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인구가 140만 선이 붕괴됐다. 지역 문제를 넘어 대한민국 비수도권 소멸의 적색경보다.
광주시 '2025년 인구정책 시행계획'에 따르면 광주 인구는 2015년 150만 288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지난 5월 기준 139만9천880명으로 140만이 붕괴되며 21년 전 수준으로 추락했다.
무너진 인구 방어선의 핵심은 청년층 유출이다. 지난 한해 동안 전체 순유출 인구의 73.6%에 달하는 5천860명의 청년이 광주를 떠났다. 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향하는 동안 생산가능인구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100만 명 아래로 떨어지고, 고령인구 비율은 증가패턴을 유지하며 17.5%를 넘어서는 등 도시가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과거에는 인근 전남의 농어촌 인구를 흡수하며 지역 거점 역할을 하던 광주가 이젠 자신도 지키지 못하고 메말라가고 있다.
'순유출'의 가장 큰 이유는 '직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광주시 주요 인구 이동 분석결과 지난해 광주지역 순유출 이유로는 직업, 자연환경, 교육 순으로 조사됐다.
결국 광주에 청년들이 선호할만한 일자리를 만들고 교육 여건을 개선해야한다는 지적이다.
거꾸로 일자리와 교육여건 등을 수도권이 압도적으로 선점하고, 정치, 경제, 문화·사회 등 사회 모든 동력을 확보한 수도권이 블랙홀처럼 인구를 흡수하는 악순환의 굴레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는 반증이다.
수도권이라는 거대한 블랙홀의 흡인력은 지방의 자구 노력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현격히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공정한 경쟁'은 불가능하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선서 날 국민께 제시한 국가발전 비전이 주목되는 이유다.
'힘차게 성장 발전하는 나라'를 위해 AI 등 첨단기술 산업에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모두 함께 잘 사는 나라'를 이루기 위해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고 국토균형발전을 이루겠다는 약속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더없이 절실하다.
현재의 심각한 수도권 쏠림은 국가경쟁력 약화는 물론 교육과 건강권 등 국민 기본권을 심대하게 침해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당일 국민께 제시한 국가발전 비전을 반드시 구현하길 당부한다.
대통령의 약속처럼 '성장의 기회와 과실을 고루 나누는 것'이 야말로 국토균형발전의 핵심이다. 무너지는 비수도권을 살리는 것은 시혜가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는 길이다. 이전 정권처럼 장식용으로 전락시키지 않기를 당부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