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양경찰서는 최근 여수광양항만공사와 '치매노인 등 실종자 조기발견 및 구조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드론 수색 지원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장진영 광양경찰서장과 박성현 여수광양항만공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치매노인 등 실종자 발생 시 정보공유 및 드론을 이용한 신속한 수색·구조 지원 등을 내용으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드론 수색 시연으로 직원 및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광양은 여수, 순천, 하동 등 여러 시군과 인접해 있고, 도시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지형으로 이뤄져 있으며, 바다 및 섬진강과도 맞닿아 있는 등 복합적인 지형으로 실종사건 발생 환경이 다양하고, 수색범위가 넓어 실종자 수색 시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드론을 활용한 수색으로 효율적인 현장 지휘와 수색범위를 크게 넓히고, 인력으로 수색이 어려운 지형까지 수색함으로써 실종자 조기 발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진영 광양경찰서장은 "광양시는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인력과 장비 등을 투입하는데 한계가 있었지만, 이번 협약으로 산악지역, 해안지역 등에도 드론을 이용한 수색활동을 진행할 수 있어 실종자수색 활동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 실정에 맞는 치안시책을 펼쳐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광양서 직원 모두가 함께 치안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광양=이승찬기자 lsc6100@mdilbo.com
-
광주·전남도 '싱크홀' 안전지대 아니다...시민 불안 확산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8년간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등록된 광주지역 싱크홀 발생 건수 및 원인. 최근 서울 강동구에서 발생한 '싱크홀'로 30대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지면서 광주·전남지역에서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특히 광주와 전남지역 곳곳에서도 매년 상·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싱크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 불안감은 곧바로 현실의 위험이 될 수 있어 노후 관로 정비 등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25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8년간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등록된 광주지역 싱크홀 발생 건수는 총 156건(동구 33건·서구 27건·남구 14건·북구 22건·광산구 60건)에 달했다.연도별로는 2018년 28건(4건·0건·1건·3건·20건), 2019년 20건(2건·2건·2건·0건·14건)으로 소폭 감소했다가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20년 55건(13건·15건·5건·10건·12건)으로 급증했다.이후 2021년 13건(5건·5건·0건·1건·2건), 2022년 6건(0건·1건·2건·0건·3건), 2023년 28건(7건·4건·3건·6건·8건), 2024년 6건(2건·0건·1건·2건·1건) 발생했다. 올해는 이날 현재까지 발생한 싱크홀은 없다.싱크홀 발생 주요 원인은 상·하수관 손상이 110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짐(되메우기) 불량 28건, 상·하수관 부실공사 및 기타매설물 손상 등 기타 18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전남은 같은 기간 총 43건(여수 7건, 완도 5건, 순천·보성 각 4건, 목포·해남·신안·화순·영광 각 3건, 광양·무안·장성·함평 각 2건)의 싱크홀이 발생했다.연도별로는 2018년 11건(순천·장성·완도 각 2건, 여수·목포·영광·해남·신안 각 1건), 2019년 5건(신안·해남 각 2건, 완도 1건), 2020년 7건(보성 4건, 화순 2건, 여수 1건), 2021년 7건(여수 4건, 함평 2건, 목포 1건), 2022년 5건(영광 2건, 여수·목포·무안 각 1건), 2023년 4건(순천·완도·무안·광양 각 1건), 2024년 4건(순천·완도·화순·광양 각 1건)으로 집계됐다. 전남도 올해는 광주와 마찬가지로 이날 현재까지 싱크홀이 발생하지 않았다.싱크홀 발생 원인은 상·하수관 손상 8건, 다짐(되메우기) 불량 8건, 상·하수관 부실공사 및 기타매설물 손상 등 기타 27건으로 나타났다.이처럼 싱크홀이 끊이지 않다 보니 시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30년 경력 택시기사 김모(66·광주 서구 화정동)씨는 "승객을 태우는 만큼 싱크홀이 발생했다는 뉴스를 접할 때마다 불안한 마음이 들곤 한다. 지하철 공사가 시작된 이후 더욱 자주 발생하는 것 같다"며 "도로 관리에 신경을 써줬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이에 대해 광주시와 전남도는 싱크홀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이다.광주시 관계자는 "싱크홀 주요 발생 원인이 상·하수관 손상인 만큼 오래된 상·하수관에 대한 교체를 추진하고 있다"며 "운전자들이 불안하지 않도록 도로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전남도 관계자도 "매년 노후 상·하수관을 정비하고 있다"며 "싱크홀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미국산 LMO 감자 수입 초읽기···농민 '반발', 소비자 '불안'
- · 문인 북구청장의 '尹 파면 현수막' 2차 과태료까지···강제철거 가능성은
- · 훈련한다지만··· "산불진화대 전문인력 양성해야"
- · 살인사건 검거율 100%···광주경찰 '화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