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사업 미비에 미분양 물량 여전
계엄 사태로 각종 후속대책도 올스톱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로 건설업계가 전국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에서도 건설업계의 경기 바로미터인 '등록 ·폐업신고' 지표가 최근 4년 새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촉발된 12·3 계엄 사태로 국정 전반이 마비 상태에 놓이면서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경기부양 대책의 후속대책도 올스톱되는 등 경기침체 늪에 빠진 건설업계에 진한 먹구름이 끼고 있다.
9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이날 현재 올해 광주·전남 건설업체 신규 등록은 광주 332건(종합 28·전문 304건), 전남 528건(종합 22·전문 506건)등이다.
광주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종합건설은 60건에서 28건으로 절반이상이 감소했지만 전문건설은 235건에서 304건으로 69건이 증가했다.
전남은 같은 기간 동안 종합은 69건에서 22건으로 2/3 가량이 줄었으며 전문 역시 570건에서 506건으로 크게 감소했다.
폐업도 지난해와 비교하면 거의 2배가량 증가했다.
올해 현재 광주 폐업신고 건수는 119건(종합 42·전문 77건)으로 지난해 87건(종합 22·전문 65건)에 비해 36.78% 증가했다.
전남은 올해 204건(종합 30·전문 174건)으로 지난해 210건(종합 26·전문 184건)으로 엇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전체적인 건설공사를 시행하는 종합건설로만 보면 광주와 전남 모두 등록은 크게 줄고, 폐업은 크게 늘어난 셈이다.
이는 최근 4년 통계에서도 가장 나쁜 수준이기도 하다.
연도별 폐업 신고건수로 보면 2021년 광주 70건·전남 129건, 2022년 광주 96건·전남 146건, 지난해 광주 87건·210건 등으로 전체적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등록 역시 2021년 광주 326건·전남 730건, 2022년 광주 450건·전남 1천139건, 지난해 광주 295건·전남 639건 등으로 감소세가 확연하다.
등록과 폐업신고의 경우 사업에 따라 업체들이 새롭게 법인을 등록하거나 사업 종료로 인해 폐업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실제 창업과 폐업업체 수와 동일하진 않지만 경기의 흐름을 그대로 보여주는 지표나 다름없다.
이 같은 건설업계의 침체는 민간공사의 거의 전부나 다름없는 '아파트 분양'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광주의 경우 지난 9월 이후 신규 분양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전남은 22개 시군 중 순천서만 2개 아파트가 분양에 나섰을 뿐 올해 전체 분양 건수가 단 8건에 그치고 있다.
주택 인허가 역시 광주의 경우 지난해(10월 기준)에 비해 66.7%가 감소했으며 전남도 같은 기간 동안 71.0% 줄었다.
미분양주택도 광주와 전남 모두 역대 가장 많은 수준인 1천270호, 3천683호로, 줄어들지 않지 않고 있다.
악성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역시 광주 415호, 전남 2천480호로 최악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형국이다.
이런 가운데 12·3 계엄사태로 건설 경기회복을 위해 정부가 내놓았던 각종 부양대책의 후속 입법안과 시행령 개정 등이 올스톱되면서 건설업계의 시름은 한층 더 깊어지고 있다.
