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던 피해자 이름에···탄식과 울음바다

입력 2024.12.30. 00:02 임창균 기자
노란텐트 곳곳에서 울음 번져
신원확인 호명되자 망연자실
현장 확인 대기하며 ‘발동동’
29일 오후 무한국제공항 2층 대합실에서 임시안치소로 가는 버스에 탑승하기 위해 유가족들이 대기 중이다.

"그렇게 이름이 불리길 기다렸는데 정작 확인하려니까 가슴이 무너집니다"

무안국제공항 대합실에서는 늦은 시간에도 수많은 유가족들이 뜬눈으로 버텼으나 피해자의 신원이 확인된 순간 이들의 얼굴은 허탈함과 눈물로 얼룩졌다.

29일 오후 10시께, 늦은 시각에도 무안국제공항 대합실은 여객기 사고 피해자들의 신원을 확인하려는 유가족들로 가득 차 있었다.

대합실 1층과 2층에 빼곡하 설치된 150여개의 재난구호쉘터에는 하루종일 피해자의 소식을 기다리다 지친 유가족들이 잠시 몸을 기대 쉬고 있었다.

대부분 연로한 60대 이상 유가족들로 바닥에 몸은 붙였으나 잠을 청하는 이는 없었다.

이따금 뚫려있는 쉘터 천장으로 한 유가족의 흐느낌이 들리기 시작하면 여기저기로 울음이 번져 절규에 가까운 울부짖음으로 바뀌곤 했다.

쉘터를 나온 유가족들은 담요 하나에 의지해 대합실에서 TV화면과 스피커만 바라보며 피해자의 이름이 불리기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다.

대합실 한쪽에서는 현장에 있는 유가족들로부터 DNA를 채취하는 과정도 진행 중이었다.

오후 8시 38분께 179명의 시신이 모두 수습됐으나 오후 10시 30분까지 신원이 확인된 피해자는 88명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경찰은 피해자들의 DNA와 대조 작업을 위해 순차적으로 유가족들의 DNA를 채취했다.

대합실에서 시시각각 새롭게 신원이 확인된 이들의 이름이 발표되려 하자, 모두들 스피커 가까이 접근해 귀를 기울였다.

피해자의 이름을 들은 유족들은 '아' 하는 외마디 탄식과 함께 질끈 눈을 감았다. 또 다른 이는 일순간 환호성을 내뱉은 후 이내 울음을 터뜨리는 모습을 보였다.

29일 오후 무안국제공항 대합실에 설치된 재난구호쉘터.

이러한 모습은 신분 확인 유가족 대기실도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무안공항 사고현장 활주로 인근에 설치된 임시안치소에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대기하고 있었다.

한 유가족은 "하루 종일 기다리던 이름인데 신분확인이 되고 이제 확인하러 가야한다고 생각하니 이게 꿈이 아니라 현실이구나 싶어서 억장이 무너지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일부 유가족은 일정치 않은 현장 통제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30대 유가족 배모씨는 "대기실 안팎의 차도 다르고, 안내 창구에서 이동하라고 해서 이동했더니, 저기 버스에서는 아니라고 하고, 이게 벌써 세 시간이 넘었다"며 "언제까지 이런 주먹구구식 운영을 하면서 유가족들을 탓할 거냐"고 화를 냈다.

이들은 순차적으로 버스에 탑승해 임시안치소에서 시신을 확인한 뒤, 사망확인서를 작성하고 장례절차를 밟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기 중인 다수의 버스는 전남도에서 숙소 이동을 위해 지원한 버스로 임시 안치소로 가는 버스가 아니다"며 "임시안치소로 한꺼번에 가시더라도 시신 확인과 여타 절차에 시간이 걸리니 조금만 기다려주시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 비행기참사 특별취재팀

# 연관뉴스
슬퍼요
4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