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6일 총파업에 동참한 가운데 일부 학교에서는 대체급식 등이 이뤄졌지만 큰 혼란은 없이 마무리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총파업에 광주지역은 전체 학교비정규직 조합원 17.1%가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6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관내 유·초·중·고교 및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학비연대 조합원 5천157명 중 882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학비연대 파업으로 학교 급식이 중단된 학교는 257학교 중 130곳이다.
급식 대신 빵이나 우유로 대체품을 지급한 학교는 124곳, 간편식을 지급한 학교는 6곳이다.
돌봄교실의 경우 거의 차질을 빚지 않았다.
초등 돌봄교실 299곳 중 파업 참가로 미운영 된 곳은 4곳이다.
전남지역은 전체 학교비정규직 조합원 18.4%가 총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전남지역은 관내 유·초·중·고교 및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학비연대 조합원 8천187명 중 1천506명이 파업에 나섰다.
학비연대 파업으로 학교 급식이 중단된 학교는 872곳 중 245곳이다.
급식 대신 빵이나 떡 등으로 대체품을 지급한 학교는 235곳, 간편식을 지급한 학교는 9곳, 도시락을 지참한 학교는 1곳이다. 49곳은 학사 일정 조정으로 급식을 실시하지 않았다.
초등 돌봄교실 627곳 중에는 파업 참가로 미운영되지 않은 곳은 54곳이다.
전국에서는 1만2천727개 학교 가운데 30.7%에 해당하는 3천910곳이 급식을 미운영했다. 빵과 우유 등으로 급식을 대신한 학교는 3천568곳, 도시락 44곳, 기타 126곳 등이었다. 급식으로 인해 학사일정을 조정한 곳은 172곳이다.
학비연대는 교육부·17개 시도교육청과의 임금교섭에서 기본급 11만원 인상, 직무보조비 월 5만원 신설, 근속수당 급간 9천원 인상, 정근수당 신설, 명절휴가비 기본급의 120% 인상, 정기상여금 50만원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협상이 결렬되자 총파업에 돌입했다.
전남도교육청 관계자는 "다음주 월요일부터는 파업이 없어 급식 등이 정상 운영될 예정이다. 현재 진행 중인 2024년 집단임금교섭이 원만하게 타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전남대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사무실 개소 전남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는 15일 전남대 경영전문대학원에서 사무실 개소식과 함께 현판식을 기념하는 자리를 가졌다.지난 1994년 시작된 전남대 경영전문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지금까지 약 1천400여 명의 훌륭한 동문들을 배출했다.이만선 전남대 최고경영자과정 11대 총동창회장은 이날 "2003년 총동창회가 결성된 이후, 최상준 초대 회장을 비롯한 많은 선배 동문들이 동창회를 잘 이끌어 주셨다"며 "그분들의 노고 덕분에 오늘 이렇게 우리 총동창회가 더욱 발전하고 단합된 모습으로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중요한 자리에 설 수 있었다"고 말했다.이 회장은 "이번 사무실 개소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은 정성택 전남대 총장과 적극적으로 사무실 마련에 앞장선 한병섭 전남대 경영전문대학원 원장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여러분의 헌신 덕분에 우리 동창회가 더 큰 도약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전남대 경영전문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는 이번 사무실 개소를 계기로 동문간의 교류를 강화하는 한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범적인 동창회로 나아갈 방침이다.이 회장은 "앞으로도 우리 동문들이 한마음으로 힘을 모아 최고의 리더십과 경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며 "함께 해 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마무리했다.박석호기자 haitai2000@mdilbo.com
- · 조선대, 의정갈등에 올해도 집단 휴학 이어갈듯
- · 조선대 2025학년도 등록금 동결 확정
- · 세상을이어가는끈, 평화산타 행사 가져
- · 호남권 의대 정시 경쟁률 높아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