재개발패스트트랙 도입을 위한 도시정비법 개정도 , 재건축·재개발 촉진법 제정, 도시정비법 시행령 개정 등 국회 의결과 대통령 재가가 필요한 법 제·개정, 시행령 공포 등은 기약을 알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꾸준히 후속대책 시행을 위해 정치권에 각종 법안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설명해오고 있었는데 현재로선 모든 게 미지수가 돼 버렸다"며 "환율 상승 등으로 원자재 가격도 크게 오를 것으로 보이는데 갑갑하기만 하다"라고 토로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올해 아파트 입주 물량, 예년 절반 수준 그쳐 사랑방부동산 제공 광주 지역의 올해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지난해보다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내년 민간공원과 정비사업 대단지 준공에 따른 입주량 증가에 앞서 올해 광주는 '공급 골짜기의 해'가 될 전망이다.광주·전남 대표 부동산 플랫폼 '사랑방 부동산'이 올해 광주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을 조사한 결과, 총 5천801세대가 집들이를 시작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9천여 세대보다 약 -36% 줄어든 수치다.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광주의 연평균 아파트 입주량(준공실적)은 1만74세대로, 올해 입주량은 그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또한 가장 입주량이 적었던 2023년(4천415세대)에 이어 두 번째로 적은 공급이 이루어지는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자치구별 입주예정물량은 ▲광산구 2천25세대 ▲남구 1천467세대 ▲서구 1천296세대 ▲북구 587세대 ▲동구 426세대 등이다.광산구는 3월 '라펜트 힐'(72세대) 입주 예정을 시작으로 '수변공원 진아리채'(598세대), 4월 '선운2지구 A-1 공공분양'(828세대)과 '선운2지구 A-3 공공분양'(396세대), 5월 '신창 유탑유블레스 리버시티'(131세대) 등이 예정돼 있다.남구는 1월 '한국아델리움57 봉선더힐'(29세대)을 시작으로, 3월 '봉선 남양휴튼3차'(304세대)와 '월산두산위브'(320세대) 그리고 방림동 오네뜨하이브(199세대), 7월 '더 퍼스트 데시앙'(565세대), 12월 '한국아델리움57 디오브'(23세대)와 '한국아델리움57 봉선노블리티'(27세대)가 준공될 예정이다.서구에서는 올해 가장 큰 단지인 상무 센트럴자이(903세대)가 4월 입주를 예고하고 있으며, 1월 '화정 골드클래스 2차'(138세대), 2월 '광주 상무 퍼스티넘 스위첸'(226세대), 12월 '상무2차 한국아델리움57 하이엔드'(29세대) 등이 순차적으로 새 주인을 맞게 된다.북구에서는 2월 '센트럴운암 모아엘가 트레뷰'(303세대), 4월 '산이고운 신용PARK'(265세대), 12월 '에테르 한국아델리움57'(19세대) 등이 입주 예정이며, 동구에서는 8월 '무등산 한국아델리움더힐 1단지'(251세대)와 '아르티엠 더퍼플'(175세대)가 입주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광주 아파트 입주물량은 2026년 다시 증가할 예정이다.민간공원 특례사업지 아파트들과 재개발·재건축 대단지들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준공 절차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예정된 내년 입주량은 1만441세대여서 정상 진행된다면 최근 10년 평균치인 1만 세대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다만 최근 부동산PF 이슈와 건설 차질 문제로 각 단지별 현장의 준공일자와 입주시기는 어느 해보다 변동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특히 신규 분양 시장은 더욱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재개발(신가·학동4구역 등)과 민간공원(수랑공원 등) 단지를 비롯해, 전남·일신방직 부지 아파트 등 1만 세대가 넘는 일반분양 물량이 대기 중이다. 다만 청약수요 감소와 미분양 증가때문에 현 시점에서 분양시기를 확정하는 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최현웅 사랑방부동산 과장은 "올해 입주량 감소는 2021~2022년 조정대상지역 규제로 신규분양과 착공 물량이 크게 줄었던 게 주요 원인"이라며 "신규 입주량 감소는 최근 오름세인 전세 가격의 상승을 부추길 순 있다. 다만 매매는 내년 입주량이 다시 1만 세대 규모로 증가가 예고된 상황이고, 시중에 팔리지 않은 매도 물량도 많아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반등없는 하락세' 광주 아파트가격, 올해엔 다를까
- · 광주 주택시장, 새해엔 '회복' 전망···"과잉공급 구조 해결 필요"
- · 광주시민 42% "내년 아파트시장 큰변화 없을 것"
- · 부동산 경기 침체 속 장기임대 아파트 효과 받나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