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록 전남지사가 17개 광역자치단체장 직무수행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 상반기에 이어 해당 조사에서 2회 연속 1위에 올랐다.
23일 한국갤럽의 지난해 하반기(7~12월)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김 지사는 직무 수행에서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2%로 김두겸 울산시장과 함께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김동연 경기지사(59%), 김관영 전북지사(55%), 이철우 경북지사(54%), 강기정 광주시장(53%)이 나란히 3∼6위에 이름을 올렸다.
성별로는 남성의 64%, 여성의 61%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은 74%, 60대는 67%, 50대는 60%, 40대는 52%, 30대는 48%, 18~29세는 64%가 긍정 평가를 내렸다.
'잘못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16%로 김두겸 울산시장의 26%보다 상대적으로 나은 결과를 얻었다.
또 성향별로 보수, 중도, 진보 등 모든 층에서 고르게 긍정 답변을 얻었다.
보수 성향에서는 60%, 중도 성향에서 69%, 진보 성향에서 65%가 '잘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 상반기 조사에서도 직무수행 긍정 답변이 65%로 단독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전남도의 경우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655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7~12월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해 조사한 것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8%포인트다. 17개 시도 평균 응답률은 11.9%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RE100 산단' 본격 추진···'비싼 전기'는 어떻게 신안 해상풍력 발전기정부가 재생에너지 100% 기반의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본격화하면서 전기료 부담과 안정적 공급 방안이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RE100 산단은 대규모 산업단지에 필요한 전력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량 조달하는 개념이지만 아직까지 발전단가가 비싸고 계통 연계가 까다롭다. 이에 따라 파격을 넘어 전례 없는 전폭적인 지원 혜택 등 정부 차원의 해법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13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0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를 계기로 RE100 산단 조성 계획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섰다.문제는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원자력 등 기존 발전시설 대비 비싸다는 점이다.지난해 한전의 평균 전력 구입 단가는 1kWh(킬로와트시)당 134.8원이다. 반면 태양광 단가는 1kWh당 200원대,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가 가장 높은 해상풍력의 경우 단가가 1kWh당 300~400원대에 달한다.기존 원자력·석탄화력 발전에 비해 최대 3배 가까이 비싸다.RE100 산단으로 입주를 원하는 기업에 '파격적 할인'이 제공되려면 직·간접적 재원 투입이 불가피하다.기업 입장에서는 RE100 이행에 따른 이미지 제고와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효과가 있더라도 높은 전기료를 감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해 과감한 요금 할인 방안을 검토하라"며 "기업이 안심하고 RE100 산단에 입주할 수 있도록 파격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전기료 문제 해결을 위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운영, 계통 연계 비용 보조, 송배전망 개선 등 종합적 대책이 필요하다.또한 재생에너지 특성상 출력 변동성이 커 24시간 안정적 전력 공급이 어렵다는 점도 숙제로 꼽힌다.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ESS를 통해 야간·무풍 시간대에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산업계 한 관계자는 "RE100 산단이 취지는 좋지만, 전기료가 너무 비싸면 경쟁력이 없다"며 "정부가 장기계약, 세제 혜택, 전력요금 보조 등 구체적 로드맵을 조기에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RE100 산단이 탄소중립 시대를 상징하는 미래산업의 전진기지가 되기 위해서는 결국 '비싼 전기'에 대한 합리적 해법과 정부 차원의 재원 마련, 지역 인프라 확충이 함께 뒷받침돼야 한다.이에 따라 기업 유치의 유인책으로 단순 요금 할인 외에 정주 여건 개선이 필수 과제로 꼽힌다.전기요금만 싼 것보다 수도권에 버금가는 교육·의료·문화 기반을 갖춰야 기업과 근로자가 지방에 터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전남지역에 KTX 확충, 국립의과대 신설을 통한 대학병원 설립 등 '파격적 인프라 투자'가 함께 이어져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백경동 전남도 에너지정책과장은 "전남은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전국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1위 지역"이라며 "전력망과 공급단가 문제를 근본적으로 풀어야 RE100 산단의 경쟁력이 생긴다"고 말했다.백 과장은 이어 "재생에너지를 기가와트급으로 대규모 생산하면 규모의 경제가 실현될 수 있다"며 "생산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와 망 이용료 감면 등이 핵심 대안"이라고 설명했다.이른바 '지산지소(地産地消·지역생산 지역소비)' 방식이 대표적 대안으로 거론된다.재생에너지 생산지 인근에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기업이 직접 전력을 거래(PPA)를 통해 송배전 비용을 절감하면 자연스러운 '할인 효과'가 생긴다는 설명이다. 백 과장은 "요금을 단순히 깎아주는 방식은 형평성 논란이 클 수도 있다. 재생에너지를 현지에서 직접 공급받으면 운송비가 빠져 요금이 내려가기 때문에 이러한 장점으로 기업을 유치해야 된다"며 "ESS를 통한 야간·무풍시 전력공급과, 정부 재정 투입을 통한 지역 전력망 구축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 정부, 'RE100 산단' 서남권에 신속 추진해야 한다
- · '목포서 보성까지' 73분 단축···남해선 철도 개통 눈앞
- · 마른 장마에도 댐 수위는 정상···"용수 걱정 없어"
- · 햇빛·바람·원전, 영광을 에너지 기본소득도시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