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진보당·정의당 전남도의원 기자회견 열고 단식 투쟁
‘尹탄핵 불참’ 국힘 의원의 광주 명예시민증 박탈 주장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로 '탄핵정국'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 지역 정치인들이 탄핵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국민의힘 의원들을 일제히 비판하며 삭발, 단식에 돌입하는 등 탄핵 투쟁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광주시의회·기초의회 의원들은 9일 오후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12·3 내란 주범 윤석열 탄핵, 즉각 구속 촉구' 공동성명 발표와 삭발식을 진행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국민은 윤석열의 계엄선포, 포고령 발표, 군 헬기 투입, 중무장 계엄군의 국회 난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점령, 주요 인사 체포 시도 등을 보며 분노했다"며 "민주주의와 헌법을 처참히 무너뜨린 '내란 수괴 윤석열'에게 남은 것은 탄핵과 체포, 그리고 엄정한 수사를 통한 처벌 뿐"이라고 성토했다.
이어 "국힘은 윤석열을 탄핵하라는 엄중한 국민의 명령을 짓밟았다"며 "국힘은 집단 퇴장을 당론으로 정하고 의결 정족수인 재적의원 2/3를 채우지 못하게 해 자동으로 부결시켰다. 제2의 쿠데타 시도를 자행할 가능성이 있는 윤석열이 대통령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국힘 의원들은 내란 주범 윤석열 탄핵에 동참하고, 내란 주범 윤석열은 즉각 사퇴·체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명 발표를 마친 뒤 서용규 광주시의원, 문선화 광주 동구의장, 안형주 광주 서구의원, 오영순·신종혁 광주 남구의원, 김영순·정달성 광주 북구의원, 박해원 광주 광산구의원 등은 항의의 뜻으로 삭발을 감행했다.
전남도의회 민주당·진보당·정의당 의원들은 이날 오후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 명령이다. 내란수괴 윤석열을 탄행하고 내란공범 국민의힘은 당장 해산하라"며 릴레이 단식에 들어갔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시대착오적, 위헌적, 위법적인 계엄령 선포로 국민의 피와 땀으로 쟁취해 낸 민주주의가 하루아 침에 무너졌다"며 "분노한 국민들은 피를 토하는 절박한 심정으로 '윤석열 탄핵'을 외쳤지만 국민의힘은 탄핵소추안을 무산시키고 국민의 염원과 민주주의를 짓밟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의힘이 앞장서서 내란을 획책한 불법 계엄에 대한 단죄를 막아섰다"며 "이로써 국민의힘은 윤석열과 함께 내란공범 정당이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국민들은 '윤석열 탄핵'과 함께 '국민의힘 해산'을 외치고 있다"며 "국민의힘이 공당이라면 국민의 의사에 반하는 비겁하고 치졸한 행태에 대해 당장 사과하고 탄핵에 동참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한동훈 대표와 한덕수 총리가 발표한 공동 국정 운영은 꼼수다"며 "이들이 공동으로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것은 계엄에 준하는 또다른 제2의 쿠데타일 뿐이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혼란을 잠재우고 민주주의를 다시 살리는 길은 국민의 외침대로 윤석열을 하루라도 빨리 탄핵하는 것 뿐이다"며 "국민의힘과 한동훈 대표는 제2의 쿠데타 계획을 당장 중단하고 피를 토하는 국민의 절박한 외침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 의원들은 이날 신민호 의원을 시작으로 릴레이 단식에 돌입했다.
이밖에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불참한 국민의힘 국회의원에게 수여한 광주 명예시민증을 박탈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서임석 광주시의원(남구1)은 이날 광주시 예산안 심의에서 "명예시민증이 수여된 분들 중 국회의힘 현직 국회의원이 있다"며 "윤석열 탄핵 표결 불참으로 내란죄에 공조한 정당과 그 소속 의원은 광주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행위를 했으니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현역 국회의원 중 주호영(대구 수성구갑), 성일종(충남 서산시·태안군), 김소희(비례대표) 의원이 광주 명예시민증을 수여받았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김강헌 영광군의장 "의원사업비 관행 끊어내겠다" 8일 열린 제289회 영광군의회 임시회 개회사에서 김강헌 의장은 의원사업비와 관련한 자신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김강헌 영광군의장이 오랜 관행처럼 이어져 온 '의원사업비'를 근절하겠다는 의지를 공식 석상에서 밝혀 지역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8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영광에서는 군의원들의 의원사업비를 둘러싼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본래 집행부를 감시해야 할 의회가 오히려 예산 집행에 관여하는 것은 권한을 벗어난 행위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더불어 일부 의원들이 사업비를 특정 업체나 지인에게 몰아주는 '일감 몰아주기' 의혹도 지속적으로 불거졌다.이런 가운데 이날 열린 제289회 영광군의회 임시회 개회사에서 김강헌 의장은 의원사업비와 관련한 자신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김 의장은 "최근 보도되고 있는 의원사업비 관련 기사들과 군민 여러분의 비판을 접하며 참담함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군민께 석고대죄하는 심정으로 이번 사안을 군의회 불신 해소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앞으로 '의원사업비'라는 명목으로 집행부에 그 어떤 요구도 하지 않을 것이며, 이를 의원직을 걸고 약속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의원사업비는 기초·광역의원이 지역구 민원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장이 편성했던 예산이다. 하지만 이는 예산 편성과 심의 권한을 분리한 권력분립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에 따라, 공식적으로는 폐지된 제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초의회에서는 여전히 관행적으로 집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번 김 의장의 발언은 의원사업비 관행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주민 앞에 사과와 재발 방지를 약속한 첫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김 의장을 비롯한 영광군의회 의원들이 이 같은 다짐을 실제로 실천할 수 있을지, 군민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영광=한상목기자 alvt715@mdilbo.com
- · 권리당원 쟁탈전에 민심 실종···"공천 기준 손질해야"
- · 민주 전대 '호남 소외' 반복···최고위원 또 0명되나
- · '바꿀까 말까'···11개월 앞 지방선거 민심 '안갯속'
- · 광주는 '신중', 전남은 '안정'···민심의 결은 달랐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