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논란으로 5년여 동안 멈춰 섰던 전남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 4호기가 지역사회 동의는 커녕 최소한의 사전 고지도 없이 11일 일방 재가동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다.
특히 문제가 될 경우 가장 직접적이고 큰 피해를 입게될 지역주민과 지역의회 등 지역사회와 사전 논의나 동의 하나 없이 일방 추진한 것으로 드러나 더욱 문제로 지적된다.
호남지역 시민단체와 지방 의회는 즉각 '구조건전성 평가 미흡' 등의 이유로 한빛 4호기 재가동을 반대하고 나서 반발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9일 한빛4호기의 임계를 허용했다고 밝힌데 이어 한국수력원자력이 11일 새벽 3시40분 발전을 재개했다고 이날 밝혔다. 한빛 4호기는 지난 2017년 격납건물 콘크리트 벽체에서 부실시공이 확인돼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격납건물 콘크리트 벽체는 원자로에서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최후의 방벽으로 심각한 위기로 지적됐다.
5년여 동안 중단됐던 원전을 한수원이 문제가 됐던 공극을 모르타르로 메우고 노출된 철근을 시멘트로 덮는 등의 방식으로 보수를 진행하고 재가동을 추진한 것이다.
한빛핵발전소대응호남권공동행동과 전라북도의회, 고창군의회, 부안군의회, 정읍시의회 등 시민사회단체와 지방의회가 즉각 한목소리로 '지역주민은 물론 지방정부와 사전 조율도 없는 일방적 재가동은 지역민들에 대한 인권유린이자 심각한 국가폭력'이라며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재가동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한빛핵발전소대응호남권공동행동은 한빛원전 4호기 재가동에 대해 "상부 돔을 비롯한 격납건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구조 건전성 평가와 검증을 다시 시행하고, 이 과정에 발전소 인근 지역주민과 지방정부, 시민사회, 국민의 참여를 보장해야한다"고 촉구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의 한빛원자력발전소 4호기의 일방 재가동을 강력 비판한다.
4호기가 지역과 우리사회에 던진 심각한 원전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일방적인 재가동이 폭력적이라는 지역사회의 비판은 합당하다. 특히 폐쇄적 논의에 기반한 재가동은 위험할 뿐 아니라 국민에 대한 예의도 아니다.
한빛4호기 재가동은 지역사회에 대한 충분한 소통, 설명과 동의가 우선돼야한다. 불안은 위기를 만들고 사회를 불행하게 만든다.
무엇보다 소통없는 일방통행은 전제에 다름 아니고 민주주의의 적이다.정부의 반성과 후속조치를 촉구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