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기억·우승의 감동 자연스럽게 연결
전국서 팬들 모여…5·18 공간 오롯이 느껴
전일빌딩245·기록관 등 방문객 큰 폭 증가
지난달 30일 광주 금남로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의 12번째 우승을 축하하는 '카 퍼레이드'는 단순히 승리를 축하하는 자리를 넘어섰다. 금남로라는 역사적 공간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대중에게 전달하며 광주의 정체성을 알리는 특별한 기회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텍스트와 영상으로 교육하는 것 이상으로 자연스럽게 5·18이 서려 있는 공간을 방문함으로써 스스로 체화하는 경험을 줬다는 평가다.
KIA 카 퍼레이드는 금남로 5가에서 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에 마련된 행사 무대까지 이어졌다. 금남로는 5·18민주화운동의 중심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작 '소년이 온다'의 주요 배경이다. 5·18민주화운동의 마지막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은 물론, 5·18민주화운동기록관과 전일빌딩245 등 역사적 공간이 자리 잡고 있다.
이들 장소는 카 퍼레이드의 생생한 화면과 방송, 유튜브 등을 통해 전국에 노출되면서 도시의 역사적 기억과 현재의 열정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장이 됐다. 주목할 점은 퍼레이드를 구경하러 온 많은 광주시민들은 물론, 다른 지역 팬들은 KIA 타이거즈 우승의 감동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금남로 주변을 거닐며 5·18의 흔적과 역사를 체험할 기회를 얻었다.
실제 당일 전일빌딩245와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방문자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중 적잖은 시민들이 카 퍼레이드를 보러 온 다른 지역 사람들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전일빌딩245 방문자 안내 직원은 "그 시간대(카 퍼레이드)에 방문객 수가 많았다"며 "KIA 유니폼을 입고 있던 사람들이 꽤 많았고, 카 퍼레이들 보러 오신 김에 관람을 많이 하고 가셨다"고 말했다.
이는 숫자로도 나타났다. 전일빌딩245 방문자 집계 결과, 카 퍼레이드가 있던 30일 1천892명이 방문했다. 직전 주인 23일 1천178명보다 60.61% 증가했다. 11월 한달간 추이를 살펴보면, 2일 1천521명, 9일 1천명, 16일 1천341명, 23일 1천178명, 30일 1천892명이다. 통상 날씨가 추워지면 방문자 수가 줄어든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 방문자센터 관계자는 "날씨도 춥고 하니 한동안 방문객이 없었는데, 퍼레이드 덕분에 오늘은 방문객이 많이 늘었다"면서 "미리 자리 잡으러 일찍 왔던 분들도 둘러보거나 쉬기도 하고, 그러면서 5·18과 관련된 전시 체험도 하고 자료도 보는 분들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에서 부산에서 KIA 타이거즈 유니폼 입고 온 젊은 커플이 유독 많았다"며 "카 퍼레이드를 보러 왔다가 들린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스포츠 팬들이 민주화의 역사적 가치를 경험하고, 금남로를 통해 광주가 지닌 사회적 유산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장을 열어준 셈이다.
무엇보다 퍼레이드의 종착지였던 민주광장은 5·18을 상징하는 대표적 공간이다. 이곳에서 선수들이 시민들과 함께 우승의 기쁨을 나누며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상징적 장면을 연출한 점은 광주만이 보여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용수 광주시 민주인권평화국장(전 한신대학교 석좌교수)은 "이번 KIA 타이거즈 우승 때 한명재 캐스터가 우승콜(광주, 우리 시대의 가장 큰 아픔을 야구로 극복한 도시에서, 타이거즈는 운명이자 자랑이었습니다)을 통해 말했듯, 실제 광주시민들은 KIA 타이거즈와 함께 5·18 때의 분과 한을 풀면서 살아왔다"며 "5·18의 아픔과 함께 한 스포츠인만큼 금남로에서의 카 퍼레이드는 뜻깊었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지역 팬들에게 KIA 타이거즈는 광주 정신이나 5·18 정신으로 들어가는 관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며 "5·18민주화운동의 중심 무대인 금남로와 도청 앞에서 카 퍼레이드한다는 건 시민들과 팬들에게는 큰 기쁨"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무등일보는 기획 연재 '5·18&스포츠 관광-광주에 스토리 입히자'를 통해 광주의 스포츠 관광이 5·18로 대표되는 지역의 이야기, 정체성과 맞물릴 때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측면에서 KIA 타이거즈가 올해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할 경우 금남로에서 퍼레이드를 하자고 제안(무등일보 10월18일자 보도)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영상=박현기자 pls2140@mdilbo.com
- 광주시장·전남지사 "이제는 尹 파면·구속만 남아" 15일 광주시 광천동 유스퀘어 광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시민들이 공조수사본부가 내란죄 피의자인 윤석열 대통령을 체포 한 뒤 공수처로 이동하는 모습을 TV로 지켜보고 있다, 임정옥기자 joi5605@mdilbo.com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공조수사본부에 체포된 것과 관련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가 이제는 탄핵만 남았다고 밝혔다.강 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법 앞에 '더 평등'했던 대통령이 드디어 체포됐다"며 "응원봉 시민이 민주주의의 마지노선을 지켜낸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이어 강 시장은 "이제 다시 시작이다. 탄핵과 내란 가담자 처벌, 그리고 더 단단한 민주주의를 향해 뚜벅뚜벅 나아가자"고 말했다.김영록 전남지사도 페이스북을 통해 "윤 대통령 드디어 체포, '사필귀정이 딱 맞는 말이다"고 밝혔다.김 지사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법 앞에 평등을 실현해 법치가 살아 있음을 보여줬다"며 "(윤 대통령 체포가)국가의 체통을 지켰다"고 강조했다.김 지사는 그러면서 "체포에 앞서 사전 자진출두를 했어야지, 마지막 명예도 지키지 못한 비겁하고 부끄러운 일"이라며 "이제 국민 배반 행위의 최종 결과는 헌재 파면과 구속뿐이다"고 말했다.한편, 공조수사본부는 12·3 비상계엄 사태로 내란 혐의를 받아온 윤 대통령을 이날 오전 10시33분 전격 체포했다. 계엄 발령 43일 만으로 현직 대통령이 체포된 것은 헌정 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광주시 "자동차세 1월에 내고 세금 부담 덜어요"
- · '특혜'냐 '약속이냐'···민주노총 사무실 지원 '불씨'
- · '여객기 참사 추모공원' 놓고 전남도-민주 전남도당 엇박자
- · 김영록 지사, 12·3 계엄 사태 후 11번째 정계 쓴소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