특별한 변화가 없다면 비대위는 정부의 의료농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저항하고 투쟁하는 길로 나갈 수 밖에 없다"면서 "우리 사회 모두에게 불행한 일인 만큼 그렇게 되지 않기를 소망한다"고 했다.
앞서 의협 대의원회는 지난 16일 운영위원회를 열고 비대위를 15명 이내로 구성하기로 의결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도 전공의 측 위원으로 참여한다.
위원은 대의원회 운영위원회 추천 2명, 전국시도의사회장단협의회 추천 2명,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추천 3명,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추천 3명,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추천 3명, 위원장 추천 1명으로 구성됐다.
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배짱영업 선 넘네" 임시공휴일 지정되자 '그린피' 인상 러시 광주·전남지역 골프장들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1월27일 ‘그린피’를 대폭 인상해 빈축을 사고 있다. 골프장 측의 기습적인 그린피 변동 통보에 임시공휴일 지정 몇 주 전부터 예약을 마친 골퍼들은 “배짱 영업이 도를 넘었다”며 반발하고 있다. 13일 네이버 예약 서비스에 따르면 이날 현재 임시공휴일인 오는 27일에 예약 가능한 광주·전남지역 골프장(회원제·대중형·비회원제)의 1인 그린피는 18홀 기준 10만~20만원 선을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골프장이 팀 단위로 예약을 받고 있어 4인 1팀 기준 실제 그린피는 40만~80만원인 셈이다. 여기에 캐디피와 카트비 등이 추가로 들기 때문에 그린피가 비싼 골프장의 경우 팀당 100만원 이상이 필요하다. 정부가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키로 확정하자, 지역 골프장들은 그린피를 일제히 인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남 한 대중형(퍼블릭) 골프장인 A골프장은 27일 그린피를 평일 대비 60% 넘게 인상한 16만원대로 책정해 지역 골프장 중 인상폭이 가장 컸다. A골프장은 임시공휴일 다음날부터 시작되는 설 연휴 기간(28~30일) 그린피를 임시공휴일보다 더 비싼 20만원대로 책정해 그린피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A골프장 홈페이지에는 그린피 변동 관련 어떠한 공지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평일 기준 그린피가 10만원 미만이던 대중형 골프장인 B골프장도 27일 그린피를 60% 가까이 인상했다. B골프장은 홈페이지에 그린피가 10만원대로 인상됐다는 내용을 공지하지 않았다.대중형과 회원제를 병행 운영하는 C골프장은 27일 예약자들에게 문자로 그린피 인상을 알렸다. 해당 문자에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됨에 따라 예약자분들께 그린피 변동 안내 말씀 드립니다”라는 간단한 내용이 담겼다. 그린피 변동 안내에 자세한 설명이나 해명이 없자 일부 예약자는 C골프장 측에 강력히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C골프장 예약자는 “사전 예약자들에게는 그린피를 부득이하게 올려야 했던 최소한의 설명이라도 있어야 하는 거 아닌가”라며 “특별 그린피를 적용했다는데, 누구에게 특별한 그린피인지 되묻고 싶다. 골프장들이 공휴일만 되면 예약자들에게 그린피 올린다는 문자 한 통 보내고 폭리를 취하고 있다. 배짱 영업 행태에 화가 난다”고 토로했다.광주에 위치한 대중형 골프장인 D골프장도 27일 그린피를 평일 대비 10% 이상 인상했다.그린피 인상에 불만을 제기한 예약자에 한해 평일 그린피를 다시 적용해 준 골프장도 있었다. 박모씨는 “사전에 그린피 인상 소식을 알았으면 굳이 임시공휴일에 예약을 안 했을 것”이라며 “임시공휴일 지정 전 예약자에게도 추가금을 요구하는 건 부당하다고 생각해 골프장 측에 항의했더니 평일 그린피로 변경해 줬다”고 했다.골프장들은 공휴일이나 성수기에 예약이 몰린다 싶으면 그린피 인상을 관행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다가오는 임시공휴일의 경우 내수진작이라는 당초 취지와 다르게 임시공휴일 지정이 자칫 골프장 배만 불려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해외골프가 막히자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던 골프장들은 당시에도 그린피, 카트비 등 이용요금을 대폭 올려 골퍼들의 원성이 높았다. 한 골프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특수로 막대한 수익을 낸 골프장들이 임시공휴일에 주말·공휴일 그린피를 적용하는 것은 오직 돈벌이에만 열중하는 천민자본주의의 대표적인 표상”이라고 했다.전남 한 골프장 관계자는 “임시공휴일도 공휴일이기에 정해진 규칙대로 주말 요금을 적용하고 있다”며 “과거에도 동일하게 대응했다”고 했다. 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 광주 도심 인도 곳곳 쌓인 녹다 남은 눈에 보행자 '불편'
- · "설 임시공휴일, 27일 대신 31일이면 더 좋을텐데···"
- · 사고 명칭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 · "왼쪽은 잘했나" 나훈아에 "입 닫고 가길" 야권 인사들 맹비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