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령 33세…활기 넘치는 젊은 도시 도약
병원·교육 시설 등 부족…정주 환경 개선 ‘과제’

빛가람 혁신도시가 위치한 나주 빛가람동 인구가 4만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어 5만 자족도시 건설에 한 걸음 다가섰다.
8일 나주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나주 빛가람동의 인구는 1만6천512세대 3만9천242명으로 4만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 같은 빛가람동 인구 수치는 지난 2014년 2월 동 주민센터가 공식 업무를 시작한지 8년여만이며, 인구 3만명이 돌파된 시점인 2018년 8월 이후 3년 7개월 만의 일이다.
특히 나주를 제외한 타 지역 전입 인구는 총 명으로 관외전입자가 약 %에 달하면서 시 인구 증가에 실질적인 견인차가 되고 있다.
또한 평균 연령은 33세로 활기 넘치는 젊은 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실제 빛가람동 주민의 연령층을 살펴보면 0세부터 9세까지 6천235명, 10대 4천855명, 20대 4천650명, 30대8천32명, 40대 7천981명, 50대 4천129명, 60대 2천289명, 70대 786명, 80대 241명, 90세 이상 4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인구(3만9천242명) 중 50대 이하(3만5천882명)가 91.4%를 차지하는 수치로 고령인구가 증가하는 전남지역 특성에 반비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30-40대가 주를 이루고 0세부터 9세까지 인구가 세 번째에 들어 온 것으로 보아 젊은 가족 단위가 많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젊은 세대가 유입된 것은 공공기관들의 입주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전력 등 16개 공공기관은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이전을 마치고 업무가 한창이다.
이로 인해 나주시 전체 인구도 입주가 시작된 2013년(8만9천462명) 보다 현재 2만7천287명 증가한 11만6천749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빛가람혁신도시 조성 초장기에는 유령 도시라고 불릴 정도로 인구 유입이나 환경 등이 턱없이 부족했지만 공공기관 완전 입주가 끝난 후 4년이 지난 현재는 인구 유입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인구 유입은 나름의 성과를 보였지만 정주 환경은 아직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실제 정주 환경 중 가장 중요하다고 꼽히는 병·의원은 30여곳이 운영 중이지만 그 중 종합병원은 1곳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모두 의원급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빛가람동에 거주하고 있는 최모(36)씨는 "인구는 많이 늘었다고 하는데 아직 병원이나 교육 기관 등은 미흡한게 사실이다"며 "코로나 탓도 있겠지만 저녁만 되면 아직도 동네가 한산하기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생활 인프라가 더욱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남도 관계자는 "인구 유입 효과는 눈에 띄게 드러나고 있지만 정주 환경에 대한 개선 필요성은 느끼고 있다"며 "교통, 문화, 교육 등 정주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해 사업을 발굴해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광주·전남도 '싱크홀' 안전지대 아니다...시민 불안 확산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8년간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등록된 광주지역 싱크홀 발생 건수 및 원인. 최근 서울 강동구에서 발생한 '싱크홀'로 30대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지면서 광주·전남지역에서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특히 광주와 전남지역 곳곳에서도 매년 상·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싱크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 불안감은 곧바로 현실의 위험이 될 수 있어 노후 관로 정비 등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25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8년간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등록된 광주지역 싱크홀 발생 건수는 총 156건(동구 33건·서구 27건·남구 14건·북구 22건·광산구 60건)에 달했다.연도별로는 2018년 28건(4건·0건·1건·3건·20건), 2019년 20건(2건·2건·2건·0건·14건)으로 소폭 감소했다가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20년 55건(13건·15건·5건·10건·12건)으로 급증했다.이후 2021년 13건(5건·5건·0건·1건·2건), 2022년 6건(0건·1건·2건·0건·3건), 2023년 28건(7건·4건·3건·6건·8건), 2024년 6건(2건·0건·1건·2건·1건) 발생했다. 올해는 이날 현재까지 발생한 싱크홀은 없다.싱크홀 발생 주요 원인은 상·하수관 손상이 110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짐(되메우기) 불량 28건, 상·하수관 부실공사 및 기타매설물 손상 등 기타 18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전남은 같은 기간 총 43건(여수 7건, 완도 5건, 순천·보성 각 4건, 목포·해남·신안·화순·영광 각 3건, 광양·무안·장성·함평 각 2건)의 싱크홀이 발생했다.연도별로는 2018년 11건(순천·장성·완도 각 2건, 여수·목포·영광·해남·신안 각 1건), 2019년 5건(신안·해남 각 2건, 완도 1건), 2020년 7건(보성 4건, 화순 2건, 여수 1건), 2021년 7건(여수 4건, 함평 2건, 목포 1건), 2022년 5건(영광 2건, 여수·목포·무안 각 1건), 2023년 4건(순천·완도·무안·광양 각 1건), 2024년 4건(순천·완도·화순·광양 각 1건)으로 집계됐다. 전남도 올해는 광주와 마찬가지로 이날 현재까지 싱크홀이 발생하지 않았다.싱크홀 발생 원인은 상·하수관 손상 8건, 다짐(되메우기) 불량 8건, 상·하수관 부실공사 및 기타매설물 손상 등 기타 27건으로 나타났다.이처럼 싱크홀이 끊이지 않다 보니 시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30년 경력 택시기사 김모(66·광주 서구 화정동)씨는 "승객을 태우는 만큼 싱크홀이 발생했다는 뉴스를 접할 때마다 불안한 마음이 들곤 한다. 지하철 공사가 시작된 이후 더욱 자주 발생하는 것 같다"며 "도로 관리에 신경을 써줬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이에 대해 광주시와 전남도는 싱크홀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이다.광주시 관계자는 "싱크홀 주요 발생 원인이 상·하수관 손상인 만큼 오래된 상·하수관에 대한 교체를 추진하고 있다"며 "운전자들이 불안하지 않도록 도로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전남도 관계자도 "매년 노후 상·하수관을 정비하고 있다"며 "싱크홀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미국산 LMO 감자 수입 초읽기···농민 '반발', 소비자 '불안'
- · 문인 북구청장의 '尹 파면 현수막' 2차 과태료까지···강제철거 가능성은
- · 훈련한다지만··· "산불진화대 전문인력 양성해야"
- · 살인사건 검거율 100%···광주경찰 '화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